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9/05 13:18
1. 일반적인 웹 서핑, 그러니까 트위터도 하시고 인터넷 기사도 보시는 데에는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음악을 받는 경우는 얼마나 받느냐에 따라 다르겠습니다.
2. 와이파이는 무료고 빠릅니다. 뭔가 크고 아름답다는 느낌이...; 할튼 와이파이가 접속이 가능한 상태라면 돈을 내지 않습니다.
10/09/05 13:19
저도 정확하게 하는 건 아니지만, 전화선이든 광랜 인터넷이든 보내고 받아야 하는 데이터 내용은 비슷합니다.
다만 와이파이, 라고 말씀하신 게 사실상 우리가 pc에서 사용하는 일반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가 전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일반 인터넷'이 한국에선 그렇게 쓰는 용어인지 모르겠지만, 같은 데이터를 핸드폰 전화망 통해서 보내는 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핸드폰 요금은 끽해야 목소리 조금 보내고 받아도 한 달 몇 만원 수준이지만, 인터넷 요금은 수십 기가 단위로 목소리 + 영상 내려받아도 그리 비싸지 않은 상황이고요. 노트북 무선 인터넷과 스마트폰 무선 인터넷은 같습니다. 노트북 무선을 무료로 쓸 수 있는 환경은 스마트폰도 그렇습니다. 또, 어떤 무선 인터넷은 물리적으론 사용가능하지만, 공급자가 아이디/비번을 넣게 한다든가 해서 단속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KT에서 공급하는 넷스팟이 그 예입니다. Nespot 존에서 아이폰은 이 망을 공짜로 쓰지만, 타 통신사 스마트폰을 해당 존에서 쓰려면, 매달 3천원 정도(원칙적으로)를 내고 기기를 KT에 등록하고 아이디를 부여받아야 합니다.
10/09/05 13:35
그렇다면 궁금한게,
일반 핸드폰 수신이 가능한 지역이라면 얼마든지 스마트폰으로 무선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건가요? 굳이 무선인터넷 망이 깔리지 않은 지역에서도 말이죠. 그냥 지금 가지고 있는 핸드폰의 무선인터넷과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되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