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10/09 00:21
본문과는 다른 얘기입니다만...류현진 선수는 전체 메쟈 타자중 라인드라이브 비율이 1위인 타자죠. 대단한 타격 재능입니다. 파워만 좀 더해지고 선구안만 좋아진다면 더 잘 칠 수 있어요.
13/10/09 00:28
아뇨 ... 음 그러니까 땅볼이나 높이 뜬 플라이가 아닌 날카롭게 뻗어나가는 타구가 라인드라이브입니다. 정타로 잘 맞은 타구들이 대부분인지라, 라인드라이브 타구가 많단건 타구질이 좋다는거고 babip가 올라갈 확률이 높다는거죠.
13/10/09 01:03
인플레이된 타구가 안타가 될 확률은 라인드라이브 > 땅볼 > 뜬공 > 내야뜬공 순입니다.
라인드라이브성 타구를 많이 치는 타자는 babip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타율이 높아질 확율이 아주 높죠.
13/10/09 00:45
투수왕국 시절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생긴 업보를 갚는게 아닐까요....
감독이 가장 악독했던 당사자라 고향팀에 돌아와서 그때 빚을 전부 갚고 다니는 현실 ㅠㅠ
13/10/09 00:44
사실 그건 기아 수비진의 문제가..
기아 투수들의 ERA와 FIP를 비교해보면.. FIP가 비정상적으로 낮죠.. 특히 소사.. 기아 수비진이 범타가 될 타구를 꾸준히 안타로 만들고 있다.. 라는 증거가 아닐까 싶습셉습..
13/10/09 07:54
흥미롭군요. 반대로 이야기 하면, 투수가 %LD가 낮다면 그것또한 하나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지 않나 싶네요.
예를들어, 속된말로 "공끝이 좋다"라고 하는 추상적 표현을 대변할 수 있는 객관적 수치가 될 수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13/10/09 10:36
인플레이 된 타구가 안타가 될 가능성은 구속이나 구종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즉 배트에 맞아서 파울라인 안쪽에 떨어지기만 한다면 150KM짜리 빠른 공이나 130KM짜리 아리랑 볼이나 비슷한 확률로 안타가 됩니다.
반면 위에서도 언급한 BABIP이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는 건 로케이션에 따라서입니다. 즉 스트라이크존 구석에만 막 꽂아넣을 수 있으면 그 선수는 다른 선수보다 훠어어얼씬 더 많은 땅볼을 끌어낼 수 있게 됩니다..
13/10/09 11:18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바는 본문에서 말씀하셨던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인 한계를 고려했을 때 메이저리그 타자들이 그 빠른 속구를 쳐서 안타나 홈런을 만들어내는 것은 그 자체로 기적과 같은 일이라고 하겠습니다. 많은 경험을 통해서 투수가 투구를 시작하는 시점부터 공이 홈 플레이트까지 절반 정도 날아왔을 때까지의 정보만을 동원하여 홈 플레이트까지 도달할 때의 공의 속도와 높낮이를 몸이 본능적으로 기억하고 있다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공을 치게 되는 것입니다. " 라는 것에 근거한 질문이었습니다. 즉, 타자에게 안타를 맞는다 아니다 혹은 구위가 dominant하다 아니다를 나타내는 수치가 아니라, 구질이 더럽다, 혹은 공끝이 살아있다 라고 말하는 추상적 표현을 %LD가 어느정도 객관화 시켜서 나타내지 않을까 한다는 질문이었습니다. 로케이션도 당연히 중요하지요. 구속과 구질 그리고 로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factor들임에는 틀림없을 겁니다. 그러나, 본문에 글쓴분의 말씀을 전제로 한다면, 로케이션이 아무리 좋은 들, 만약 공의 궤적이 타자에게 익숙한 궤적으로 흘러들어온다면 타자의 루틴에 따른 반사적인 스윙만으로도 장타가 나올 수 있지 않을까요? 어떻게 본다면 투수마다 혹은 타자마자 각자의 천적이 있다는 것은 상대의 볼의 궤적에 대해서 익숙하느냐 혹은 익숙하지 않느냐 라고 돌려 말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냐는 것이죠.
13/10/09 11:39
결국 경험치라는 데이타베이스를 가지고 있다가 투수의 공이 날아올 때 타자가 그 데이타베이스 가운데 하나를 고르고 그에 따른 스윙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지요...그게 잘 맞아떨어지면 장타가 나오는 거고 그렇지 못하면 범타나 헛스윙을 하게 되는 거겠지요...곰주님 말씀처럼 투수의 로케이션이 좋아도 그 로케이션을 예측하고 스윙하는 경우는 좋은 타격이 나오겠지요...그와는 별개로 몸쪽 꽉차는 공처럼 로케이션을 알아도 기본적으로 치기 어려운 코스도 있을 거구요...어쨌든 투수쪽에 변수가 많고 카드를 많이 쥐고 있는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타자라는 위지 자체가 투수의 공을 보고난 뒤 반응해야 하는 것니까 수동적인 입장이 되는 거겠지요...
결론적으로 홈플레이트 근처에서 공에 변화를 많이 가져갈 수 있다면 무적의 투수가 되지 않겠습니까?...그런데 물리법칙이 있어서 그런 변화도 일정 한계가 있을 것 같긴 합니다만...
13/10/09 12:09
"공이 더럽다"라는 추상적 말을 대변해 줄 수 있는 객관적 지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제 말에 대한 대답이 아닌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결론의 대표적인 예시가 너클볼아닐까 싶네요. 며느리도 모르는 궤적으로 들어가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벽한 너클볼투수라도 안타를 맞아나가고 홈런도 맞고 하는 것 자체가 바로 말씀하신 것을 방증하시는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립니다만, 말씀하신 댓글의 첫 문단의 내용은 저도 동의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