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05 15:55
공개해서 즐거운 건 당사자 아닌 사람들 밖에 없으니까요?
구단이 어쩌고 선수가 어쩌고 하는 건 사실 부가적인 얘기죠. 운영 구단중에 그걸로 장난질 칠 수준의 구단이 있는 것도 아니라서요... 세계최고 연봉 받는다는거 알려져서 좋은거보다 불편한게 많을거고, 구단도 선수연봉으로 100억 지출 이런거 밝혀져야 좋을 거 없을테니까요
25/08/05 16:0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325921?sid=105
[타 프로선수는 연봉 공개하는데…LCK는 "시기상조" 왜?] 2022.07.26. "LCK는 선수 간의 연봉 격차에 따른 위화감 등 고려" "추후 상황 지켜보고 공개 여부 결정 방침" '페이커' T1서 연봉 50억 이상…북미, 백지 수표 제안도 LCK 팀 핵심 선수 중 수십억대 고액 연봉자 많아 3년전 기사네요.
25/08/05 16:17
구단은 공개해서 좋은 점도 있을거 같아요.
가령 왜 a 선수 못잡냐~~ 라고 난리가 나도 작년 연봉이 xx 억이였는데 올해 더 올려주기엔 팀 사정이... 하면 사람들이 그럼 어쩔 수 없지 할 수도 있으니까요. 또 상대 구단 어떤 선수가 얼마 받는지 대충 나와야 다음에 선수 영입하고 할때 더 협상이 쉽죠. 어차피 뒤로는 대충 다 알거 같긴 하지만요. 저도 굳이 왜 공개 안하는지 궁금합니다. 선수들도 대충 눈치 채고 있을텐데 위화감은 말도 안되고요
25/08/05 17:37
LCK뿐만아니라 다른 롤리그도 연봉공개를 안하고있죠
개인적으로는 라이엇의 의견이라고 보긴합니다. 연봉공개를 했을때 리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느냐하면 없다고봐서....
25/08/05 18:44
일단 연봉공개와 샐러리캡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샐러리캡의 준수여부는 운영 주체가 감시하는 거고 그쪽에만 계약 조건이 제대로 보고되면 아무 문제 없죠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연봉을 공개하는 이유는 그냥 팬 서비스 입니다 롤판이야 사실상 전 세계 리그가 하나의 리그나 다름없고 제대로 공개하는 리그가 없는 걸로 봐서 라이엇의 의도가 그런 것 아닐지 ..
25/08/05 20:04
그러게요,스타때도 선수연봉이 공개되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오히려 공개안하는게 구설수도 더 많고 정떨어지는 사건사고도 더 많이 나오는것 같은데.
25/08/05 21:00
판이 그만큼 건전하지 않은 부분이 많은 것 같긴합니다. 선수-기업-라이엇의 관계가 조금 희안하다고 할까요..
지역대항전이 가장 큰 컨텐츠가 되어버려서.. 뭔가 정말 애매해요. 국가간 선수가 넘어가는데 룰적으로 거의 제약이 없는 것 같기도하구요. 선수들은 계약기간이 매우 짧고. 팀은 정말 제대로된 수입을 얻기도 힘들고. 뭔가 기존 스포츠시장에서 볼수 없는 형태긴 합니다. 여기에서 연봉이 공개되봐야 그냥 불탈꺼리만 추가로 제공해주는 느낌이라서요. 흑자인 팀이 단한팀도 없어보이는데. 선수들은 아이돌화 되어있고.. 골때립니다.
25/08/06 13:10
꾸준히 쌓아온 언론이나 전문 추척 사이트들 덕분에 유명 프로리그 선수들의 연봉을 우리가 잘 아는거지
누구를 얼마에 싸인했다고 공식적으로 문서를 통해 밝히는 리그가 사실 별로 없긴 할겁니다.
25/08/05 22:56
샐러리캡 감시에 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해 공개하는게 무조건 맞다 보고. 또한 공개함으로써 팀들이 싫어하는 거품 연봉도 뺄 수 있는데 팀들이 불확실성 때문에 공개를 원치 않은듯. 카더라로 연봉썰이 퍼지는 경우는 대체로 뻥튀기가 되지 절대 팀 입장에서 유리하게 돌아가지 않는데 말이죠.
정작 거품 연봉이 꺼지면 LPL에 선수 유출당할 수 있는게 LCK라 LCK에 잘하는 선수들이 많이 남았으면 하는 팬 입장에서 손해인데 요즘 보면 그럴 것 같지도 않은 판인듯하고. LCK 상위 팀 부름 못 받으면 LPL에 어쩔 수 없이 가는 메타가 되었거든요.
25/08/06 00:01
기존 프로스포츠에서도 샐러리캡이 있어도 공개 안 하는 스포츠 많습니다. 연봉이 기본적으로 개인정보라는 것을 다들 간과하시는 것 같아요. 미국만 봐도 샐러리캡이 있음에도 nba, nfl 은 공개 안하고(알려진 것들은 대부분 팀과 선수 본인이 합의해서 공개하거나, 기자들이 취재하거나 워낙 샐러리 내 영입 제한이 심해서 계산을 통해 알려진 겁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연봉이 알려진 바와 다른 경우도 많고요.) 유럽 축구에서도 공개 안 하고요. 국내의 경우에 K리그 같은 경우는 (국내 선수, 외국인 선수) 연봉 상위 10위까지만 공개하고요. 물론 KBO나 MLB 처럼 공개하는 스포츠도 있지만요.
공개할 이유가 있으면 팀과 선수들이 협의해서 공개할 수 있지만, 공개 안 한다고 해서 그게 유사스포츠라고 불릴 이유는 없습니다.
25/08/06 00:21
생각외로 선수들 연봉을 다 공개하는 프로스포츠는 많지 않습니다.
당장 최상위 프로스포츠인 NBA / NFL 등도 기사로 나오는거지.. 공식적으로 공개하진 않고 있어요..
25/08/06 01:39
보니까 F1도 철저한 비공개더라구요. 모두 추정치고 관계자들은 언론에 알려진 금액과 실금액은 생각보다 많이 다르다고도 하고..
제 생각에는 이 판은 거의 막바지까지 비공개로 갈 것 같습니다.
25/08/06 10:38
이런 오해는 결국 누구누구 몇년 몇십억에 어디 간다, 주급 얼마 받는다 하는 기사가 없어서 생기는건데 그냥 순수하게 기자가 붙어서 기사화할 가치가 없는것 뿐이죠...
25/08/06 13:13
그냥 우리가 궁금하니까 공개하라고 할 뿐,
버는 금액 정확하게 공개적으로 공개해서 좋을 건 없죠. 리그적인 것 뿐만 아니라 선수 사생활면에서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