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2/05 23:37:36
Name Grundia
File #1 2.jpg (1.83 MB), Download : 184
File #2 3.jpg (2.95 MB), Download : 180
Subject [일반] 사는 이야기 (수정됨)





1. 첫 번째 사는 이야기는 로봇청소기


 피지알은 제가 참 자주 들어오는 사이트입니다. 99%는 눈팅, 가끔 댓글정도지만, 질게에는 가끔 글을 남기고

도움도 많이 받는 편입니다. 


 어느 주말에 청소하다가 누군가 대신 해주면 참 좋을텐데(물론 청소 안한다고 딱히 생산적인 일을 하는 건 아닙니다...)

생각합니다. 로봇청소기가 떠오릅니다. 질게에 글을 올려보니 사용 중인 분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입니다. 친구 

단톡방에도 물어보니 사용 중인 친구들은 만족.  사야겠다 결심합니다. 유튜브, 블로그 등을 뒤지고, 비싸지만 무난한 

로보락으로 결정 후 알아보니 직배수와 아닌 모델로 나뉘더군요. 직배수 모델 설치할 곳이 마땅찮은데 하는 찰나, 잘 사용

하지도 않는 오븐 아래 서랍장이 깔끔하게 빠지는 게 아니겠습니까? 직배수 모델 구매 후 설치했습니다. 


 한 달 약간 안되게 사용했는데, 만족만족만족입니다. 사업 잘된 친구 한 명이 전에 만났을 때 자기는 쉬는 날 회사가 알아서

돌아가면서 돈을 버는 느낌이 참 좋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이걸 여기서 약간 느껴볼 수 있습니다. 출근하거나 운동하러 

나가면서 핸드폰으로 청소 버튼 눌러 놓으면 군소리 없이 청소를 해 놓습니다. 내가 청소하지 않았는데 집에 돌아왔을때 

발에 밟히는게 없는 이 느낌이 참 좋습니다. 바닥을 최대한 치워놓아야 이 녀석이 청소하기 용이하므로, 바닥 물건들을 

최대한 치우려고 노력하는데 이 덕에 집이 2배로 깨끗해지는느낌입니다.(로봇청소기의 청소를 돕기 위한 청소랄까...)


 로봇청소기 없는 분들은 사는 걸 추천드립니다. 식기세척기, 건조기에 이어 꼭 있어야 할 필수 가전이라 생각합니다. 



2. 두 번째 사는 이야기는 핸드폰


 갤럭시 S10 5g를 쓰다가 화면 먹통 되서 어쩔 수 없이 바꾸었던 핸드폰이 3년 전 S22 였습니다. 그렇습니다. 역대급 망작

입니다. 유튜브, 인터넷, 사진, 카톡, 전화 정도 사용하는 저이지만 플래그쉽이 이렇게 버벅일수가 있나 싶은 핸드폰이었습니다. 

물론 사용 못 할 정도는 아닙니다. 그 사이에 S23-24, 갤럭시 폴드, 플립 등 기능이나 디자인면에서 수 많은 명기들이 나왔지만 

귀찮음에 바꾸지 않았습니다. 물론 비싸기도 했습니다. 


 소문이 들립니다. S25가 그렇게 잘 나왔다는 소문이. 가격도 동결이랍니다. 사전 예약하면 용량도 두 배를 준답니다. 지금

쓰는 핸드폰 256기가도 살 때는 차고 넘치지 생각했는데 80-90%이상 용량이 차 있습니다. 딸 사진 때문인 거 같습니다. 

512기가면 좋겠는데? 어차피 사진 찍을 거 울트라 사서 100배줌인가 그거 한번 해보고 싶은데? 홀린듯이 S25울트라 사전

예약했습니다. 


 불편하면 불편한대로 사는 게 인간입니다. 하지만 편한데서 불편한데로 가면 역체감이 심합니다. 새로 산 이 친구는 

화면도 시원시원하고 굉장히 빠릿빠릿합니다. 이것저것 세팅하느라 새 폰 1-2일정도 쓰다가 S22 잠깐 만져보니 골동품이

따로 없습니다. 물론 단점은 있습니다. 핸드폰은 자고로 자기 전에 누워서 해야 제 맛인데 들고 있기 약간 무겁고 떨어져서 

얼굴에 맞으면 멍들 거 같습니다. 눈에 맞으면 실명하려나? 다행히 전 안경을 썼군요. 요즘 젊은 친구들은 맥세이프에 그립톡 

같은 걸 달아서 쓰던데 사야 하나 고민 중입니다. 


 전에는 핸드폰 사면 그냥 데이터만 옮기고 사용했는데 요즘은 무슨 기능이나 셋팅이 왜 이렇게 복잡하나요. S22도 뭐 비슷

하게 있었는데 애정이 없어서 대충썼나? 설정 종류나 셋팅 방법도 굉장히 다양하고, AI 기능도 있고 뭐가 이리 많습니까. 

블로그, 유튜브 찾아 보면서 이것저것 설정 바꿔보고 하는데 사실 좀 힘들더군요. 대학교 때 부모님이 컴퓨터나 핸드폰 

뭐가 안된다고 물어보시면 짜증내면서 알려드린 적도 많은데 죄책감도 들고, 저도 곧 그렇게 될 거 같아 슬프기도 하고 그렇네요. 


3. 너무 물건 사는 이야기만 썼네요. 이제 인생사는 이야기. 


 저는 와이프랑 딸이랑 삽니다. 딸은 올해 우리나라 나이로 7살입니다. 내년에 학교간다니 믿을 수가 없습니다.  전에 선배가 

한 이야기가 있었죠.  결혼하면서 인생이 한번 바뀌고, 자식이 태어나면서 한번 더 바뀐다고.  틀린 말입니다. 자식이 태어나면서 

바뀌는게 아니라, 대격변 수준으로 바뀝니다. 


 저랑 와이프 둘 다 딩크 생각은 없었기에 계획 하에 임신 및 출산을 하였는데, 출산 후에 사실 좀 힘들었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꼭 해주어야 하는 게 있는데 잘 먹고, 잘 싸고, 잘 자고 입니다. 정말 사랑스러운 우리 딸이지만 세 가지 다 정말 힘들었습니다. 


 어릴 때부터 누워서 잠을 잘 안 잡니다. 낮잠은 무조건 안고 재워야 되고 밤잠도 한 번 깨면 쉽사리 잠들지 않습니다. 백일의 기적,

통잠자는 효녀, 이런 건 저희에겐 없더군요. 돌 지나니 잠들면 잘 안깨긴 하는데, 잠들기까지 2-3시간이 걸립니다. 울고 떼쓰고...

그나마 차에 타면 잠이 드네요? 밤 10-11시 사이에 아이를 안고 차에 태워 잠을 재우고 집에 정말 조심스럽게 데려와서 눕히는 방식

으로 밤잠을 재웠습니다. 덕분에 몇 개월간 동네 야간 드라이브 정말 많이 했습니다. 엘리베이터에서 다른 사람을 소리 때문에 깨거나, 

침대에 눕히다가 살짝 충격 있으면서 딸이 깨서 눈 마주치면 엄청난 좌절감을 맛봅니다. 몇 개월을 이렇게 하다가 보니 그래도 적응이 

되더군요. 그 때는 그렇게라도 잠들어주는 딸이 참 고마웠습니다. 하지만 잠은 최약체였습니다. 


 분유 먹을 때는 조금만 환경 변화(소리라던가, 움직임이라던가..) 있으면 먹다가 그만 먹고 울고, 이유식 먹을 시기에는 하루 

한 끼도 제대로 안 먹었습니다. 돌이 한참 넘은 딸이 우유 + 분유 + 거버 같은 일종의 유동식만 먹으면서 몇 개월을 지냈으니, 

퇴근하고 저녁 식사 시간이 스트레스입니다. 굶기면 먹는다고들 말하는데 정말 아니예요. 죽지 않을 정도로만 먹으면서 연명합니다.

안밥모를 아세요? 밥 잘 안먹는 아이들의 부모님들이 있는 네이버카페인데, 아마 저희 딸이 안밥모 상위 5%안에는 들었을 거 같아요. 


 최종 보스는 똥문제입니다. 저는 살면서 변비를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진성 피지알인입니다. 딸은 다릅니다. 이유식을 시도하면서 

식사량이 줄고 변이 딱딱해지니 어느 순간 아이가 대변을 참습니다. 변이 딱딱하니 통증을 느껴서입니다. 참으면 대변이 점점 

더 딱딱해지고, 더 나오기 힘들어집니다. 배까지 부글부글하니 식욕은 더 없어질거고, 먹는 게 원활하지 않으니 변비는 더 심해지고... 

대변을 많이 볼 때는 일주일에 한 번, 정말 조금 볼 때는 한 달에 한 두 번 봅니다. 사람이 한 달에 똥을 한두번 싸면서 살수 있냐고요? 

저도 몰랐습니다. 그게 가능한지요. 똥을 마냥 참을 수 만은 없기 때문에 팬티나 기저귀에 똥을 소량씩 지리기도 많이 지리고(많으면

저녁시간에만 10번을 실수하고 팬티를 10번 손 빨래 합니다.) 마려운 똥을 참으려니 걷다가도 주저 앉거나 누워버려 일상생활도 

제대로 안되고, 깨어있을 때 참은 똥이 밤에 자다가 나와 버리기도 하고(사실 저희 부부는 밤에 자다가라도 똥을 싸면 좋았습니다. 

똥을 안 싸는게 너무 너무 걱정되서요.) 1년 가까이 이 문제가 지속되었고 이 때는 진짜 매일매일이 힘들었습니다. 와이프랑도 많이 

싸우고 그러면 안되지만 딸한테 화낼 때도 있었고요.


 뭔가 많이 생략된 거 같지만 지금은 이 문제들이 다 해결되었습니다. 짜잔~ 이 문제는 이렇게 하니 이렇게 해결되었답니다. 

이런 건 없고 딸이 크면서 하나씩 해결되었습니다. 어느 순간 밤에 잠을 잘 자고, 꾸준히 변비 치료유지하면서 요즘은 주 3-4회는 

대변을 보며, 아직도 고기는 거의 안 먹지만 이제는 혼자서 밥을 떠먹는 날도 꽤 됩니다. 신장/체중 모두 또래나 매우매우 작지만 

서서히 커나가고 있고요. 사실 누가 고쳤다기 보다는 딸이 커가면서 깨닫고 스스로 해결하는 거 같아요. 요즘 드는 생각은 이렇게 

잘 해결될 줄 알았다면 그 때 딸을 믿고 더 기다려주고, 더 안아주고, 화도 덜 낼걸 입니다. 그 때는 제가 너무 버티기 힘들어서 

왜 안 먹는지, 왜 참는지, 왜 안 자는지... 그러면 안되는 걸 알면서도 꼭 한 번씩 감정이 터졌던 거 같아요. 요즘은 이렇게 이쁜 딸이 

내 딸이라니 하면서 너무 행복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이상한 마무리지만 혹시 육아로 힘들어하시는 분이 있다면 그 문제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해결되니 아이를 믿고 기다려

주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혹시 있을 아픈 아이들이나 부모님이 있다면 꼭 힘내시고 빨리 낫기를 바랍니다. 


 글이 쓸데없이 길어져서 AI 대신 요약해서 적어드리겠습니다. 

1. 로보청소기 좋다.

2. 갤럭시 25울트라 좋다. 오랜만에 바꿀수록(전에 쓰던게 안좋을수록) 더 좋게 느낀다

3. 육아는 시간이 답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05 23:42
수정 아이콘
저희 아들도 이제 7살인데 언제 이렇게 컸나 싶을 정도로 많이 컸네요. 다른 친구들에 비해 말이 느려 언어치료센터에 데리고 갈까 까지 고민했었는데 지금은 잠들기 전까지 입을 잠시도 쉬지 않습니다. 역시 육아는 시간이기는 한데, 지금 귀여운 모습이 금방 사라질거라고 하니 아쉽기는 해요.
퍼블레인
25/02/06 00:17
수정 아이콘
파는 얘기도 해주십시오
25/02/06 00:24
수정 아이콘
멋지십니다. 행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민시
+ 25/02/06 01:03
수정 아이콘
s25 울트라 진짜 잘나온거같아요 핑크골드로 사고싶은데 한정색이라 더 비싸서 어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89626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49376 10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70748 31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49552 3
103685 [일반] 사는 이야기 [4] Grundia790 25/02/05 790 3
103684 [정치] 외교, 산자부 (+국방부) 딥시크 접속 차단 [21] 다크서클팬더4181 25/02/05 4181 0
103683 [정치] 동덕여대 관련해서 이준석과 고민정이 논쟁중이네요 [205] 눕이애오9544 25/02/05 9544 0
103682 [일반] 보고서 쓰는 인력은 필요 없어질까요? - 서울 부동산에 대한 AI의 보고서 [50] Quantumwk4139 25/02/05 4139 0
103681 [정치] 이재명,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법원이 받아들이면 재판 중단 [128] 철판닭갈비8035 25/02/05 8035 0
103680 [일반] 아내 이야기 11 [26] 소이밀크러버2519 25/02/05 2519 43
103679 [일반] [번역] 신앙을 찾고 계신가요? 종교 선택을 위한 안내서 (NYT기사 번역) [23] Taima3060 25/02/05 3060 0
103678 [정치] 어제, 헌법재판소 5차 변론, 윤석열과 홍장원 등 [39] 빼사스7992 25/02/05 7992 0
103677 [일반]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점령해 소유할 것" [195] 전기쥐9097 25/02/05 9097 6
103676 [일반] 출근길에 황당한 자동차 사고?가 났습니다 [29] 김삼관4489 25/02/05 4489 2
103675 [정치] '중국인 해커 99명' 가짜뉴스 원조는 부정선거론자가 쓴 소설 [43] 코로나시즌9123 25/02/04 9123 0
103674 수정잠금 댓글잠금 [정치] 안철수 엔비디아 ceo 젠슨 황과의 만남 [82] 호옹이 나오6779 25/02/04 6779 0
103673 [일반] 이제 와서 '초' 뒷북치는 2023년 애니 이야기 [34] 이르4275 25/02/04 4275 7
103672 [정치] "2030 남성은 왜 민주당에 등 돌리나" 글을 읽고서 [71] 스폰지뚱10481 25/02/04 10481 0
103671 [일반] 자유게시판 금지어 업데이트 좀 해주세요 [377] 통합규정12349 25/02/04 12349 58
103670 [일반] 대규모 언어 모델 활용과 경험적 연구의 미래 [28] 여왕의심복3679 25/02/04 3679 33
103669 [정치] ISA 등 절세계좌 해외 ETF 배당 세금 혜택이 사라집니다. [48] 깃털달린뱀3860 25/02/04 3860 0
103668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73. 갑옷 갑(甲)에서 파생된 한자들 [3] 계층방정627 25/02/04 627 2
103666 [정치] 2030 남성은 왜 민주당에 등 돌리나 [275] 핑크솔져13251 25/02/04 1325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