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24 12:08:14
Name Lord Be Goja
File #1 우수호갱.jpg (305.1 KB), Download : 179
File #2 ROOK.jpg (643.1 KB), Download : 179
Subject [일반] 아이폰17프로맥스 /간단 사용기





*전에 올렸던 20울트라나 22울트라 15프로맥스는 기존제품과 어떤면에서 사용감이 다른가를 나름 열심히 비교했는데요
이번에는 전에 쓰던 15프로맥스가 빠르게 처분되서 상세한 비교를 하지는 못하겠네요
이미지나 동영상 임베드 사이트들도 너무 많이 없어지거나 개악되서 더욱 까다롭구..




외관은 케이스로 해결이 될거같긴합니다
몇번보니 카메라가 아주 이상한거 같진 않더라구요
그런데 쌩폰으로 보면 배부분의 투톤은 사진으로는 그 구림이 다 전달되지 않는수준입니다.
광원에 따라 반사율이 서로 달라 더 튀더라구요


아이폰 역사상 가장 무겁다는 14프로맥스만큼,상당히 무거운폰으로 재탄생했는데요
15프로맥스가 가벼웠을뿐 제가 썼던폰들보 다많이 무겁다고 할수는 없고(22울트라보다 3그램정도 무거울겁니다)
15보다 화면이 커져서 체감은 그냥 쏘쏘한정도였습니다
(단 제가 요즘같이 가벼운 울트라가 아닌 구형 울트라계열로 충분히 단련했다는걸 감안하셔야합니다)


스피커가 안좋아졌다는 이야기가 있던데요
제가 16프맥은 구경조차 제대로 안해봐서 모르겠고
15프맥보다 나쁜지는 전혀 모르겠더군요. 볼륨도 비슷한거 같고..음질도 거서 거기 같고

애초에 폰 스피커로 본격 음감은..
저기 도봉산가는 노년층분들정도밖에 못본거같은데 ..
이렇게 알기도 힘든차이로 다들 예민하네 화났네 싶더라구요
벨소리나 알람소리 유튜브재생정도에서 차이를 느낄수 있을정도로 대놓고 구리진 않아요


화면은 AR코팅이 도입되서  빛을 덜반사하는데,갤럭시 울트라와 달리 겉표면에 일반층이 올라와있는 형태라 반사감소효과는 더 떨어지는대신 AR코팅층이 보호가 되서 더 오래가는 구조라고 하던데
15프맥에 조금 비싼반사방지 유리를 붙여서 쓰고 있어서 그런지 별체감은 안되는 변화였습니다.
심지어 여기에도 사용전부터 그런거 붙였거든요.



사용성 :

셀카(전면카메라) 센터 스테이지

16시리즈에 도입한 카메라컨트롤버튼같은것과 비교조차 안되는 킬러기능이라고 봅니다
사람수가 늘어나면 자동으로 화면이 넓어지네 같은것보다도
인물에게 촛점이 잡힌상태에서 폰의 위치를 바꾸면 촛점이 유지된채로 화면각이 넓어지니까
셀카각이 훨씬 이쁘게 잡힙니다
15프맥을 제수씨한테 넘기면서 이걸 트레이드인 하면 80만원을 아끼실수 있고,아니면 그냥 쓰셔도된다고 했는데
처음에는 그래도 추가비용 70만원(에어기준)에 부담스러워하셨는데
눈앞에서 17이랑 15랑 셀카를 비교했더니





발열 해소

15프맥이 IOS18즈음부터 발열이 급발진하는감이 있었는데요,(저는 게임과 인스타는 하지도 않는데 그랬습니다)발열도 발열인데 그거 해소가 오래걸렸었습니다.앱을 다꺼도 쉽게 가라앉지않아서 불쾌했는데 17프맥을 발열해소를 위해 티타늄소재도 포기하고 두께도 늘린폰이라 그런가 열이 올라온 상태에서도 발열원 제거시 쉽게 진압됩니다.똑같이 카메라를 오래써서 뜨거워졌다가 카메라를 껐다는 시나리오라면 15프맥보다 훨씬 쾌적한 사용감이 되죠



아무튼 조금 더 빠름
긱벤치 기준 33% 3디마크기준으로 거의 두배정도의 성능이라 그런지 IOS 26이 더 깔끔하게 돌아갑니다
15프맥에서 못느낀 이펙트도 있는거같은데 이건 제착각일수도 있고 이제 검증도 못하니 패스


야간촬영



15프맥에서는 이렇게 쉽게 고스트현상이 발생해서 거슬리는데요




17프맥에서는 이렇게 쉽게 고스트현상이 발생해서 전통을 잘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조금 더 선명한거 같기도 하구요

16에서 개선했다며 구라였냐


주간촬영

이번에는 기존에 있던 5배줌 대신 4배줌을 도입하는대신 화소를 증가시켰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같은거리에 있는걸 각각 5배 4배로 줌해서 찍은후 같은 사이즈로 확대해서 비교해봐도 17프맥이 더 깔끔하게 보입니다.
전체 렌즈의 화소를 통일해서 그런지 1-5배구간에서 줌을 댕기는 와중에 렌즈가 변하면서 화소도 바뀌고 해서 느낌이 갑자기 확 달라지던 전작보다 조금 더 자연스럽더군요

비교사진을 안 옮기고 줘버려서.. 어떻게 보여드릴수는 없군요.



결론 :  하드웨어스펙도 스펙인데 사용감이 상당히 좋아졌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16마냥 신기능이 얼마나 좋은지 공부해가면서 알필요가 없습니다.
         단 무게가 증가한건 팩트라 15프맥처럼 덩치대비 가볍다라는 생각을 받을수는 없네요.
          








17프맥처럼 에어팟 프로3도 마땅히 적을내용이 없어 별개의 글을 파기 애매해서 같이 적으려고 했는데

어째선지 글쓰기 틀이 깨지고 있어서 별도글로 적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울리히케슬러
25/09/24 12:17
수정 아이콘
XSM 사용하다가 17프맥으로 남어왔는데 모든게 업그레이되서 매우 만족스럽네요 특히나 배터리랑 디스플레이크기 카메라가 만족스럽네여
이브라77
25/09/24 12:32
수정 아이콘
디자인 저정도포기할정도면 카메라하나만큼은 진짜진짜 좋아보이네요 사진많이찍는분들한텐 엄청난메리트일거같네요
25/09/24 12:42
수정 아이콘
매장에서 디피된 제품 보니까 다른거보다 며칠 되지도 않았는데 프로 뒤판에 세라믹실드에 맥세이프 자국이 엄청나 있어서 놀랐어요
Lord Be Goja
25/09/24 12:48
수정 아이콘
그게 거치대를 폰이 갈아서 가루가 폰에 묻은거라 닦으면 지워진다고하네요
+ 25/09/24 13:00
수정 아이콘
애플이 AI 실패하면서 이제 3년 정도 헤매고 있는데, 아직 굳건하긴 합니다. 그동안 얼마나 벌어둔건지...
AI든 뭐든 뭔가 새로운게 없으면 놀랍게도 애플이 저무는 걸 실시간으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아무리 그래도 순식간에 가진 않을듯... 아직 격차가 꽤 큽니다.)
모나크모나크
+ 25/09/24 14:02
수정 아이콘
근데 삼성처럼 Gemini같은 AI하고 협업해서 만들면 금방 대응 가능하지 않을까요? 저렇게 접목해서 기능 만드는 것도 굉장히 어렵고 시간이 걸리는 기술인가요?
+ 25/09/24 14:03
수정 아이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애플은 더 최악이지만, 삼성 제미니도 그렇게 완성도가 있어 보이진 않아서...
광고대로 나와야 쓸만한데 그 정도는 아닌 것 같아요. 하드웨어 한계인가 싶기도 합니다.
키작은나무
+ 25/09/24 13:06
수정 아이콘
찍힘이나 까짐이 있다 들었는데 괜찮으신가요?!
Lord Be Goja
+ 25/09/24 13:16
수정 아이콘
네 저는 멀쩡하네요
샤한샤
+ 25/09/24 14:20
수정 아이콘
고스트 현상 전통은 진짜 소름돋네요
제가 알지 못하는 어떤 고도의 노림수라도 있는건지..
한국놈들만 밤에 사진찍는거 좋아하는건지..
아이군
+ 25/09/24 14:41
수정 아이콘
애플 쓰는 입장이지만 애플까가 되 버려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5524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3356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7401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3316 4
105057 [일반] 아이폰17프로맥스 /간단 사용기 [11] Lord Be Goja1654 25/09/24 1654 3
105056 [일반] 트럼프 대통령, 유엔에서 주권 옹호하고 세계화 거부 [81] 유머4798 25/09/24 4798 4
105055 [정치] 무안공항 사고 관련으로 지난주에 SBS에서 기사를 내놓았는데 조사위원회가 사과를 한 게 있네요 [25] petrus5482 25/09/24 5482 0
105054 [일반] 여우와 사자의 전쟁 [1] 식별1791 25/09/24 1791 2
105053 [일반] [스포] 체인소맨 극장판 - 레제편 후기 [34] 한뫼소3187 25/09/23 3187 1
105052 [일반] 크라임씬 제로 1-4화 후기 (줄거리 언급 없음) [20] wannabein3850 25/09/23 3850 3
105051 [일반] 아세트아미노펜과 자폐증의 연관성 논란 [64] 여왕의심복8896 25/09/23 8896 73
105050 [정치] 국민의힘: 25일 본회의 상정 모든 법안에 필리버스터 [172] 다크서클팬더10836 25/09/23 10836 0
105049 [정치] [NYT] 김정은: 비핵화 요청 안하면 미국과 대화 가능 [58] 철판닭갈비6458 25/09/23 6458 0
105048 [일반] 일본 극우 성향 유튜버 [161] 요케레스10250 25/09/23 10250 1
105047 [일반] 트럼프 "美자폐증 급증은 타이레놀 탓… 쿠바는 자폐없어" [130] 유머10112 25/09/23 10112 4
105046 [일반] 베르세르크 '매의 단' 모티브가 된 '백색용병단'을 알아보자 [4] 식별2331 25/09/23 2331 10
105045 [일반] 나의 물 생활 이야기~ (스압) [20] BK_Zju3155 25/09/23 3155 27
105044 [일반] 박찬욱은 봉준호의 꿈을 꾸는가 - “어쩔수가없다”(노스포) [12] 젤다4823 25/09/22 4823 2
105043 [일반] 15kg 감량하고 10km 달리기 완주하기까지 [34] Kaestro3966 25/09/22 3966 23
105041 [일반] 잇섭 아이폰 17 케이스 사과문 [40] Leeka6619 25/09/22 6619 6
105040 [정치]  [조선일보 사설] 韓 산업 다 잡은 中 굴기 주역은 기업 아닌 유능한 공산당 [168] 베라히8447 25/09/22 8447 0
105039 [일반] 실제 중세 전장에서의 기사도는 어땠을까? [7] 식별2938 25/09/22 2938 14
105038 [일반] 복리에는 기억이 필요하다: 한국이 퇴직연금을 이해하지 못하는 구조적 이유 [54] 전상돈7044 25/09/22 7044 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