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9/25 18:08:39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단상]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의 연대기의 첫장 (수정됨)
타키투스는 고대 로마의 가장 유명한 역사가입니다.
그는 [연대기]를 저술하였고, [게르마니아]를 저술하였습니다. 
도미티아누스 치세 당시 활동한 인물이며, 
아우구스투스가 죽은 지 거의 50년이나 지나 태어난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공화주의자]였으며, 
아우구스투스가 세운 [제정]을 혐오했던 것 같습니다. 
황제들의 권위를 부정한 그의 역사서가 당대 실제로 회람되었을지...
그의 [연대기] 첫장을 대충 의역해서 한 번 공유합니다. 
==================================================================================================

1. 로마는 처음에 왕들에 의해 다스려졌다. 하지만 루키우스 브루투스 때 자유와 집정관제도가 확립되었다. 때로는 독재관이 있었지만, 이는 한시적이었다. 10인위원회의 임기는 2년이었고, 군사통치권의 임기 또한 길지 않았다. 킨나와 술라의 전제정은 짧았다. 그러나 폼페이우스와 크라수스는 카이사르에게 권력을 양도할 수밖에 없었고, 레피두스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아우구스투스에 권력을 이양해야만 했다. 아우구스투스는 세계를 혼란시켰던 내전을 종식시켰고 "프린켑스"라는 칭호 아래 통치하였다(Imperium). 과거 로마의 성공과 역전은 유명한 역사가들에 의해 기록되었으나, 훌륭한 지성인들은 그의 치세를 기록하길 원치 않았다. 티베리우스, 가이우스(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 네로의 역사는 그들의 치세 동안 공포에 의해 위조되었었고, 그들의 죽음 직후에는 증오에 의해 덧씌워졌다. 따라서 나는 그 어떠한 악감정이나 편견없이 아우구스투스의 행적에 대한 몇 가지 사실, 특히 최후의 순간에 행했던 것들을 이야기하고 티베리우스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2. 브루투스와 카시우스가 파괴된 이후 공화국의 군대는 더 이상 남아있지 않았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시칠리아에서 대패하고, 레피두스는 굴복하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살해당한 후 오직 율리우스 가문의 카이사르(아우구스투스)만 남게 되었고 그는 삼두정치를 버리고 집정권과 호민관의 권한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그는 군인들에게 선물을, 백성들에게는 저렴한 곡물을, 그리고 모든 이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주면서 권력을 강화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원로원의 권한, 국가요직의 권한, 그리고 모든 법의 권한을 본인에게 집중시켰다. 그를 막을자는 더 이상 남지 않았다. 가장 용감한 이들은 전투에서 숨지거나 공직을 박탈당했다. 그리고 남은 자들은 기꺼이 노예를 자처할수록 더 많은 승진기회와 부를 얻게 되었다.
==============================================================================================================

이 대목만 봐도 그가 어떤 입장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지요. 
그의 저서들이 살아남은 게 용합니다.   
그리고 아우구스투스 사후 1백년이 넘게 지나서도 공화주의자들이 남았다는 게 한편으로는 흥미롭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9/25 18:27
수정 아이콘
원래 이상주의자들이 글을쓰고, 현실주의자들은 말보단 행동이니까요
닉네임을바꾸다
19/09/25 18:40
수정 아이콘
뭐 명목상으로는 공화정 전통은 유지되었으니까요...
카스가 미라이
19/09/25 19:46
수정 아이콘
최근에는 비잔티움 제국 시기에도 여전히 공화정 전통이 이어졌다는 연구가 많이 나오는 모양이더군요
DownTeamDown
19/09/25 19:54
수정 아이콘
명목상 공화정인데 공화정을 원한다는 이유로 말만하는 사람을 가둘수가 없었죠
아니아니
19/09/25 20:13
수정 아이콘
고대 역사가들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거짓말을 하는 등 신뢰도가 개판 오분전이었다고 합니다. 세네카는 혜성과 관련된 에포루스의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 사람을 반박하는 것은 간단하다. 그는 역사가다."

반면 타키투스는 최소한의 노력을 했던 것 같습니다. 다른 역사가들은 목격자가 아님에도 마치 직접 봤다는 듯 본인의 견해와 왜곡을 섞어서 사실을 진술하듯 기록했지만, 타키투스 연대기에는 "어떤 이들은 이러이러하게 말했다." 또는 "~~라고 기록되어 있다." 라는 표현이 매우 여러 번 나온다고 합니다.

물론 제가 읽은 건 아니고, 타키투스를 좋아하는 해외 기독교인들의 주장을 퍼온 겁니다. 사실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5464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056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486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7476 3
104084 [일반] 건법 앞의 평등 - 미국 유나이티드헬스케어 [35] 맥스훼인2344 25/04/18 2344 0
104083 [일반] 인구구조 문제는 절대로 해결 불가능한 문제일까요 [52] liten2426 25/04/18 2426 1
104082 [일반]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결산 [5] 及時雨1640 25/04/17 1640 9
104081 [일반] 폭싹 속았수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약스포) [45] 빵pro점쟁이5232 25/04/17 5232 2
104080 [일반] '한 문제에 50만원' 현직교사 포함한 사교육 카르텔 100 여명 검찰송치 [41] EnergyFlow8283 25/04/17 8283 6
104079 [일반] <야당> - 뻔하다는 건? 말아먹진 않는다는 것. (노스포) [25] aDayInTheLife7180 25/04/16 7180 3
104078 [일반] 출생아가 두 배로 늘어나는 방법? - 적극적 이민 정책을 촉구하며 [274] 사부작11494 25/04/16 11494 11
104077 [일반]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지중화비 70% 국비 지원 [91] 깃털달린뱀9850 25/04/16 9850 20
104076 [일반] 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 17일 발표 [155] 교대가즈아11804 25/04/16 11804 2
104075 [일반] 대화의 방식 : SRPG와 RTS [42] 글곰8133 25/04/15 8133 22
104074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7 [11] Poe5652 25/04/15 5652 39
104073 [일반] 서울대 교수회가 제시한 "대한민국 교육개혁 제안" [86] EnergyFlow11594 25/04/15 11594 4
104072 [일반] “내 인생은 망했다, 너희는 탈조선해라”…이국종 교수, 작심발언 왜? [354] 궤변17390 25/04/15 17390 25
104071 [일반] 런린이가쓰는 10km 대회 준비&후기 [14] Jane5289 25/04/15 5289 6
104070 [일반] Nothing Happens. [4] aDayInTheLife3306 25/04/14 3306 6
104068 [일반] [역사] IBM이 시작해 도시바가 완성한 저장장치 / 저장장치의 역사 [19] Fig.13303 25/04/14 3303 7
104067 [일반]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은 어느정도 일까요? [76] 또리토스6799 25/04/14 6799 0
104065 [일반] 최근 보는 웹소설들 [37] 비선광6752 25/04/14 6752 3
104064 [일반] 오늘자 시총 10조 코인 먹튀 발생... [56] 롤격발매기원13641 25/04/14 13641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