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0/29 16:50:22
Name SAS Tony Parker
Subject [일반] AMD도 지포스처럼 판매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총판 직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3301

판매정책이 바뀐다네요. 선인상가쪽에선 인터뷰한듯이 보이고 걱정하고 있답니다.

솔직히 얘기하면 소비자의 입장에서 일부 악마같은 앙인들은 장사접고 다른 일 하셨으면 합니다만 PGR에도 컴퓨터 판매 현직에 계신분도 있으니 조심해야 하지만

솔직하게 이 기회에 그분들은 개과천선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부품코인으로 한 철 장사는 안하면 좋겠네요 물론 피쟐러분들은 양심적이실거라 믿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0/29 16:57
수정 아이콘
선악을 떠나 요즘같은 시대에 저런 복잡한 유통구조를 취할 이유가 없으니... 어느정도 예견된 결과가 아닌가 싶습니다.
SAS Tony Parker
20/10/29 16:58
수정 아이콘
그쵸 유통마진 굳이 주고 살 필요가 없는데
20/10/29 17:00
수정 아이콘
용산 전자상가의 경우, 지난 9월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80 그래픽카드가 기존 유통망을 거치지 않고 예상가에 훨씬 못미치는 가격으로 시장에 풀리며 타격을 입은 바 있다. 당시 출시 초기 가격이 최대 200만원 대를 호가할 것으로 예상됐던 해당 제품은 소셜커머스와 라이브 커머스 직판을 통해 100만원 미만의 가격으로 시장에 풀렸다.

200만원에 못 팔고 100만원에 팔아서 타격 입었다는 얘기인가요..? 흐흐흐...
20/10/29 17:03
수정 아이콘
MSI 제품이 제일 처음에 147에 올라왔다가 온갖 욕을 먹었는데 200은 너무 과장했네요.
SAS Tony Parker
20/10/29 17:04
수정 아이콘
그게 다 인건비며 운영비일테라 울상 아닐지
20/10/29 17:02
수정 아이콘
기사 내용에 답이 있네요

[당시 출시 초기 가격이 최대 200만원 대를 호가할 것으로 예상됐던 해당 제품은
소셜커머스와 라이브 커머스 직판을 통해 100만원 미만의 가격으로 시장에 풀렸다.]


[총판 입장에선 직판을 통해 수수료가 절감돼 기존 유통 판매때보다 남는 이익이 커지겠지만]

중간상인을 제외하면 모두 이득인 상황인데 ....
Lord Be Goja
20/10/29 17: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간상인분들의 고충이야 당연한거겠고,과거 난립하던 잡브랜드제품들의 경우 독자유통망 운영을 할수가없어서 총판체제에 의존할수밖에없긴했는데,시대가 변하면 쓸모가 사라지는 직업이나 분야가 생길수밖에 없는거죠..
컴퓨터관련판매업도 수많은 서점과 장난감가게,타자기,계산기판매자의 직업을 앗아간 직업입니다.
부질없는닉네임
20/10/29 17:26
수정 아이콘
인력거가 택시기사에게 밀려 사라졌듯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라질 직업이죠.
(사족이지만 택시기사들도 우버, 카카오 택시 반대 시위지만요)
20/10/29 17:14
수정 아이콘
재밌는게.. 중간 상인은 어차피 도매가로 떼오는거라 이벤트 붙여서 더 경쟁력있게 팔수 있었던 상황이란거죠.. 지금도 열심히 노력해서 제품 받아오면 가능하고.

다만, 쿠팡 같은데서 붙으면 쉽지 않겠죠
블레싱
20/10/29 17:32
수정 아이콘
마진을 많이 남겨 판다 -> 사는 사람이 줄어든다 -> 판매량이 줄어드니 소수의 구매자들에게 마진을 더 많이 남겨 판다 -> 사는 사람이 줄어든다.
악순환의 고리지요. 기존에는 담합해서 시세를 조절해서 어쩔 수 없이 살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서 비싸게 팔아먹었지만
직판을 하면서 유통구조가 개선되는거라고 봅니다. 뭐 양심적인 판매자들도 있겠지만 시장이 이렇게 흘러가도록 방치한 업보가 돌아온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이렇게 판매 안 하면 뭐 먹고 사냐고 하는데 그렇게 팔아야 먹고 사는 시장이면 그냥 도태되는게 맞다고 보네요
SAS Tony Parker
20/10/29 17:43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맞다 봅니다
DownTeamisDown
20/10/29 17: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제 컴퓨터 부품업 소매상은 유통보다는 조립 수리 쪽으로 노선을 잡고 움직일수 밖에 없겠죠. 물론 혹독한 치킨게임이겠지만 말이죠
그리고 도매상이 타격이 가장 크지 않을까 싶고 총판 -> (소매상) -> 고객 구조로 바뀌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SAS Tony Parker
20/10/29 17:58
수정 아이콘
확실한건 몇몇은 용산 바닥에서 나오실듯 ..
StayAway
20/10/29 19:27
수정 아이콘
꼭 이게 아니더라도 사양산업인건 맞죠.
대규모 오프라인 쇼핑단지 사업이라는게 뭔가 문화적인 컨텐츠가 도와줘도 유지될까 말까인데
흉흉한 여론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규모로 유지된것만 해도 특이한 일이죠.
플러스
20/10/29 22:16
수정 아이콘
오. 대규모 오프라인 쇼핑산업 단지라, 좋은 방향이네요.
현실은 사기꾼들의 던전 이미지니 망하는게 당연하겠네요
이른취침
20/10/29 19:50
수정 아이콘
전에 3080글에서 총판과 소매업자들이 끈끈하다고 하신 분이 있었지만... 결국 돈이죠. 서로 이득이었기에 끈끈할 수 있었던 것이고 이젠 그게 아니니 서로 갈 길 가겠죠.
플러스
20/10/29 22:20
수정 아이콘
시대의 흐름에 따른 중간유통업자가 어쩔수 없이 도태된다고 보기 보다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담합해서 폭리를 취해오던 사기꾼들이 망하는 상황이라고 보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20/10/29 22:25
수정 아이콘
소매업자들이 창고같은게 있어서 거기에서 물량 쌓아두고 처리하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딱히 그런곳이 많은것도 아니더군요. 주문 넣으면 그때서야 물량 확보하고 이런곳은 솔직히 이제 뭐 없죠.
카랑카
20/10/29 22:34
수정 아이콘
악질 사기꾼 범죄자들이 단죄받아서 속이 후련합니다.
고분자
20/10/29 23:31
수정 아이콘
좋은데요
꺄르르뭥미
20/10/30 03:35
수정 아이콘
용팔이 이미지가 안 좋아서 다행이라는 생각도 합니다. 이미지가 나쁘지 않았으면 컴통법 같은거 나왔을거 같아요.
VictoryFood
20/10/30 07:26
수정 아이콘
CPU 는 그래픽 카드와 다르게 단품 판매보다는 조립 판매가 훨씬 더 많을테니 용산을 배제하기는 쉽지 않을 거 같습니다.
20/10/30 08:58
수정 아이콘
양심만 팝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685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088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7683 4
105330 [정치] 'No Kings' 시위 와중에 신라 금관을 받은 트럼프에 대한 미국 전역의 말말말 [8] 전기쥐509 25/11/01 509 0
105329 [일반] '애국 진보'에 '네덜란드 트럼프' 제동, '승부수' 안통했다 [2] 유머게시글952 25/11/01 952 0
105328 [일반] 에센피에 숏을 쳤습니다 [39] 기다리다7843 25/10/31 7843 4
105327 [일반] 엔비디아, 한국에 26만장 GPU 투입 [117] 신정상화9608 25/10/31 9608 3
105326 [일반] 지자체에 민원 넣으라고 종용하는 어플 [8] VictoryFood5718 25/10/31 5718 4
105325 [정치] 대장동 민간업자들 전원 법정구속, 이 대통령 연루 인정 안해 [160] 전기쥐9264 25/10/31 9264 0
105324 [일반] (스포) 체인소맨 레제에 대해서 친구와 나눈 대화 [18] Anti-MAGE3805 25/10/31 3805 0
105323 [일반] 모르는 게 약인 이야기 (도시 내 하천은 거대한 하수도) [46] leiru4586 25/10/31 4586 6
105322 [일반] 저지대 군주에서 스페인 왕의 지배로 [2] 계층방정3890 25/10/30 3890 6
105321 [일반] 핵추진 잠수함의 의미를 알아 보자 [65] 가라한10847 25/10/30 10847 1
105320 [일반] 질병퇴사 쉽지않네요 [22] 여기에텍스트입력8558 25/10/30 8558 6
105319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2-2. (data 주의, scroll 주의) [2] 강력세제 희드라2993 25/10/30 2993 4
105318 [정치] 계속된 사상에도 왜 킥보드 업체는 아무런 죄가 없는가? [124] 빼사스10297 25/10/30 10297 0
105317 [정치] 트럼프, 한국 핵잠수함 건조 승인(?!) [296] 다크서클팬더21297 25/10/30 21297 0
105316 [정치] 3분기 GDP 성장률 1.2% '서프라이즈' [90] lightstone10606 25/10/29 10606 0
105315 [일반] 코스피 곱버스 수익률 [105] 신정상화10778 25/10/29 10778 2
105313 [정치] 대미투자 3500억달러 중 현금투자 2000억달러 연 상한 200억달러 [181] 슈터15560 25/10/29 15560 0
105312 [정치] “동명목재 재산헌납은 신군부의 강탈” (2008년 중앙일보 기사) [9] petrus4446 25/10/29 4446 0
105311 [일반] 어제 울산에서 자작곡 발표했습니다. [3] 포졸작곡가3480 25/10/29 3480 19
105310 [일반] 26일 밤 벌어진 게임유튜버 납치사건 전후 사정 [58] 매번같은9799 25/10/29 9799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