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특별시,도의회의원선거) 56년 8월 13일
특별시,도의회의원선거 자유당249명 민주당98명 대한독립촉성국민회6명 기타84명
4대 총선 58년 5월 2일 90.6%
소선거구제 233석.
자유당126석 민주당79석 기타50석
3.15부정선거
조병옥후보가 선거한달전 사망, 이승만 단독후보.
위조투표지 투입, 1인이 20표를 가져가는 등 부정선거 발생.
4.19학생운동 60년 4월 19일
5대 총선 60년 7월 29일 84.3%
4.19학생운동 이후 내각제, 양원제 개헌. 만20세 이상 투표. 민의원 소선거구제 233석. 참의원 대선거구제 58석.
민주당206석 자유당6석 사회대중당5석 기타74석
4대 대선 60년 8월 12일
국회 간접선거(재적 2/3득표로 당선. 2차투표 후 재차 없을 경우, 과반득표자 당선)
윤보선208표 김창숙29표
지방선거(특별시,도의회의원선거) 60년 12월 12일
특별시,도의회의원선거 민주당195명 신민당149명 기타221명
지방선거(시,읍,면의회의원선거) 60년 12월 19일
시의회의원선거 민주당129명 신민당45명 기타246명
읍의회의원선거 민주당142명 기타875명
면의회의원선거 민주당2510명 신민당241명 기타12631명
지방선거(시,읍,면장선거) 60년 12월 26일
시장선거 민주당12명 신민당5명 기타9명
읍장선거 민주당23명 신민당3명 기타56명
면장선거 민주당297명 기타1062명
지방선거(특별시장,도지사선거) 60년 12월 29일
특별시장,도지사선거 민주당6명 신민당3명 무소속1명
5.16쿠데타 61년 5월 16일
5대 대선 63년 10월 15일 85.0%
5.16쿠데타 이후 대통령 중심제 및 직접선거로 변경.
박정희46.6% 윤보선45.1% 오재영4.1% 변영태2.2% 장이석2.0%
6대 총선 63년 11월 26일 72.1%
지역구 소선거구제 131석. 전국구 (3석이상, 5%이상득표한 정당 중 득표율에 따른 배분. 제1당이 50%를 넘기지 못했을 경우엔 1당에 1/2 배정.) 44석. 무소속 출마 금지.
민주공화당110석 민정당40석 민주당14석 자유민주당9석 기타2석
6대 대선 67년 5월 3일 83.6%
직접선거
박정희51.4% 윤보선40.9% 오재영2.4% 김준연2.2% 전진한2.1%
7대 총선 67년 6월 8일 76.1%
지역구 소선거구제 131석. 전국구 비례대표제(배정방식 동일) 44석.
부정선거를 공화당 스스로 시인하며 당선자를 당에서 제명, 당선자 변경도 있었음.
민주공화당129석 신민당45석 기타1석
7대 대선 71년 4월 27일 79.8%
3선개헌(3회까지 대통령이 될 수있다)으로 박정희 출마. 직접선거
박정희53.2% 김대중45.2%
8대 총선 71년 5월 25일 73.2%
지역구 소선거구제 153석. 전국구 비례대표제(배정방식 동일) 51석.
민주공화당113석 신민당89석 기타2석
10월유신
72년 10월 17일 비상계엄령 실시(대통령에 의해 실시되어서 친위쿠데타라 부름)
국회해산 및 정치활동 중지. 대학휴교. 집회 및 시위 금지. 언론, 출판, 보도, 방송 사전검열.
10월 27일 유신헌법 공고.
대통령 직선제를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간선제로 변경
총선을 2인선출 중선거구제로 변경하고, 1/3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긴급조치가 헌법에 우선하여 발효.
8대 대선 72년 12월 23일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제.
박정희2357표 무표2표
9대 총선 73년 2월 27일 71.4%
지역구 중선거구제 146석. 통일주체국민회의선출 73석. 임의 선거구 조정. 무소속 출마가능.
민주공화당73석 신민당52석 기타21석
9대 대선 78년 7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제.
박정희2577표 무효1표
10대 총선 78년 12월 12일 77.1%
지역구 중선거구제 154석. 통일주체국민회의선출 73석.
민주공화당68석 신민당61석 기타25석
10대 대선 79년 10월 2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제.
최규하2465표 무효84표
12.12사태 79년 12월 12일
신군부에 의해 단행된 군내부의 하극상. 정권탈취로 이어졌기에 쿠데타에 속함.
11대 대선 80년 8월 27일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제.
전두환2524표 무효1표
12대 대선 81년 2월 25일
대통령 7년 단임제 변경. 대통령선거인단 간선제.
전두환4755표 유치송404표 김종철81표 김의택26표
11대 총선 81년 3월 25일 77.7%
지역구 중선거구제 184석. 전국구 비례대표제(제1당에 2/3 배정, 5석이상 정당에 의석수에 따라 배정) 92석
민주정의당151석 민주한국당81석 한국국민당25석 기타19석
12대 총선 85년 2월 12일 84.6%
지역구 중선거구제 184석. 전국구 비례대표제(배정방식 동일) 92석
민주정의당148석 신한민주당67석 민주한국당35석 한국국민당20석 기타6석
6월항쟁
87년 1월 14일 박종철 고문 치사
6월 9일 이한열 시위 중 최루탄에 맞아 부상(7월 5일 사망)
6월 10일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 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
6월 26일 국민평화대행진
6월 29일 6.29선언. 대통령 직선제, 5년단임제 변경.
13대 대선 87년 12월 16일 89.2%
직접선거
노태우36.6% 김영삼28.0% 김대중27.0% 김종필8.1%
13대 총선 88년 4월 26일 75.8%
지역구 소선거구제 224석. 전국구 비례대표제(제1당에 1/2 배정, 5석이상 정당에 의석수에 따라 배정) 75석
민주정의당125석 평화민주당70석 통일민주당59석 신민주공화당35석 기타10석
지방선거(기초의원선거) 91년 3월 26일
지방선거(광역의원선거) 91년 6월 20일
광역의원선거 민주자유당564명 신민주연합당165명 민주당21명 기타116명
14대 총선 92년 3월 24일 71.9%
지역구 소선거구제 237석. 전국구 비례대표제(5석이상 정당에 의석수에 따라 배정) 62석.
민주자유당149석 민주당97석 통일국민당31석 기타22석
14대 대선 92년 12월 18일 81.9%
직접선거
김영삼42.0% 김대중33.8% 정주영16.3% 박찬종6.4%
1회 동시지방선거 95년 6월 27일
광역단체장 민주자유당5명 민주당4명 자유민주연합4명 무소속2명
기초단체장 민주당84명 민주자유당70명 자유민주연합23명 기타53명
광역의원 민주당353명 민주자유당284명 자유민주연합86명 기타152명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미실시
15대 총선 96년 4월 11일 63.9%
지역구 소선거구제 253석. 전국구 비례대표제(득표3%이상 정당에 득표율에 따라 배정) 46석.
신한국당139석 새정치국민회의79석 자유민주연합50석 통합민주당15석 기타16석
15대 대선 97년 12월 18일 80.7%
직접선거
김대중40.3% 이회창38.7% 이인제19.2%
2회 동시지방선거 98년 6월 4일
광역단체장 새정치국민회의6명 한나라당6명 자유민주연합4명
기초단체장 새정치국민회의84명 한나라당74명 자유민주연합29명 기타45명
광역의원 새정치국민회의271명 한나라당224명 자유민주연합82명 기타39명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미실시
16대 총선 00년 4월 13일 57.2%
지역구 소선거구제 227석. 전국구 비례대표제(배정방식 동일) 46석.
한나라당133석 새천년민주당115석 자유민주연합17석 기타8석
3회 동시지방선거 02년 6월 13일
광역단체장 한나라당11명 새천년민주당4명 자유민주연합1명
기초단체장 한나라당136명 새천년민주당44명 자유민주연합16명 기타31명
광역의원 한나라당467명 새천년민주당143명 자유민주연합33명 기타39명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미실시
16대 대선 02년 12월 19일 70.8%
직접선거.
노무현48.9% 이회창46.6% 권영길3.9%
17대 총선 04년 4월 15일 60.6%
지역구 소선거구제 243석. 전국구 비례대표제(정당명부투표 득표3%이상 정당에 득표율에 따라 배정) 56석.
열린우리당152석 한나라당121석 민주노동당10석 새천년민주당9석 자유민주연합4석 기타3석
13대 총선에서 민정당이 패하고 여소야대구도 형성때문에 3당합당이란 야합이 나왔는데
총선자체만 놓고보면 YS와 DJ의 통일민주당, 평화민주당 합친만큼 민정당이 쓸어담았네요.
대선에선 차이가 별로 많이 안났는데 총선에서 오히려 차이를 확 벌린거 같은데...
민주공화당도 사실상 군사독재세력이라는거 생각하면 13대 총선도 민주세력보다 독재세력의 승리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