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5/07 17:36:24
Name 물맛이좋아요
Subject [일반] (바둑) 올해 신진서가 패한 세 대국에 대하여 알아보자

2023년 2월 3일

작년 12월 AI 치팅논란이 있던 리쉬안하오와의 춘란배 4강 경기 패배 이후

34연승 중이었던 신진서 9단은 이 날 세 번의 대국을 치웠다.





오후 1시

제 41기 KBS 바둑왕전 4강


당시 한국랭킹 2위인 변상일 9단을 만나 승리



오후 7시

KB바둑리그 3라운드 킥스 vs 포스코케미칼


킥스팀으로 출전하여 포스코케미칼의 박민규 8단과의 대국에서 승리



밤 11시

KB바둑리그 3라운드 킥스 vs 포스코케미칼

2:2 로 동률인 상황 에이스 결정전에서 두 팀의 에이스인 신진서와 원성진 9단의 마지막 대국



DSC01377

- 0시 13분, 신진서의 36연승이 멈췄다.




다음날까지 이어진 대국에서 원성진이 249수만에 불계승으로 포스코케미칼의 승리를 확정 지었다.

신진서가 KB바둑리그에서 678일 동안 이어왔던 무패기록이 깨졌고, 개인전 연승 기록도 36승에서 끝나게 되었다.


공식전에서의 하루 세 번의 대국이 나온 것은 최초의 일이었다.


이전에는 리그에서 한 기사의 하루 두 번 출전이 불가능 했는데, 같은 선수가 한 경기에 두 번 출전 하는 것이 가능하게 규칙이 바뀌면서 신진서는 이날 모두 세 번의 대국을 하게 된 것이다.

상대였던 원성진 또한 그 날의 두 번째 대국이었다.



549-25

- 문도원 캐스터 : 신진서 9단, 어서 들어가 쉬었으면 합니다.  (그래야 저도 집에 갑니다.)



바둑왕전과 KB바둑리그는 모두 국내리그로 국내리그의 스케쥴은 한국기원에서 관리하며 리그에서 하루 두 번 출전이 가능하게 규칙을 바꾼 것도 한국기원이기에

한국기원이 스케쥴 관리를 잘못하여 기사들의 혹사시키고 있다는 비난을 받았고, 여러 바둑 관련 언론에서 이번 일을 기사화 하였다.



Screenshot-20230507-133948-Chrome



신진서는 이어진 인터뷰에서 하루 세 번의 대국이 자주 있는 일도 아니고 세계 대회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상관없다고 밝혔다.



86575b4cb4c4f43b5ea52efeeaa2d11b







2023년 2월 17일

2021년 S항저우팀의 용병으로 팀의 우승을 이끌었던 신진서는 2022년 또다시 S항저우팀에게 용병으로 지목받았다.

2023년 2월 17일에 열린, 2022년 중국 갑조리그 챔피언 결정전 1R에서

신진서는 중국랭킹 26위의 황윈쑹 8단을 상대로 만났다.


8ca9755a3761fe0e5bd8c3072bee9459

- 우측의 기사는 황윈쑹이 아닌 박정환 9단이다.  He is korean.




신진서와 황윈쑹의 마지막 대국은 2017년에 있었고

그 때까지 두 기사의 상대 전적은 2:2

그 후 5년 만에 만난 두 사람의 대국이었다.

초반의 좌상귀에서 있었던 큰 전투에서 큰 손해를 본 신진서는 특기인 난전을 통해 최대한 바둑판을 어지럽게 만들어 봤지만 황윈쑹이 역전의 빌미를 주지 않는 바둑을 두며 결국 패배

K바둑에서 해설을 맡은 안형준 5단은 “황윈쑹 선수가 승기를 잡은 다음부터는 더없이 꼼꼼하고 철저했다. 안전하면서도 느슨하지 않은, 최선의 선택만을 했다.”고 평가했다.





다음날 2월 18일 S항저우팀과 장쑤팀의 챔피언 결정전 2R


6282492237dfb8e1b6df60ab36bfb8d2


주장전에서 황윈쑹을 다시 만난 신진서는 226수 만에 불계승을 거두면서 S항저우팀의 우승을 결정지었다.

( 너 존내 못두잖아!! 3승 3패 )




270e4155e8cd7190c8ab67e844624073




2023년 2월 24일

농심배는 한중일의 최강 기사들이 5:5:5로 대결하는 연승전이며 우승상금 5억과 승리수당, 연승수당이 걸려있는 가장 큰 규모의 바둑 단체전 국제대회이다.


Screenshot-20230507-162931-Chrome

- 이창호 9단이 홀로 중국 기사들의 뚝배기를 다 깨버린 상하이대첩이 있었던 대회가 제 6회 농심배이다. 왠지 잘생겨보이는 이창호



제 24회 농심배에서 중국의 마지막 기사로 출전한 구쯔하오 9단은 한국랭킹 2위, 3위인 박정환과 변상일 9단을 꺾고 한국의 마지막 주자로 기다리고 있던 신진서를 불러내었다.



fecbafb465b060c3da6362f3450a0a03

- 22회 대회에서 5연승, 23회 대회에서 4연승으로 한국의 농심배 우승을 이끌었던 신진서, 왠지 잘생겨보인다.




오후 2시에 시작된 신진서와 구쯔하오의 제 24회 농심신라면배의 최종전

좌상변에서 시작된 좌변전투에서 뛰어난 수읽기로 승기를 잡은 신진서가 4시간에 걸친 혈전 끝에 승리를 거두며 한국의 15번째 농심배 우승이자 한국의 대회 삼연패를 확정지었다.

우승 직후 열린 시상식에서 박준 농심 대표이사가 한국 선수들에게 트로피와 5억원의 상금을 전달했다.




오후 7시

KB바둑리그 5라운드 킥스 vs 한국물가정보



불과 한 시간 반 전, 농심배 시상식에서 같이 트로피를 들어올렸던 신진서와 강동윤

두 기사가 바둑판을 사이에 두고 적으로 만났다.


Screenshot-20230507-151619-Chrome

- 아까 받은 5억, 몰빵 어때?



초반부터 일방적인 전투가 이어졌다.

좌하귀와 좌변의 흑대마를 잡아낸 강동윤은 초반부터 일방적으로 신진서를 몰아붙였고 계속 후퇴하기만 하던 신진서는 결국 201수를 둘 때 시간제한을 넘기면서 패했다.



한국물가정보는 킥스를 상대로 4:0의 완봉승을 거두었고

강동윤은 이 승리로 신진서를 상대로 한 8연패에서 벗어났다.

(강동윤은 바둑 한 판에 5억을 벌었다.)




(큰 돈을 날려 개빡친) 신진서는 이후 27연승을 거두고 있다.


dad0035af6a3fbd325e03d3e4a627e5c




23년 5월 7일

신진서의 23년 공식전 전적

45승 3패

승률 93.7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방에발할라
23/05/07 17:41
수정 아이콘
3패중 2패마저 컨디션 관리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거 고려하면 진짜 각 잡고 준비해온 대국이면 어지간해서는 안진다는 거네요....그럼데 사실 45승 3패인 것도 사실상 안진다는 거긴 하군요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3/05/07 17:43
수정 아이콘
더블헤더 트리플헤더를 시켜서 컨디션을 나락보내야...?
각이 나오나?
강동원
23/05/07 17:44
수정 아이콘
제목 보고 : 신진서 개잘한다며 3패나 했네?
본문 보고 : 인간임?
분쇄기
23/05/07 17:50
수정 아이콘
뭔가 샌디 코팩스랑 요기 베라 생각이 나는 대사(?)
aDayInTheLife
23/05/07 18:06
수정 아이콘
쉽게 말해서 하루에 세탕 정도는 뛰어야 집중력이 흔들린다…
어케 이김?! 소리가 나오네요. 크크크
23/05/07 18:16
수정 아이콘
이야 어떻게 관리하길래 저 집중력이 나올까 크크
23/05/07 18:41
수정 아이콘
신진서는 대단한게 평소에무난히두다가 중요한대회 높은곳에서 전략까지쓰죠
23/05/07 19: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솔직히 트리플헤더는 선넘었죠.

바둑 하루 2경기의 경우, 종종 있는거라 일반적이라면 큰 문제는 아닙니다.
근데 저 더블헤더가 문제가 된건 중요한 세계대회 장고대국을 치르고 얼마 안되어 굳이 1국 장고 대국을 내보냈던거죠.
사실 상대팀도 1국에 신진서 당연히 안낼줄 알고 강동윤을 낸건데, 그걸 잡겠다고 저렇게 오더냈다가 진겁니다.
물론 오전 대국이 워낙 중요하고 어려운 경기였다보니 3,4국 속기에 냈어도 힘들었긴 했겠지만, 그건 그래도 다들 납득했을겁니다.

이런 식으로 연승기록이 끊기고 있다보니 팬들이 난리가 나는거죠.

그렇다고 팀 성적이 좋지도 않아요.
이번시즌 한국바둑리그는 대만기원 일본기원 팀 포함한 12개 팀의 양대리그(난가리그, 수담리그)로 치러지는데,
KIXX 팀은 팀당 1경기 남은 현재 절대강자 신진서 데리고도 난가리그 5등/6팀 입니다. 그것도 신진서 에이스결정전 제한 6경기 꽉꽉 채워 다 썼어요(문제의 트리플헤더 포함). 꼴찌가 전력이 뒤쳐지는 대만기원 팀인 것 감안하면 사실상 꼴찌죠.
그나마 2~5등이 승점차가 2점이라 3등까지 가는 포시 가능성이 아직 살아있긴한데 쉽진 않습니다.

덧. 5억빵은 글쓰신 분의 농담일텐데 글 읽는 분들이 진짜로 믿으실까봐.. 실제로 농심배 상금은 대표5인이 나눠 갖는 것으로 압니다.
Valorant
23/05/07 19:42
수정 아이콘
연승 기록 수치 자체에 열광할 것인가
그럼에도 기록을 세워나가는 실력에 열광할 것인가..
어렵네요.

전자는 역사에 남을 기록이 되어 후세는 전후상황을 알기 어려울테니..
23/05/07 21:02
수정 아이콘
단순히 연승 기록 수치 자체도 문제라면 문제인데,
저 두 건이 문제가 되는건 혹사라면 혹사라 볼수 있는 비정상적 기용이기 때문이죠.

하루 공식전 3판은 매우 이례적이고,
농심전 이후 1경기 장고 기용의 경우, 아마 3,4국 속기(1,2국으로부터 최소 1시간30분 이후 시작됩니다)에만 냈어도 힘들겠지만 어쩔수없다 정도로 그쳤을겁니다.
물론 혹사 개념이 희박한 바둑 특성상 만약 이겼다면 신진서 대단하다 정도로 그쳤을 것 같지만.. 결국 졌죠.

애초에 바둑 기사들은 아무리 많이 경기를 나가게 되어도 대부분 힘들다기보다는 '한 국(경기)이라도 더 둘 수 있는게 감사하다' 식으로 얘기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기사마다 둘 수 있는 바둑 공식전 기회 자체가 극단적으로 차이날 수 밖에 없는지라 더욱 그런 분위기죠.
감독이 최소한의 상식적인 관리 쪽으로 나서기만 하면 되는데, 그것도 잘 안된 모양새니 얘기가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23/05/07 20:43
수정 아이콘
이전에는 한국바둑리그에 에이스 결정전이 없었기 때문에 많아야 대회 한 경기, 리그 한 경기 였지만 모든 세트 다 치뤄야 하고, 죽은 세트가 나오다 보니
리그 활성화 차원에서 에이스 결정전을 도입했는데 리그의 재미는 조금 더 생겼지만 이로 인해서 에이스에게 부담이 가중되는 느낌이긴 합니다.
나른한오후
23/05/07 20:44
수정 아이콘
바둑글 감사합니다..
글만봐도 재밌네요
장재호급으로 바둑두는 ai군요
창조신
23/05/07 21:12
수정 아이콘
45승 3패 크크크크크 어이가 없네요.
근데 그 3패중 2패도 체력 다 떨어지고 했다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모나크모나크
23/05/07 21:35
수정 아이콘
이게 그 억까 아닌가요??
카사네
23/05/07 21:43
수정 아이콘
바알못인데 승률보고 놀라고 갑니다
及時雨
23/05/07 22:20
수정 아이콘
박보검나 잘생겼네
퀵소희
23/05/08 00:57
수정 아이콘
신진서 보면 ai랑 인간 중간 지점인듯하죠. 이창호는. 바둑을 이해한후 말기때보았고, 이세돌은 그냥 어레귤러였고. 박정환과 비교하자면. 설명할길없이 탈 인간화입니다.
퀵소희
23/05/08 01:02
수정 아이콘
뭐랄까. 사람이라 ai처럼 천천히 갉아먹기가 성공하는게 아닌대, 내가 작은실수해도 너도 작은실수 언젠가는 나올거야 마인드로 두는듯.. 정말 손댄수없는 끝내기가 아니면 사람이 아주살짝 실수하는거 파고들어 역전하더군요
물맛이좋아요
23/05/08 01:06
수정 아이콘
이번 난가배 16강에서 딩하오를 꺾을 때 딱 그랬던 것 같습니다.

딩하오가 실수한 것이 없는데 조금씩 조금씩 갉아먹더니

그냥 압도해버리더군요.
유료도로당
23/05/08 09:16
수정 아이콘
모든 프로기사가 AI를 끼고 공부하는 시대가 되면서 기사들 실력이 상향평준화되지 않겠냐 하는 예측이 있었던것 같은데 여지없이 압도적이네요..
그럴수도있어
23/05/08 09:24
수정 아이콘
하루에 대국을 세번이나 하는건 ... 잘생긴(?) 이창호 때도 저렇게 했는지 궁금하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3/05/08 10: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과거 승단전할땐...불가능할거같진 않은데...89년 한해에 대국을 111국을 했다고하니까...
이세돌이 뻗대서 개정되기전까진...
23/05/08 11:16
수정 아이콘
과거 대회 예선 같은 경우엔 하루에 많은 경기를 치루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이창호 9단도 예선 같은 경우엔 1일 3대국이 몇 차례 있구요.
다만 예전엔 오히려 대회가 많고 제한 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본선 일정은 안 겹치도록 잡았습니다. 대신 대국이 거의 매일 있었죠.
그럴수도있어
23/05/08 12:4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터치터치
23/05/08 16:47
수정 아이콘
그런데 하필 오늘 뭔가 4패할 분위기긴 하네요 ㅜㅠ
터치터치
23/05/08 18: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 그 불리한 걸 뒤집었군요 캬,,,,,
23/05/08 18:55
수정 아이콘
불리한 상황 좌변 나와끊음에서 시작해서 상변 우변 하변 반상을 순서대로 한 바퀴 돌더니 이기는 모습은 기력이 낮아 제대로 이해할 순 없었지만 마치 하나의 연주를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5312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28862 9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51615 28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22657 3
101622 [일반] 뜬금 없게 한식뷔페에 꽂힌 이야기 [19] 데갠4856 24/06/02 4856 3
101621 [일반] [팝송] 걸 인 레드 새 앨범 "I'M DOING IT AGAIN BABY!" [1] 김치찌개2782 24/06/02 2782 3
101619 [일반] 취미 악기 찍먹러 - 주말 잡담 [40] 79년생5126 24/06/01 5126 5
101618 [일반] 웹소설 추천 - 농어촌 에이스 [9] 리얼포스5655 24/06/01 5655 0
101617 [일반] 돈과 시간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55] 모찌피치모찌피치7112 24/06/01 7112 22
101616 [일반] LLM에 대한 오해 [36] 해석기6347 24/06/01 6347 0
101614 [일반] 한국 군대는 왜 개판이 되었나 [38] 고무닦이5270 24/06/01 5270 8
101613 [정치]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최저 여론조사 지지율인 21%가 나왔습니다. [109] 빼사스13263 24/05/31 13263 0
101612 [정치] 직업군인의 처우개선이 안되는 이유.횡설수설 [37] 주먹쥐고휘둘러5802 24/05/31 5802 0
101611 [일반] 주택구매 기준에 대한 짧은 생각 [30] whoknows5825 24/05/31 5825 16
101610 [일반] 실존적 공포를 이야기하는 AI [35] 여행의기술6342 24/05/31 6342 2
101609 [일반] [방산] 천궁 사세요, 천궁 [32] 어강됴리5653 24/05/31 5653 4
101607 [일반] 사랑은 변하는 걸까? - 어지러움에서 파생된 한자들 [13] 계층방정3289 24/05/31 3289 9
101606 [일반] 잘 나가던 밴드 키보디스트가 재벌에 비수를 꽂는 내부고발자가 되었다!!! [14] 매번같은6449 24/05/31 6449 8
101605 [일반] 트럼프 '입막음돈'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모두 '유죄' [19] Davi4ever6344 24/05/31 6344 1
101604 [정치] 대통령과 김치찌개와 축하주와 웃음, 그리고 훈련병. [55] 덴드로븀8560 24/05/31 8560 0
101603 [일반] 인분 이슈가 있었던 빛과진리교회 관련 재판이 모두 마무리되었습니다. [12] 뜨거운눈물5500 24/05/30 5500 1
101602 [정치] R&D를 죽였지만 달에는 가고 싶어 [74] 네야9440 24/05/30 9440 0
101601 [정치] 헌정사상 첫 검사 탄핵소추 기각 [37] 몰라몰라8552 24/05/30 855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