우리 뇌는 우리 몸무게의 2% 정도를 차지하지만 기본적인 기능을 하는데만 우리 몸이 사용하는 에너지의 20-25%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양질의 음식을 먹어야 하는 이유죠. 신생아들의 뇌는 더 놀랍습니다. 아주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신생아들의 뇌는 무려 전체 에너지 가운데 60%를 사용합니다.
2. 짧은 털의 인간들!
다른 유인원들은 풍성한 털을 자랑하지만 우리 인간들의 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벌거벗고"다니는 것은 아니고 우리도 몸 전체에 털들이 나 있습니다. 단지 그 털들이 몇몇 주요 부위를 빼고는 다 짧다는 것...우리 옛 조상들이 살았던 더운 지역에서는 이러한 것이 장점이 되었지요. 피부에 흐른 땀이 증발하면서 몸의 열을 앗아가기 때문에 몸을 식히는 데는 이만한 게 없었습니다...우리 뇌는 일을 하다보면 금방 뜨거워지는데 땀을 흘리는 것과 땀의 증발은 우리 뇌의 진화에 있어서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답니다.
3. 왜 우리는 사랑니가 날까?
우리 사랑니는 잇몸의 가장 안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사랑니는 가장 나중에 나는 이고 아주 질긴 음식을 먹었던 우리 조상들에게는 이러한 사랑니를 가지는 것이 도움이 많이 되는 일이었습니다. 먼저 났던 이들은 거친 음식들을 먹느라 심하게 마모가 되곤 했으니까 요긴할 때 쯤 딱 사랑니가 나오면서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었죠. 하지만 요리를 통해서 우리가 먹는 음식이 점점 더 부드러워지면서 우리의 턱은 점점 더 작아지게 되고 그러다 보니 사랑니가 날 자리 역시 좁아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먼저 난 이들이 충분히 제 기능을 하기에 굳이 나올 필요가 없는 사랑니가 유전자가 시키는 대로 눈치도 없이 나올라 치면...우리는 온 몸을 관통하는 통증을 못참고 치과 신세를 지는 거지요...
4. 왜 우리는 닭살이 돋을까?
포유류들의 털은 날씨가 추워지면 자동적으로 서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털이 부풀어오르며 털 사이로 따듯한 공기층을 형성하게 됩니다. 사람의 경우 날씨가 추워지면 모낭 주변의 근육들이 수축하게 되는데요 이것이 바로 닭살 돋는 현상입니다. 이것은 우리 조상들이 긴 털을 가지고 있을 때의 반사 작용이 아직까지 남아 있는 겁니다. 이제 털이 예전만 하지 않고 좋은 방한복들도 많이 나오고 있으니 그만 해도 좋으련만...몸의 기억은 정말로 끈질기군요...
5. 눈이 참 이쁘시네요!
다른 유인원들의 눈과 비교했을 때 우리 인간들의 눈은 가운데 검은자위 이외의 주변은 하얀색입니다. 이 부분을 바로 공막(흰자위)이라고 부르는데요 다른 유인원들에게는 이러한 흰자위가 없습니다. 이러한 공막이 있으므로 해서 우리 인간들은 쉽게 다른 인간들이 시선을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실험에 따르면 침팬지나 고릴라들은 실험자들이 머리는 가만히 둔 채 눈만 시선을 옆으로 보는 경우는 이에 반응하지 않다가 실험자가 아예 고개를 돌려 특정 방향을 보는 경우에만 따라서 고개를 돌려 시선을 따라가곤 합니다. 하지만 우리 인간의 신생아들은 자기를 쳐다보는 사람이 고개를 돌리지 않고 눈동자만 돌려도 그의 시선을 따라 간다는 거지요...이러한 능력은 예전 우리 조상들이 만나서 서로 의사소통을 할 때도 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특히 마지막 눈과 관련된 얘기는 좀 흥미로운게 우리 호모사피엔스들의 두드러진 사회성을 보여주는 진화의 한 예인 것 같아서요. 만약 침팬지 100마리를 비행기에 태우고 서울에서 뉴욕으로 출발한다면 뉴욕에 도착했을 때 쯤이면 침팬지들은 서로 싸우다가 모두 다 죽고 죽임을 당하고 말 것이라고 하더군요...그런데 우리 인간들은 아무리 좁은 이코노미석에 꾸역 꾸역 앉아 있더라 하더라도 그런 일을 하지는 않으니까요...뭐 폭탄으로 비행기 전체를 한꺼번에 날려 버리기는 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