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2/14 07:40:11
Name 계층방정
Subject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2) 시흥의 둘째 딸, 안양 (수정됨)

시흥의 열두 딸들

이전글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


2. 그때 그랬다면? - 영등포부 승격


1936년으로 돌아가 보면, 당시 일제는 시흥군 영등포읍을 경성으로 편입시켰지만, 영등포의 일본 유지들 중에서는 영등포를 부로 승격시키자는 주장이 있었다. 만약 그들의 말대로 영등포부가 설치되었다면 이후 역사는 어떻게 흘러갔을까?

65c728deec6c6.png?imgSeq=13603구글 지도로 나타낸 당시 시흥군의 지형도. 군 한가운데에 관악산과 수리산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나는 영등포읍이 따로 영등포부로 독립해 나가는 것, 다른 하나는 시흥군이 통째로 시흥부나 영등포부가 되는 것이다.

영등포읍이 따로 영등포부가 되었다면, 인천시처럼 따로 영등포시로 있다가 역사처럼 서울이 크게 확장될 때 서울에 편입되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지금의 역사와 큰 차이는 없었을 것 같다.


그러나 시흥군이 통째로 시흥부나 영등포부가 되었다면? 정부에서도 서울을 확장하기보다는 (가칭) 시흥부를 서울의 공업 기능을 나눠맡는 위성도시로 육성했을 가능성이 영등포읍 단독으로 있을 때보다는 컸을 것 같다. 그리고 지금의 영등포 일대뿐만 아니라 동작, 구로, 시흥, 나아가 광명까지 이어지는 공업지구와 공단의 배후 주거지구로 개발되는 대형 공업도시가 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1980년 인천이 직할시로 경기도에서 독립할 때 시흥도 마찬가지로 직할시가 되어 경기도 서부는 인천과 시흥이라는 두 개의 큰 광역시가 존재했을 것이다. 그 과정에서 양천은 서울 대신 시흥으로 편입되고, 부천은 다른 경기도 지역과 단절되므로 인천과 시흥으로 분할되어 사라질 수도 있다. 대략 지금의 시흥시 영역에 해당하는 구 소래읍 지역이 과정은 다르지만 결과는 마찬가지로 시흥에 편입될 것 같다.


그러면 저 지도의 시흥군이 통째로 시흥광역시가 되었을까? 그렇지는 않았을 것이다.


지형을 보면 시흥군의 중심에 관악산과 수리산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두 산들은 영등포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개발 흐름에 큰 장애물이 될 것이며, 설령 이 장애물을 넘어갔다 하더라도 이 산들로 인해 시흥의 북서부 - 동부 -남부의 교통에는 여전히 큰 장벽이 된다. 그리고 이 산들은 옛 과천 - 시흥 - 안산의 경계와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이 가정에서 시흥이 크게 발전되면 자연히 북서부 - 동부 - 남부에 서로 독립적인 시가지가 나타날 것이고, 서울 주변의 위성도시를 분할 승격하는 역사의 흐름에 따라 안산과 과천 일대는 시흥에서 분리되어 원래의 제 역사를 써내려갈 것이며, 구 시흥만이 시흥광역시로 승격할 것이다.

65edb2a78c850.png?imgSeq=16669

시흥, 안산, 과천이 따로 독립하고 양천과 부천을 편입해 시흥광역시가 설치되는 가상 지도. 회색 선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이렇게 되면 우리는 수도권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가 아니라,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와 시흥광역시와 경기도라고 배울 것이다. 시흥은 지금의 시흥시가 아니라 영등포 일대를 부르는 별명이 될 것이고. 시흥시청은 양천과 부천에서도 편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지금의 영등포구청 자리나 더 서쪽으로 갔을 수도 있겠고, 광명과 소래 일대를 배려해 옛 시흥군의 중심지, 곧 시흥동으로 갔을 수도 있겠다.


덧붙여, 시흥광역시가 독자적인 발전을 하면 자연스럽게 구 시흥군의 중심인 지금의 금천구도 체계적인 개발 계획을 거쳐 발전해, 지금처럼 서울의 낙후 지역이라는 오명은 벗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이상은 지도만 보고 쓴 나만의 상상일 뿐이다.


3. 시흥의 둘째 딸, 안양

시흥에서 가장 큰 지방인 영등포가 경성으로 편입되면서 시흥은 새 중심지를 찾아야 했다. 영등포 이전 시흥의 중심지인 지금의 시흥동 일대, 당시로는 동면 일대에 다시 기회가 온 것일까? 그러나 위의 시흥군 지형에서 보다시피, 과천과 안산 일대까지 아우르는 거대 시흥군에서 동면은 이제는 북으로 너무 치우쳤고, 관악산 북쪽에 자리잡고 있었기에 관악산 남쪽까지 소통하기 어려웠다.

65c9775f98a07.jpg?imgSeq=13847안양의 지명이 유래한 안양사 터에 남은 귀부 정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동면 대신 새로 주목받은 곳은 지금의 안양시로 성장하는 구 과천군 서부, 당시 지명으로는 서이면이었다. 서이면은 구 과천군의 중심지는 아니었지만, 조선 정조의 개발을 거쳐 시흥군에서 구 시흥, 과천, 안산 세 지역과 모두 맞닿은 곳으로서 교통의 요충지로 주목받았다. 1905년 경부선 개통 당시에 안양역도 세워졌는데 이는 1908년에 개통된 시흥역보다도 더 이른 것이다. 일제 시대인 1926년에는 이런 이유로 인해 안양시장이 서이면에 세워져 번창했다. 다음은 1927년 6월 1일 동아일보 기사로, 3일 후에 열리는 안양시장 1주년 기념식 예고 기사다(맞춤법은 당시를 따르되 원문의 한자를 한글로 고치고 띄어쓰기 삽입.)

“경기도 시흥군 서이면 안양은 군의 중앙일 뿐 아니라 교통이 편리하고 따라서 산물도 상당함으로 장차 발전의 여지가 충분하므로 동 면에서는 작년 중에 안양시장을 설치한 후 이래 성적이 비상히 양호하던 바, 더욱히 안양 번영의 일책으로 오는 6월 4일 (단오일)을 기하여 전 시장 1주년 기념식을 성대히 거행하리라 하며 여흥으로 예기의 가무와 조산청년의 소인극 외 안양소년척후대 주최의 축구대회 급 동화동요회 등이 잇서 만흔 흥미가 잇슬리라더라”

1941년 서이면이 안양면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안양의 이름이 드디어 역사의 전면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안양이란 이름은 어디서 나왔을까?

65c976118e204.jpg?imgSeq=13846안양 발전의 시작이 된 화산능행 길의 만안교. 위키미디어 만안교에서.


안양의 지명은 고려 태조 시대에 지어진 안양사에서 비롯한 것인데, 이 안양사 터는 지금의 석수동, 당시 시흥군 동면 안양리에 있었다. 안양사가 있었기에 이 주변을 안양리라 불렀고, 그 안양리는 동면과 서이면 양쪽에 모두 있었다. 시흥군의 중심지인 시흥군청이 있던 동면이었기에 오히려 시흥군 동면 안양리는 시흥군청에 묻어갔고, 정조가 친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고 화산능행 경로를 이 서이면 안양리(당시에는 과천군 안양리)를 지나게 하면서 안양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영등포가 떨어져나온 시흥군의 새 군청은, 바로 안양이었다. 1947년 11월 29일, 시흥군의 관민들은 함께 모여 성대하게 안양읍이 시흥의 새 중심지가 되었음을 상징하는 시흥군청 낙성식에 참여했다. 


6651c3bb77716.png?imgSeq=24532

1947년 당시 시흥군, 영등포구, 안양읍과 시흥군청의 이전 과정.


안양에 새 군청이 세워지면서 시흥의 옛 중심지인 시흥동 일대를 중심으로 한 동면은 시흥군 북부에 치우친 신세가 되었고, 다른 시흥 지역보다 이미 나간 영등포, 더 나아가 근대화의 길을 가장 앞장서 걷고 있던 서울의 강력한 영향을 받았다. 1949년 8월 11일에는 미처 서울에 편입되지 못한 시흥군 북면의 잔여 지역이 옛 형제들을 따라 모두 서울시 영등포구에 편입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같은 날, 해방 전부터 읍 승격을 염원해 온 안양면은 안양읍으로 승격했다. 시흥은 이를 기념하여 9월 7일에 시흥군청에서 안양읍승격대회를 열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시흥의 역사적 중심이었던 시흥동이 있는 동면이 남아 있었으나, 1963년 서울 대확장 때 시흥군 북부의 동면 대부분과 신동면이 편입되면서 드디어 시흥군에 시흥이 없어지고 만다. 일이 이렇게 될 줄 알았다면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이름을 시흥이 아닌 과천으로 하지 않았을까? 결국은 시흥·과천·안산 3군이 합해진 시흥군에서, 구 시흥군의 대부분은 서울로 편입되고 시흥과 과천의 경계 지역이 근대화 과정에서 새로 성장해 군의 새로운 중심 지역이 되었으니까. 지금도 시흥동은 금천구에 있고 시흥시에는 시흥동이 없어서 시흥시와 시흥동을 헷갈리는 사람들이 가끔 나오는데, 시흥·과천·안산 통합 군의 이름이 과천이었다면 시흥시가 아닌 다른 이름을 쓰고 있었을 테니까. 무슨 이름이 되었을지는 시흥의 또 다른 딸 과천이 나올 때 생각해보자.


서울 대확장과 맞추어 옛 시흥군 서이면이었던 안양읍은 동면과 남면의 일부 지역으로 확장한다. 안양이 과천의 일부분만이 아니라 과천과 시흥을 아울러 발전한 도시임을 보여주는 조치라 하겠다. 이렇게 시흥군은 안양읍을 기반으로 한 새 도시로 발전하고 있었다.

65fe223635675.png?imgSeq=184001963년의 시흥군, 시흥군 북부를 편입한 영등포구, 그리고 시흥군 동면과 남면 일부를 편입한 안양읍.


옛날 사람이라면 남양주시가 옛 농촌 남양주군과 옛 도시 미금시가 합한 도농통합시라는 것을 알 것이다. 이와 같이 같은 군에서 시가지와 농촌이 갈려나갔다가 도농복합시를 도입하면서 통합된 지역이 경기도에서는 남양주 외에도 평택+송탄이 있다. 이렇게 도농통합시가 만들어진 까닭은 그 전에는 농촌에서 도시를 분리해 시로 만드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었으나 이 정책의 부작용이 더 심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찍이 도시 지역이 발달한 곳에서는 군이 잘게 쪼개져 도시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그 경향이 가장 극심한 곳이 바로 이 시흥이었다. 시흥에서 열두 딸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었다.

65fe294e38b6e.png?imgSeq=184081973년의 시흥군, 영등포구과 시흥군에서 독립한 안양시.


시흥군에서 가장 번창한 안양읍은 이 도농분리 정책에 따라, 1973년 안양시로 분리된다. 시흥시의 둘째 딸, 안양시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시흥군이 영역을 잃기만 한 것은 아니었고 1963년에는 화성군 일왕면(의왕면), 1973년에는 부천군 소래면이 대신 시흥군으로 편입되어 왔다. 이렇게 해서 시흥군은 안양시를 동서에서 감싸는 거대한 군이 되었지만, 영등포, 시흥(동면)에 이어 안양까지 중심지를 세 번에 걸쳐 잃으면서 발전의 축을 연이어 상실하고 있었다.


군 전체를 아우르는 중심부의 독립과 이로 인한 구심점 상실, 이것이 시흥에서 열두 딸이 나오는 이유다.


※ 이 글은 밀리로드의 “시흥의 열두 딸들” 연재글을 묶은 것입니다.

※ 지난번 글이 정치탭으로 갔던 까닭은 제가 정치 댓글을 단 탓입니다. 앞으로는 주의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ownTeamisDown
24/02/14 10:37
수정 아이콘
73년 확장의 조연은 부천시와 수원시죠. 부천군이 부천시로 바뀌면서 부천시는 현재의 소사구와 원미구 지역에 생기고 계양면김포로 갔다가 후에 인천으로가고 오정면은 김포로 갔다가 부천시로 돌아오고 그러면서 도서지역은 [경기도] 옹진군으로 가게되고 남는 소래면이 시흥으로 오게되었죠.

일왕면은 1914년 대개편당시 일형면과 의왕면이었는데 1936년에 일형면 상당수 지역이 수원읍으로 편입되면서 일왕면으로 합쳐졌는데 이때 구 일형면 나머지 지역이 수원시에 편입되면서 의왕면은 화성군에 남기에는 너무 튀어나온땅이 되어버렸죠. 연결된곳이 반월면밖에 안남아서요.
그래서 시흥시에 편입 되어버린 상황이죠.
계층방정
24/02/14 11:11
수정 아이콘
알짜배기 땅은 내주고 개발에서 소외된 땅만 받아오는 시흥군...
이렇게 될 거 바다로 뻗은 광주군 땅거스러미 정리할 때 지지대고개 북쪽을 전부 시흥군에 편입하는 게 어땠을까 합니다.
DownTeamisDown
24/02/14 11:16
수정 아이콘
그때 생각은 의왕같은경우에는 지지대고개만 넘으면 되는 수원 VS 한강변 영등포 이러다보니 수원에 붙여놓은것 같은데... 그때는 그때대로 이해가는데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8894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5696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9956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6538 4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175] 마라떡보끼5115 25/10/23 5115 0
105263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92] 신정상화5559 25/10/22 5559 1
105262 [일반]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저지대 통합 [2] 계층방정1775 25/10/22 1775 2
105261 [일반] 강의 특성에 따라 4대문명이 달라진 이유 [29] VictoryFood6557 25/10/22 6557 26
105260 [일반] 유혹하고 돈 버는 구조 [13] 신정상화6513 25/10/22 6513 2
105259 [일반] 캄보디아 청년, 다수는 그저 또 다른 가해자인가? [77] 신정상화8920 25/10/22 8920 7
105258 [정치] “수십억 아파트 갭투자하고 국민은 안된다?” 정부, 여론 들끓자 전문가 불러 ‘당부’ [부동산360] [395] petrus13284 25/10/22 13284 0
105257 [정치] 조희대의 대법원, 12월 3일 계엄 따른 조치 논의됐나? [451] 빼사스13688 25/10/21 13688 0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8] 삭제됨4939 25/10/21 4939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43] 바람돌돌이6417 25/10/21 6417 0
105254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11] meson4403 25/10/21 4403 0
105253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에 지도 던지며 압박에 욕설까지" [82] 철판닭갈비11964 25/10/21 11964 11
105252 [정치] “한두 잔 마신” 지귀연 술자리 170만원…대법 감사관 “징계사유 안 돼” [128] 빼사스12723 25/10/21 12723 0
105251 [정치] 이 대통령 '냉부해' 논란 보도,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보도보다 2배 많았다 [29] lightstone5935 25/10/21 5935 0
105250 [정치] 부읽남 국토부차관에게 듣는 부동산 썰 [256] 문재인대통령12110 25/10/21 12110 0
105249 [정치] 검찰청 ‘연어 술파티’ 의혹 당일, 김성태 ‘페트병에 술 준비’ 지시 녹취 확인 [112] 베라히10130 25/10/20 10130 0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29] 깃털달린뱀4652 25/10/20 4652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2899 25/10/20 2899 25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5049 25/10/20 5049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