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4/11 09:58:40
Name 강가딘
Link #1 유튜브
Subject [스포츠] 인판티노 피파 회장이 2030웛드컵부터 출전국을 64개국으로 늘리자는 발언을 했네요


아니 48개국으로 출전국을 늘린후 아직 본선도 치르지 않은 상황인데 이런 이야기를 한다고요?
개인적으로 심하게 말하면 돈에 눈이 멀었냐 싶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11 09:59
수정 아이콘
중국 자동 출전권을 넣어 그냥... 인도도 같이 하던가
톨리일자
25/04/11 10:00
수정 아이콘
그럼 지역 예선을 하는거나 안하는거나 비슷하지 않나-_-;;;;
잠이오냐지금
25/04/11 10:02
수정 아이콘
중국 때문에 똥꼬쇼를 하는구먼
25/04/11 10:03
수정 아이콘
저렇게되면 유럽판이 될텐데
손금불산입
25/04/11 10:03
수정 아이콘
48이 된 이상 64는 수순일거라 생각했습니다. 대진이 16-32-64로 깔끔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25/04/11 10:07
수정 아이콘
중국의 따뜻한
25/04/11 10:07
수정 아이콘
손금불산입님 말대로 24, 48개국은 과도기형 대회 포맷이라 오래 가기 힘들죠.
슬래쉬
25/04/11 10:08
수정 아이콘
이래도 떨어지면...
다음은 128개국인가요?
Jedi Woon
25/04/11 14:57
수정 아이콘
그러면 국제 리그로 가야죠
위원장
25/04/11 10:08
수정 아이콘
중국은 64해도 못올라올거 같은데
그냥 아시아에 배정을 많이 해라
스위치 메이커
25/04/11 10:13
수정 아이콘
48이랑 64는 경기 수 차이도 없는 거 아닌가요? 그럼 굳이 안 할 이유가...
25/04/11 10:14
수정 아이콘
중국 때문에 어쩔 수 없죠. 귀화 선수도 좀 여유있게 쓸 수 있게 해야할건데...
25/04/11 10:14
수정 아이콘
그냥 예선전 하지말고 다 진출해서 월드컵 개최지에서 예선 치뤄라 크크크
수리검
25/04/11 10:18
수정 아이콘
그냥 210 개국 정도가 출전하면 어떨까요?
기간도 한 석 달 정도 잡으면 돈도 더 많이 들어올 것 같은데

지역리그? 알아서 하겠죠 뭐 ..
임찬규
25/04/11 10:20
수정 아이콘
중국은 왜 개최안하나요..

그게 제일 빠를거같은데..
국힙원탑뉴진스
25/04/11 10: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 축구 수준 이제 떨어질 일만 남았는데 잘 됐네요.
어차피 월드컵이니까 128개국 해서 전세계 참가로 가자~
25/04/11 10:28
수정 아이콘
황금알을 낳는 거위 배를 가르는일
허저비
25/04/11 10:30
수정 아이콘
지금 상태로는 64강 되도 중국은 못들어오는뎁 크크크크
그런거없어
25/04/11 10:30
수정 아이콘
걍 예선 없애고 올림픽처럼 전세계의 축제로.
동굴곰
25/04/11 10:30
수정 아이콘
중국이 올라올때까지
MeMoRieS
25/04/11 10:32
수정 아이콘
64강이 확정이면 남미는 거의 다 나오겠네요
중국은 64강이어도 진출 못 하면 레전드겠네요
데몬헌터
25/04/11 11:01
수정 아이콘
그것이 실제로 일어날거같다는게..
25/04/11 10:35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경기수 많아서 질적저하 선수부상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선수들은 소모품이지만 정확히 책임지지 않는 여러 집단에서 이리저리 가져다쓰는거보면 공유지의 비극이 생각나요
성야무인
25/04/11 10:38
수정 아이콘
UEFA쪽 회장은 현상황도 그렇지만

이 문제에 대해서 굉장히

불편해 한다고 합니다.

클럽팀에서는 좋을게 하나도 없거든요.
TWICE NC
25/04/11 10:40
수정 아이콘
32개국이랑 48,64개국의 경기수는 늘지만 뛰는 선수들은 1경기 차죠
전체 경기수가 늘어서 광고, 스폰서비는 급증함
협회 입장에서 늘리면 좋음
25/04/11 10:53
수정 아이콘
그냥 전국가 다 출전하죠 예선같은거 없애고
25/04/11 10:55
수정 아이콘
그냥 매번 중국에서 개최하시죠.
euphemism
25/04/11 10:55
수정 아이콘
아 출전권 인구수 쿼터제를 주라고 크크크
계피말고시나몬
25/04/11 10:56
수정 아이콘
차라리 월드컵 하위 대회를 만들 것이지.......
25/04/11 10: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48강보단 64강이 낫긴 하고 16강에서 32강 갈 때도 24강은 4번밖에 안 하긴 했지만 아직 48강 시작도 안 했는데 보기 안 좋긴 하네요.
데몬헌터
25/04/11 11:02
수정 아이콘
82년 대회가 24강이라 4번입니당
25/04/11 11:03
수정 아이콘
아 82년도 24강이군요. 수정하겠습니다.
바닷내음
25/04/11 11:02
수정 아이콘
256 하지 왜
25/04/11 11:12
수정 아이콘
아시아가 지금8장이니 본선 64팀 되도 비율상 2~3개 정도 늘어날텐데 중국 축구대표 지금 전력은 18개팀이 올라오는 아시아 최종예선 턱걸이로 올라오고 조가 빡세긴 하지만 역시나 최하위 수준의 모습을 보여주는 그 정도 티어라 아시아12장이 되도 못올라올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사실 한일 월드컵 즈음만 해도 아시아 2티어급 못해도 대충6~8위권 실력은 됐는데 관심과 투자는 늘어나는데 실력은 더 퇴보하는게 레전드긴 합니다.
기사조련가
25/04/11 11:13
수정 아이콘
그냥 일본 고시엔처럼 미래전형으로 중국 넣어 넣고 싶으면 인도도 넣구
25/04/11 11:14
수정 아이콘
그냥 그 나라에 개최권을 줘라
할수있습니다
25/04/11 11:18
수정 아이콘
참가국 수 늘어나는것도 별로고 개최국가 다국화정책도 진짜 별로라고 생각합니다.
쵸젠뇽밍
25/04/11 11:19
수정 아이콘
본선 진출 자체에 가치를 크게 두지 않는다면, 확대가 문제될 게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참가국이 늘어나는 것 때문에 개최국의 부담이 커지는 경우라면 모르겠는데, 현 상황에서 보면 전혀 그렇지 않고요. 굳이 중국 때문이 아니더라도 수익을 위해 확대는 당연한 방향에 가깝고, 거기에 중국까지 걸려있으면 더더욱 수익을 위해 확대할 수 있죠.

그럼 확대에 따른 반대급부는 뭐가 있냐인데. 국가 당 경기수 하나 더 늘어난다 정도입니다. 그 이유로 개최기간이 일주일 쯤 더 늘어날 거고요. 참가국이 늘어난 만큼 개최국이 부담하는 비용이 커집니다만, 늘어나는 비용 이상으로 수익이 커질 거라 개최국도 환영할 거고요.
수리검
25/04/11 11:31
수정 아이콘
지금도 여러 대회 늘어나면서 월드컵 있는 해에는
상위권 클럽의 경우 휴식할 최소한의 기간도 없는데
일주일/한경기 늘어나는 게 대수롭지 않은 일은 아니죠

대회 특성상 빡빡하고 촘촘한 경기 일정으로
로테이션도 없이 때론 연장도 포함해서 빡겜하는 거 생각하면 더더욱요
쵸젠뇽밍
25/04/11 11:37
수정 아이콘
네. 상위권 클럽의 경우 대수롭지 않은 일이 아니죠. 그래서 유에파가 반대하는 거겠고요.
발적화
25/04/11 11:20
수정 아이콘
그냥 인구 5억 이상 월드컵 자동 진출 조항을 넣지 그러냐
위르겐클롭
25/04/11 11:26
수정 아이콘
차라리 롤드컵처럼 플레이인을 만들어서 쩌리(?)들끼리 1승이라도 챙기게 하거나 이탈리아같은 팀 예선 광탈안하게 방지하는 측면이라도 만드는게..
윤니에스타
25/04/11 11:46
수정 아이콘
48개국도 말이 안되는 거라 생각해서 64개국은 너무 했네요. 월드컵은 32개국이 맞다고 봅니다.
인민 프로듀서
25/04/11 11:52
수정 아이콘
[월드]컵이니까 대회 운영만 잘되면 64개 국가 정도는 괜찮아 보이네요.
wish buRn
25/04/11 11:56
수정 아이콘
탈권위시대네요..
본선이 늘어날만큼 예선전은 감소하니 스케줄은 의외로 맞출 순 있을까요?
조던 픽포드
25/04/11 12:05
수정 아이콘
축구의 중심은 결국 유럽 클럽축구인데 이 쪽도 어떻게든 한경기라도 더 늘려서 돈 벌려고 고민중이라 양쪽이 같이 늘려나가다가 월드컵 있는 해 한번 지나가면 선수들 다 갈려나가겠네요
及時雨
25/04/11 12:08
수정 아이콘
예선을 없애...
거믄별
25/04/11 12:14
수정 아이콘
그냥 중국에서 계속 개최하는게...
Rorschach
25/04/11 12:33
수정 아이콘
64개국으로 늘리는 대신 예선 단계를 줄이면서 A매치데이 좀 줄이면 클럽들도 불만은 없을지도...

전 개인적으로 64개국도 괜찮다고 봅니다. 경기 수준은 좀 떨어질 수도 있긴 한데 4년에 한 번 열리는 '축제'라는 관점에서 보면 참가팀 늘어나는 것도 괜찮다고 봐요.

대신 4개팀 16개조로 편성하고 상위 1,2위만 진출하되, 32강 부터 토너먼트, 토너먼트 대진은 시드 부여 후 다시 추첨. 뭐 이런식으로 했으면 좋겠어요.
조별리그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일단 진출만 하면 순위는 크게 신경안써도 되는 분위기(강팀 선수 체력 안배) + 강팀들 토너먼트 상위라운드에서 만나기 이 정도 효과 위해서요.
모드릿
25/04/11 12:38
수정 아이콘
32강 체재가 최적화라고 보는데
돈에 눈이 멀었다 전부다
25/04/11 12:40
수정 아이콘
스스로 월드컵의가치를 떨어트리네요
스트롱제로
25/04/11 12:44
수정 아이콘
뇌절
지니팅커벨여행
25/04/11 12:52
수정 아이콘
중국을 더 비참하게 만들기 위한 큰 그림인가요?
김꼬마곰돌고양
25/04/11 12:54
수정 아이콘
아니 어떻게 11억 인구 중에 뽈 좀 차는 11명이 이렇게 안나온단말인가..
1억당 1명씩만 나와도 11명 될텐데 하
25/04/11 13:13
수정 아이콘
그 1억명당 볼좀 찰 1명이 축구를 할 확률이 거의 없어요. 생활 스포츠 저변이 낮으니 어릴때 부터 접할 기회도 적고 운동재능 있으면 탁구같은 다른 종목으로 빠지는거죠.
수리검
25/04/11 14:38
수정 아이콘
인구를 30억 정도로 늘려보죠?
No.99 AaronJudge
25/04/11 16:40
수정 아이콘
볼을 안 차고 볼을 만들고 있기에..
전기쥐
25/04/11 19:13
수정 아이콘
스포츠 재능들이 다 탁구한답니다
이동국
25/04/11 13:19
수정 아이콘
중국을 진출 시키려면 중국에서 개최 하는게 제일 빠른 방법일듯
베이컨치즈버거
25/04/11 13:29
수정 아이콘
마치 매드니스 비슷하게 64강부터 풀토너먼트하면 재미있긴 하겠네요. 전세계적으로 브라켓 맞추기도 하고요.
LCK제발우승해
25/04/11 14:38
수정 아이콘
1024강 해서 한 국적으로만 속한 팀이면 모두 지원가능하게 바꾸죠.
WCG 스타 대표 뽑는 것처럼 국가대표선발전 합시다. 저도 나가볼래요.
No.99 AaronJudge
25/04/11 16:41
수정 아이콘
피지알FC 월드컵 진출..?
Jedi Woon
25/04/11 14:58
수정 아이콘
그냥 중국에서 고정으로 개최 하는게 나을 듯 하네요.
전기쥐
25/04/11 19:13
수정 아이콘
그냥 중국에서 개최해
25/04/11 20: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금 중국꼴 보면 64장으로 해도 쉽지 않습니다.. 생각보다 아시아팀들이 전력이 상향 평준화되고 있어요. 한국, 일본, 호주, 이란, 사우디는 기본으로 5장. 이라크, 우즈벡, 카타르, UAE, 요르단까지 5장. 남은 6장을 오만, 바레인, 태국, 인도네시아, 북한 등과 경쟁해야 하는데 이것도 쉽지 않습니다. 중국은 아시아에서도 16강에 들까말까한 상황입니다.
물러나라Y
25/04/11 21:02
수정 아이콘
중국이 축구를 못하는 이유는 인프라가 후져서 입니다.

인구가 많다 한들, 기본적으로 중국 사회는 1자녀가 대부분인데 그 1자녀들의 부모들이 우선 시 하는 진로는 공부고,
체육 쪽으로 특화된 아이들조차 축구보다는 성공 확률이 높은 농구나, 올림픽의 개인 종목들로 죄다 빠집니다.
지도자의 풀이 아예 다르거든요. 당장 세계 최강 급인 탁구 지도자 풀은,
아시아 내에서도 인정 못 받는 축구 지도자에 비해 월등합니다. 당장 올림픽의 성적이 증명하듯요.

공부나 다른 종목들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지만, 집이 부유한 아이들이 축구를 합니다.
예전 한창 중국이 축구에 돈 때려 박을 때 어마어마한 규모로 짓던 유럽 명문 클럽들 중국 지부들은
고위층 아이들의 사교클럽으로 전락한게 현실이니까요.

그나마 축구에 재능있는 소수민족들(위구르, 회족-그 유명한 우레이, 장린펑- 등)이 나오기는 했는데,
기본적으로 지도자들의 수준이 낮고, 국내리그는 넘사벽 외국인들의 기량에 국내 선수들의 기량이 못 미쳤는데다,
한창 돈 때려 박을때는 리그에서 "중국 국적"의 유망주라면 유럽 생각을 할 수 조차 없는 거금을 안겨주니
선수들의 수준이 도태된 겁니다. 선수들에게 제대로 된 시장가치가 부여되질 않았으니
점점 더 국대는 만신창이가 된 거죠. 실제로 '축구굴기'를 하던 시절(10년 전)에,
아시아 축구 선수들 연봉 TOP10을 대부분 중국 선수들이 차지했을 정도입니다.
쉽게 얘기해서 토트넘에 막 진출한 손흥민 보다 상하이 상강에서 뛰던 우레이의 연봉이 훨씬 더 많았습니다.

거기에 중국 국민들은 대놓고 정부를 욕할 수 없다보니, 유일하게 욕이 허용된 것이 축구 국대입니다.
축구가 인기가 많기도 하지만, 국민들의 배설장이 된 게 축구 국대죠.(뭐 우리도 비슷하긴 합니다만)

64개국으로 늘리면 나올 수 있는 확률이 늘어나긴 할 겁니다만,
중국의 자리를 위협하는 아시아 2~3티어 국가들의 실력이 급격히 오르는게 중국에겐 타격이죠.
특히 동남아시아는 이미 중국이 두려워하는 수준이고,
1티어를 넘나드는 중앙아시아의 우즈벡 이외에도 타지크, 키르기스, 투르크메니스탄 등등도
중국의 자리를 위협 중입니다. 이미 중동은 중국과의 실력이 한참 벌어졌구요.

축구가 쉽게 성적이 올라오는 스포츠가 아닌데,
중국은 너무 쉽게 생각했죠.
윤니에스타
25/04/12 09:56
수정 아이콘
월드컵 64강 해도 중국은 못 올라올 것 같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19839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4376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76455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48895 0
87984 [연예] 약한영웅 Class 2 공식 예고편 (feat. 약간의 스포?) [1] 아롱이다롱이1201 25/04/13 1201 0
87983 [스포츠] ??? : 축하해요 미친놈아 형님 [12] SaiNT7097 25/04/12 7097 0
87982 [스포츠] 타이거즈는 어떻게 약팀이 되었는가? [46] 포스트시즌9399 25/04/12 9399 0
87981 [스포츠] 1위팀 덕아웃 모습 [9] 제논6843 25/04/12 6843 0
87980 [연예] 워너에서 리메이크 할 계획이라는 영화 [50] a-ha9615 25/04/12 9615 0
87979 [스포츠] [MLB] 이정후 시즌 1호 홈런 [43] SKY9210857 25/04/12 10857 0
87978 [스포츠] 오사카 프로레슬링 오사카 천만궁 대회 직관기 [6] 及時雨3928 25/04/12 3928 0
87977 [연예] [에스파] 25번째 생일을 맞이한 카리나 (+콘서트 움짤 모음) [8] Davi4ever4470 25/04/11 4470 0
87976 [스포츠] 시즌 1호 배치기!(feat. 염감독) [16] 제논6617 25/04/11 6617 0
87975 [스포츠] 회장님이 오셨어?! 이건 기회야 [22] 제논7880 25/04/11 7880 0
87974 [스포츠] [NBA] 트레이드 이후 돈치치 레이커스에서의 기록 [21] 한사영우4263 25/04/11 4263 0
87973 [스포츠] 모하메드 살라 계약 연장 오피셜 [53] 코마다 증류소5992 25/04/11 5992 0
87972 [스포츠] [KBO] 현재 평자책 0점대 선발투수 2명 [32] 손금불산입6030 25/04/11 6030 0
87971 [연예] 반성문 장인 [36] B와D사이의C9438 25/04/11 9438 0
87970 [스포츠] [해축] 우리도 남아있다 유로파.mp4 [2] 손금불산입2425 25/04/11 2425 0
87969 [스포츠] [해축] 토트넘의 이번 시즌 마지막 희망.mp4 [8] 손금불산입3141 25/04/11 3141 0
87968 [연예] 미션 임파서블8’ 톰 크루즈, 칸 찍고 한국 온다. 5월 7~8일 [11] SAS Tony Parker 2889 25/04/11 2889 0
87967 [스포츠] 인판티노 피파 회장이 2030웛드컵부터 출전국을 64개국으로 늘리자는 발언을 했네요 [67] 강가딘5842 25/04/11 5842 0
87966 [스포츠] [KBO] 삼진 관련해서도 기록이 나온 오늘 KBO [23] SKY927436 25/04/10 743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