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1/09 12:52:23
Name I.A.L
Subject [일반] 어쩌면 불행의 시작은 늘어난 수명이 아닐까...
(편의상 반말체로 쓰겠습니다. 죄송합니다.)

한 때 욜로(YOLO: You Only Live Once)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인생은 한 번 뿐이니 뒷일 생각하지 말고 현재의 삶에서 최대한 즐기자. 뭐 대충 뜻인데..

그 당시에는 미친 짓 이라고 생각했다. 저 사람들 나중에 나이 들어서 어쩌려고 그러지, 나중에 후회할 텐데.. 그런데 지금은 모르겠다.
젊은 날 다시는 오지 않을 우리의 전성기에 노후 걱정, 미래 걱정 등을 하며 하고 싶은 거 참고, 먹고 싶은 거 참고, 사고 싶은 거 미루고 아끼면서 사는 게 과연 현명한 행동인지 의문이 든다.

오히려 수명이 짧았더라면 노후를 먼저 생각하는 게 아니라 현재를 더 소중히 여기고 인생을 즐기면서 살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언제 올지도 모르고 아직 한참 남은 노후를 위해 빠르면 20,30대 늦으면 40대부터 노후 걱정해서 저축하고 사는 게 어쩌면 불행의 시작이 아닐까...

막상 70대,80대가 되어서 충분한 돈이 있어도 젊은 날에 소비하는 즐거움의 반의반도 느낄지 의문이다.
무작정 생각 없이 소비하고 낭비하라는 게 아니다. 다만 너무 안 쓰고 즐기지 못하고 그저 계좌 잔고만 늘리는 것은 무의미한 거 같다.

어릴 때 어른들이 많은 경험을 해봐야 한다. 여행도 어릴 때 가봐야 한다. 이런 말들을 이해 못 했었는데, 이제는 조금 이해할 것 같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Quantumwk
25/11/09 13: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조금 다른 얘기지만 BODA라는 역사채널에서 어떤 교수님이 세대 갈등도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본격적으로 생긴거라 하더군요. 예전에는 대부분 나이들기 전에 죽어서 갈등이 일어날만큼의 나이든 사람이 있지가 않았기 때문에...

본문+이런면이 수명이 늘어난것의 부작용 중 하나인가 싶기도 합니다.
25/11/09 16:15
수정 아이콘
세대갈등, 남녀갈등, 인종갈등, 정치갈등 등등
서로 이런 거 없이 한번 사는 인생 즐기면서 살면 참 좋겠다는 생각 많이하게 되네요.
TempestKim
25/11/09 20:12
수정 아이콘
그채널은 역사채널이라기보다 이것저것 많이 다뤘죠 탈북민 중고차 이것저것... 그냥 조회수 잘 걸리면 열심히 집중기획하는 정도입니다.
25/11/09 13:11
수정 아이콘
여전히 신체적 전성기는 2030인데 그때는 다들 취준에 고시에 인턴에..
최근 영포티 논란도 비슷한 느낌이 들더라구요
젊음은 있는데 여유는 없는 세대와 젊음은 없는데 안정감이 생긴 세대가
서로 가지지 못한 것을 질시하는 느낌
25/11/09 16:16
수정 아이콘
저 포함해서 마음에 여유가 없네요. 서로 물어뜯고 시기하고 질투하고 살기 팍팍하네요.
25/11/09 13:12
수정 아이콘
수백년전보다 남녀차별이 줄어들면서 남녀차별에 대한 항의가 더 많아지고, 인종차별이 줄어들면서 인종차별에 대한 시위가 더 많아지듯이
조용한 전기차를 사면 노면소음에 더 민감해지고
깔끔하게 사는 현대인들이 위생에 더 민감해지듯이
좋아질수록 불만이 더 많아지는 현상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25/11/09 16:20
수정 아이콘
인간의 욕심에는 끝이 없는 거 같습니다. 욕심은 많아지는데 할 수 있는 것은 제한 되어있고 ,요즘 잡생각이 많이 드네요.
25/11/09 13:17
수정 아이콘
젊은 시절에 그것도 소비로만 느낄 수 있는 행복이라.. 모르겠네요.
어릴 때 엄청나게 절약하며 산 것도, 엄청나게 소비하며 산 것도 아니긴 하지만
그 때 뭔가를 소비했었다면 더 행복했었을까는 의문입니다.
여행을 갔던 기억도 지금 남는 건 여행에서 무언가를 소비를 했었던 기억보다 고생했던 기억이 추억으로 더 강렬하게 남아있구
거의 대부분의 소비로 인한 행복은 그 때 그 순간 뿐이었던 거 같습니다.
하고 싶은 거 참고, 먹고 싶은 거 참고, 사고 싶은 거 미루는 것들도 다 경험이고 그것들도 행복(오히려 소비로 인한 것보다 더 한)일 수 있다는 거죠.
게다가 그런 단기적 쾌락을 위한 소비들의 대부분 남과의 비교에서 오는 걸 생각하면.. 뭐 도 닦듯이 살아야 된다는 건 당연히 아니지만 굳이 그런 것에 행복의 의미를 부여하며 살아가면 오히려 불행해지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수명이 짧든 길든 너무 소비 자본주의에 얽매여서 살 필요는 없을 거 같아요.
25/11/09 16:22
수정 아이콘
뭐든 과하지 않게 적당한 게 중요한 거 같습니다. 인생 잘 살기 쉽지 않네요.
살려야한다
25/11/09 20:23
수정 아이콘
소비가 포인트가 아니라 젊음이 포인트지요.
저속역노화
25/11/09 13:18
수정 아이콘
인생은 고통이며 뇌 맘대로 그럴싸한 이야기를 형성해가며 원인이라 일컫고 있을 뿐이죠
그 중 일부는 실제로 원인이기도 하지만, 그게 없어도 고통이라는걸 사람들은 잊곤 합니다
돈이 많으면 행복해질거야, 폭정이 끝나고 자유를 얻으면 행복해질거야 등등..
하지만 신체가 병드는 찐고통을 겪으면 병만 낫게 해달라고 빌게 되죠
25/11/09 16:24
수정 아이콘
사실 아프면 이 모든 잡생각이 다 사라지긴 합니다. 건강이 제일 중요하긴 하죠.
인간실격
25/11/09 13:28
수정 아이콘
자연수명이 늘어나서 죽을때까지 건강하게 사는거였으면 참 좋았을텐데 그게 아니라...건강이 동반하지 않는 과한 수명은 참 끔찍한 불행입니다.
25/11/09 16:27
수정 아이콘
나이 들어서 건강하게 잘 사는 게 아니라 그저 죽지 못해 연명하는 삶은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도 언젠가는 안락사가 도입되겠지요.
샤오미
25/11/09 13:43
수정 아이콘
저도 동감합니다
다만 제 주위사람들 생각하면 욜로같은거 생각하기 쉽지 않습니다.
난 60살 생일 오면 스스로 목숨 그만둘거야 할거면 몰라도 심지어 그렇게 맘먹었어도 막상 그 때가 오면 실행하기 힘들잖아요??
그럼 그 때 제가 여유가 없으면 힘든건 제가 아니라 제 주위사람들입니다
제 주위사람들 힘들게 하고싶지 않아요
25/11/09 16:33
수정 아이콘
본문의 욜로는 사실 좀 극단적으로 쓰긴 했는데, 이제부터라도 제 자신에게 만큼은 과소비 하지 않는 선에서 충분히 쓰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너무 아끼고 궁상맞게 산 게 후회가 되네요.
샤오미
25/11/09 16:48
수정 아이콘
저도 글쓴분과 비슷한 성격인걸로 생각 되는데
저희같은 성격이 빛을 볼 날이 미래에 올겁니다 그 때까지 같이 힘내요..
25/11/09 16:54
수정 아이콘
네 댓글 감사합니다.
알라딘
25/11/09 14:47
수정 아이콘
세상이 너무 살기좋아졌죠. 죽어가는 몸들을 강제로 회복시키면서 긴 수명을 갖게되었는데요.
일이백년전만해도 세계에 전쟁이 멈춘적이 없었고 내 동네밖의 일들은 알방법도 없었죠.
생존만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도 행복을 느끼지 않았을까요.
지금은 인류가 고차원적으로 머리가 성장하다보니 행복에 대한 역치는 낮아진것 같아요.
25/11/09 16:36
수정 아이콘
행복하게 산다는 게 참 어렵네요. 특히 대한민국 특유의 비교문화도 영향이 큰 거 같습니다.
국수말은나라
25/11/09 16:43
수정 아이콘
게임보이나 x86가지고 놀때가 행복했던거 같은데 ai vr에 기대수명 100살에 월급모아 집은 불가능해지는 시대가 되다보니 수명만 긴게 큰 의미가 있어보일까 싶습니다
(얼마전 시진핑과 푸틴이 영생을 논했다는데 시사하는바가 크죠)
25/11/09 16:56
수정 아이콘
저도 아무것도 몰랐던 초등학교 시절이 가장 행복했었네요. 서로 재고 그런 거 없이 정말 순수하게 친구들과 놀이터에서 놀던 시절이 그립습니다.
성야무인
25/11/09 18:41
수정 아이콘
생물학적으로 각 생물마다

기대 수명이라는 게 있습니다.

대부분 그 기대 수명은

생식을 할 수 있는 나이까지로 봅니다.

즉, 여성의 경우 생리가 끝나면

그로 인해 다양한 반동이 오는 게

가장 잘 나오는 사례가 골다공증입니다.

즉, 골다공증이 일어나 뼈가 약해져

골절과 연관된 다양한 질환일 발생하면서

자연적으로 도태되야 되는 게 맞는데

칼슘제도 먹고 비타민D도 먹게 되고

(물론 멸치같은 캴슘이 많이 음식도)

골절돼도 병원에서 치료해 주니

당연히 수명이 늘어나겠죠?

즉 인위적으로 수명은 늘었고

앞으로도 수명은 늘어날 텐데요.

정말 평균 수명 100세시대로 가게되면

80살까지 혹은 90살까지 일해야 할겁니다.
롤격발매완료
25/11/09 19:03
수정 아이콘
THANOS WAS RIGHT
방구차야
25/11/09 19:38
수정 아이콘
인생은 생각보다 길고 가정이 pivot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젊을때 기준으로 자산의 적음을 한탄히며 분출에 대해 갈망하지만 막상 나이들어보면 그때 또 요구하는 갈망이 있게마련입니다. 형태는 다르겠지만요. 현재를 진정으로 즐긴다는건 아직 가보지못한 미래노년의 평가절하를 통한 금전자산 땡겨쓰기를 골몰하는게 아니라, 현재 있는 젊음의 본질자산을 만끽하는 자세가 아닐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787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169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8628 4
105387 [일반] 폴란드 여행기 6일차 - 브로츠와프 (data & scroll 주의) [3] 강력세제 희드라1304 25/11/09 1304 0
105386 [일반] [웹소설] 그날의 기억4 (완) 배추나비1221 25/11/09 1221 0
105385 [일반] [웹소설] 그날의 기억3 배추나비1211 25/11/09 1211 0
105384 [일반] [웹소설] 그날의 기억2 배추나비1291 25/11/09 1291 0
105383 [일반] 어쩌면 불행의 시작은 늘어난 수명이 아닐까... [25] I.A.L4040 25/11/09 4040 6
105382 [일반] 금수저 멘헤라 해적, 스티드 보넷에 대해 알아보자 식별1190 25/11/09 1190 3
105381 [일반] 안전신문고 서비스 재개 : 중단 기간 중의 신고건은 11월 11일(화)까지 접수 가능 [9] Tigris2095 25/11/09 2095 5
105380 [일반] 요즘 ai와 로봇 기술을 보면... [9] Exy3012 25/11/09 3012 1
105379 [일반] [웹소설] 그날의 기억1 [2] 배추나비1969 25/11/09 1969 1
105378 [일반] [팝송] 레이니 새 앨범 "Soft" [1] 김치찌개1215 25/11/09 1215 0
105377 [일반] <부고니아> - 이상한데, 이상한가 싶은. (풀스포) [2] aDayInTheLife2026 25/11/08 2026 1
105376 [일반] 외국인 범죄율은 증가했는가? [28] 계층방정3415 25/11/08 3415 14
105375 [일반] 개인 파산에 대하여 [120] 사부작7539 25/11/08 7539 54
105374 [정치] 실체가 전혀 없어보이는 세관 마약의혹 [79] 아서스10062 25/11/08 10062 0
105373 [일반] 유머게시판 글 보고 써보는 뻘글.... [23] 퇴직하고싶다5992 25/11/08 5992 0
105372 [일반] 컴퓨터 책상 구매 후기(209애비뉴 제로데스크에보) [11] 보리밥6456 25/11/07 6456 1
105371 [정치] 한동훈 "이재명 정권, 재판 재개되면 계엄령 선포할 수도" [236] 마라떡보끼15840 25/11/07 15840 0
105370 [정치] 한국갤럽 경주 APEC 정상회의 우리 국익에 도움됐다 74%, 도움되지 않았다 13% [99] 전기쥐10544 25/11/07 10544 0
105369 [정치] 어제 정청래 대표가 민주노총을 방문해서 '정년연장'에 대한 언급을 했군요. [101] petrus9387 25/11/07 9387 0
105368 [일반] 이번에는 무슨 이유로 곡괭이를 들까? [10] 닉언급금지5401 25/11/07 540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