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17 09:46:45
Name 여기
Subject [일반] 미신에 대한 생각


대학교에 다닐 때, 교환학생으로 온 독일인 친구가 있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종종 생일 하루 전쯤 미리 선물을 주고 축하하는 경우가 있어서, 저도 그 친구에게 생일 전에 선물을 건네며 축하 인사를 했습니다.

그런데 친구의 표정이 썩 좋지 않더군요.
나중에 그 친구가 조심스럽게 말해주기를, 독일에서는 생일 전에 미리 축하하는 것이 매우 안 좋은 일, 심지어 불운을 가져온다고 여겨진다고 했습니다. 생일 전에 축하를 받으면 진짜 재수가 없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전혀 몰랐던 사실이라 진심으로 사과했습니다.

그런데 며칠 뒤, 공교롭게도 그 친구 집에 정말로 안 좋은 일이 생겼습니다.
그때 정말 마음이 불편하고 찝찝했습니다. 친구에게 다시 한번 미안하다고 하니 괜찮다고는 했지만, 제 탓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마음에 걸렸습니다. 이처럼 의도치 않게 찝찝한 경험을 하게 되더군요.

비슷한 예로, 제 친구 중 한 명은 친형의 결혼식을 며칠 앞두고 다른 친구의 어머니께서 돌아가셔서 장례식에 가야 했습니다.
그런데 친구의 어머니께서 "장례식에 다녀올 거면 형 결혼식에는 오지 말라"고 하셨다고 합니다.
친구나 형은 "요즘 시대에 무슨 그런 미신을 믿느냐"며 괜찮다고 해서, 친구는 장례식에 다녀온 후 결혼식에도 참석했습니다.

하지만 몇 달 후 형이 이혼하게 되자, 어머니께서는 "내가 그래서 오지 말라고 신신당부하지 않았느냐, 왜 굳이 다녀와서 일을 이렇게 만들었느냐"는 식으로 친구에게 가끔씩 그 일을 언급하며 아직도 뭐라 하신다고 합니다. 그 친구 역시 형의 이혼이 자신 때문은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마음 한구석이 찝찝하다고 하더군요.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깨닫게 되는 점이 있습니다. 설령 제 스스로는 어떤 행동이 단순한 미신에 불과하다고 생각할지라도, 만약 상대방이 (그것이 미신적인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든 아니든 간에) 그 행동을 매우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거나 꺼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 그 행동을 하기 전에 한 번 더 신중하게 생각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혹시라도 그 이후에 좋지 않은 일이 발생했을 때, 비록 그것이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이성적으로는 알고 있더라도, '혹시 내 그 행동 때문이었을까?' 하는 찝찝한 생각에서 자유로워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는 결국 당사자에게도, 그리고 어쩌면 저에게도 불필요한 마음의 짐을 지우거나 서로를 불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대방의 생각이나 문화를 존중하는 차원을 넘어, 만약 상대방이 특정 행동을 분명히 꺼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 그 행동을 실행에 옮기기 전에 한 번쯤 더 그 의미와 결과를 헤아려보는 신중함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불필요한 오해나 후회를 만들지 않고, 스스로에게도 떳떳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안 좋은 일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단순히 미신적인 이유로 특정인의 행동 탓으로 돌리며 원망하는 것 또한 우리가 지양해야 할 태도일 것입니다. 모든 일에는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서로를 배려하는 작은 노력들이 모여 더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17 10:20
수정 아이콘
사회적인 강화학습이 곁들여져서 더 그런 것 같아요.
대부분 문제없다가도 우연히 한번 발생한 문제가 그거랑 연관되어 사방에 도시전설처럼 퍼지며 사람들에게 강화되는 방식처럼요.
이게 사회적으로 보면 미신이고, 개인으로 보면 징크스라는 단어가 더 적당할지도 모르겠네요.
한번은 손없는 날에 이사하자고 가족이 자꾸 고집하길래 전세계적으로 그 날에만 이사하는지 물어보고, gmt몇시 기준으로 귀신이 없는지까지 물어보면서 설득(아닌 강요)했던 기억이 나네요.
포도씨
25/05/17 10:41
수정 아이콘
이사는 손있는 날만 합니다. 크크
결혼 초창기에는 거의 반값이었는데 요즘은 좀 차이가 덜 나서 아쉬워요.
제가 어렸을 때에는 첫손님으로 안경쓴 사람 태우면 재수없다는 택시기사, 개시로 여자끼리 온 손님 안받던 음식점 사장, 4층이 없는 5층건물 등등 알지도 못하는 미신까지 넘쳐났는데 우리나라도 많이 발전하고 사람들도 달라져가는게 느껴지네요.
그런데 왜 최상류층은 아직도?
25/05/17 11:15
수정 아이콘
잃을게 많은 사람들일수록~~~
서쪽으로가자
25/05/17 10:55
수정 아이콘
단순 불운, 우연에 대해 무언가 탓할 거리를 찾는건가 싶기도 합니다. 인간은 비이성적인 면이 다분하니 어쩔 수 없지만요.
25/05/17 11:02
수정 아이콘
남녀노소 할거 없이 가장 많이 믿는건 본문에 있는 경사/조사 관련이더라구요.
임산부는 장례식장 가지마라. 경사 앞두고 가지마라 등등
혹여나 잘못되었을때 그 찜찜한 리턴값이 다른 미신들보다 훨씬 커서 그런것 같기도 합니다.
최근에 안 믿는건 아홉수, 손없는날, 숫자4관련 정도??
25/05/17 11:13
수정 아이콘
> 왜냐하면 혹시라도 그 이후에 좋지 않은 일이 발생했을 때, 비록 그것이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이성적으로는 알고 있더라도, '혹시 내 그 행동 때문이었을까?' 하는 찝찝한 생각에서 자유로워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게 충분히 알고 있지 않아서, 즉 내심 어느 정도 미신을 믿기 때문에 자유롭지 못한 거라 생각합니다. 조금도 믿지 않으면 조금도 찜찜하지 않습니다.
Gottfried
25/05/17 12:07
수정 아이콘
'I told you so' personality + 미신과 징크스를 중히 여기는 스타일이 만나면 정말 민폐 캐릭터가 나오긴 합니다...
마일스데이비스
25/05/17 12:43
수정 아이콘
아무 잘못 없이도 그냥 안 좋은 일이 생길 수 있다는 걸 납득하기 쉽지 않죠
안군시대
25/05/17 12:56
수정 아이콘
이게 핵심인듯 합니다. 모든 일에는 원인이 있다는 믿음이 미신을 만들죠.
유사과학도 비슷한 맥락에서 만들어지고요.
如是我聞
25/05/17 13:36
수정 아이콘
요즘 장례식은 시신을 냉장보관합니다만, 옛날에는 집에서 상을 치렀죠. 세균이 가득한 상태로 보관되고 있을 주검 곁에서 예를 차려야 할테고, 특히 병사의 경우 집 자체가 병균이 들끓었을겁니다.
계면활성제가 없던 시절이었을테니 환자가 쓰던 그릇과 숟젓가락에서 병균이 제대로 제거되지도 않았겠죠. 그 그릇과 숟젓가락 그대로 써서 먹어야 할테고.

터부가 생기는 것도 나름 과학적 까닭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뒹굴뒹굴
25/05/17 13:45
수정 아이콘
미신은 일종의 문화 컨텐츠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믿는거야 개인 취향이지만 진짜라고 얘기하거나 남에게 강요만 안하면 될것 같습니다.
완전연소
+ 25/05/17 13:51
수정 아이콘
전 미신을 믿지 않지만...
모든 사람이 저랑 생각이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미신을 믿는 주변 사람들이 있으면 그들의 터부를 굳이 건드리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 25/05/17 13:59
수정 아이콘
미신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굳이 설득을 하진 않습니다
그렇게 해서 마음이 편해진다면 나쁘지 않지 하는 식인데
계속 놔두면 자꾸 엄한데로 돈이 새더라구요..
내 정신 건강은 어쩔건데..
+ 25/05/17 14:11
수정 아이콘
TCG나 가챠겜을 하면 맨정신으론 못하거든여....ㅠㅠㅠ 어디든 빌고 미신에라도 기대야 함....
이카리 신지
+ 25/05/17 14:26
수정 아이콘
관습이나 예절로 생각하면 될텐데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거부할 필요가 있나 싶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8] jjohny=쿠마 25/03/16 19198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2546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697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9497 4
104195 [일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스트 액션 히어로. (노스포) [22] aDayInTheLife1433 25/05/17 1433 3
104194 [일반] 미신에 대한 생각 [15] 여기1595 25/05/17 1595 9
104193 [일반] AI 음악 딸깍! 도전해보기 [7] 여행의기술2916 25/05/16 2916 7
104192 [일반] 닭비디아 주가 [39] 퀀텀리프7807 25/05/15 7807 0
104191 [일반] <해벅> -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보인다는 것. (노스포) [6] aDayInTheLife4498 25/05/16 4498 1
104190 [일반] 북한은 과연 김주애가 권력을 승계받는게 가능할까요? [66] 독서상품권10880 25/05/15 10880 1
104189 [일반] 어쩌면 PGR의 미래? [43] bifrost7878 25/05/15 7878 4
104188 [일반] 중동외교의 대전환을 꾀하는 듯한 트럼프 [30] 크레토스6722 25/05/15 6722 1
104187 [일반] 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의 행보가 매우 심상치 않습니다 [24] 독서상품권9228 25/05/15 9228 6
104186 [일반] 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60] Kaestro6026 25/05/15 6026 12
104185 [일반] AI Agent와 MCP [11] 모찌피치모찌피치3636 25/05/14 3636 5
104184 [일반] 일본 여행중 지갑 잃어버렸다 찾은 썰.ssul [26] 오징어개임5505 25/05/14 5505 9
104183 [일반] 본조비... [37] a-ha8182 25/05/13 8182 5
104182 [일반] 걸레빤 물.. 평양냉면을 먹고 오다. [106] 김삼관10161 25/05/13 10161 4
104181 [일반] 고양국제꽃박람회에 다녀왔습니다 [11] 及時雨4618 25/05/13 4618 4
104179 [일반]  '주호민 아들 아동학대 혐의' 특수교사 항소심서 무죄 [204] 퍼그18261 25/05/13 18261 13
104178 [일반] 도재욱선수의 결승진출을 보면서... [37] 이영수`9804 25/05/13 9804 19
104174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6)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5 [6] 계층방정2973 25/05/12 2973 4
104173 [일반] 이제와서 데스노트(애니) 정주행을? [20] 김삼관4010 25/05/12 401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