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9 22:21:59
Name lightstone
Subject [정치] 3분기 GDP 성장률 1.2% '서프라이즈'
seukeulinsyas-2025-10-29-ohu-10-24-39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1.2%, 전년 대비 1.7% 증가하며 시장 컨센서스(0.9%)를 상회하며 2차례의 역성장을 포함해 5개 분기 연속 이어지던 0%대 저성장 고리를 끊고 1년 6개월 만에 1%대 증가율에 안착했습니다.

이번 서프라이즈는 민간소비가 주도했으며, 성장률에 0.6%포인트(p)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로 대신증권은 "정부의 소비지원 정책과 정치 불안 완화 효과로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1.3% 늘어 3년 만의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특히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조치로 자동차 소비가 활발했으며, 도소매·숙박음식업 등 서비스 소비도 증가세를 보였다"고 보고했습니다.

수출은 한미관세협상으로 인해 2분기 까지 선 수출 후 3분기 부터는 망할 것이라는 전망도 많았지만 월간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는 반도체와 자동차는 수출 다변화등의 노력을 하면서 선방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10/29 22:27
수정 아이콘
뭐 계엄 이후 민간소비부분이 훅 꺼졌었으니...기저효과도 좀 있을려나...크크
lightstone
25/10/29 22:33
수정 아이콘
https://www.yna.co.kr/amp/view/AKR20251028077100002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소비쿠폰이 지난 7월 21일부터 지급이 됐는데 음식점, 병원, 의류·잡화, 안경, 이·미용 등 다양한 품목에서 사용됐다"며 "정확한 효과를 아직 알 수는 없지만, 7월 이후 카드 사용액 증가율이 높아지는 등 3분기 민간 소비 증가에 기여한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25/10/29 22:34
수정 아이콘
계엄 이후 올라온 건 2분기부터인것 같고 3분기 내수진작은 소비쿠폰효과 같은데 호텔경제학처럼 마중물 한번 넣으면 무한동력이 되는 건지가 관전포인트 같습니다.
마라떡보끼
25/10/29 22:38
수정 아이콘
수출도 좋고 내수도 회복되는 상황이라 오랜만에 경제상황에 훈풍이 부는것 같네요
아이군
25/10/29 22:41
수정 아이콘
뭐 돈 쓴 만큼 오른 거긴 한데, 돈 쓴만큼 오른다는 보장이 있는 거도 아니라서 이 정도면 선방이라고 봅니다. 돈 쓰는 건 한계가 있으니깐 이게 좀 좋은 선순환이 되야 될 건데요....
국수말은나라
25/10/29 22:49
수정 아이콘
가만보면 당은 대통령만 못한거 같음
자기정치하지말고 대통령 도와주길
25/10/29 22:57
수정 아이콘
특히 부동산정책에 대해서 정부가 가닥을 잡은 것 같은데 당이 지원사격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마음에 드는 건 아니지만 칼을 뽑은 이상 일단 휘둘러야지 도로 집어넣으면 처음에 칼을 뽑지 않은 상태로 롤백되는 게 아니라 상황이 더 악화될 뿐입니다.

지금 보수쪽 인사들이 계속 이미 망했다 철회해라 노래를 부르는 이유가 나라 걱정해서가 아니라 철회시키고 조롱하고 폭등하는 거 구경하면서 정권 받아먹을 빌드업하는 건데...

물론 애초에 칼을 이런식으로 뽑아든 건 잘못입니다. 근데 뽑았으면 가야한다는 말씀...
여수낮바다
25/10/29 23:02
수정 아이콘
잘못된 방향으로 뽑았으면 빨리 후퇴하는게 답이죠
계엄을 일단 했으면 성공시켜야! 가 완전 헛소리란 점만 보더라도, 일단 칼 뽑으면 무조건 가야 한단건 틀린 말이란걸 이해하실 겁니다

민주당과 이재명의 성공을 정말 바란다면, 틀린 길에 대해 지지자들이 반대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25/10/29 23:13
수정 아이콘
지금 기준에서 롤백이냐 한걸음 더 가느냐를 비교해야지, 정책을 시행하기 전과 지금을 비교하면 안 됩니다. 정책을 시행하기 전은 이미 흘러간 과거고 다시 롤백한다고 돌아갈 수 있는 위치가 아닙니다. 그래서 비판적인겁니다.

계엄은 어떤비용을 들여서라도 롤백을 하는 게 나은 방향이지만 부동산은 괜히 타임어택 버튼을 눌러버린 상황이라 롤백해버리면 원래상태로 돌아가는 것도 아니고, 경로로 인식되는 것인데 진짜 재밌는 거 많이 볼걸요. 전 이재명 지지자도 아닙니다.
여수낮바다
25/10/29 23:39
수정 아이콘
뭐 이재명 지지자가 아니라 해도 순전히 대한민국을 위해서라도 마찬가지입니다. 
틀린걸 고집하면 노어게인 문어게인일 뿐이죠. 무주택자가 피눈물 흘리는 세상.
카서스
25/10/30 00:17
수정 아이콘
여수낮바다님은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이 결과적으로 한국의 미래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실까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Chandler
25/10/29 23:12
수정 아이콘
잘못뽑앗으면 다시 집어넣어야죠 우틀안은 제발 노무현 문재인때로 족합니다
25/10/29 23:14
수정 아이콘
칼집을 불구덩이에 던진 상황이라 집어넣고 싶어도 이제 칼집이 없습니다. 외통수라고 봅니다.
Chandler
25/10/29 23: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출 묶고 토허제로 조져서 얼음 해놨잖아요


이거 임시방편인거 알아요 어차피. 서울시 전역 토허제를 영원히 할겁니까? 25억 주택은 대출 2억만 받아 이거도 영원히 할거에요? 공산주의국가입니까? 한시적인 조치라고 봐야하고 그렇지 않다면 그게 더 문제입니다.

시장 멈춰놓고 시간벌어 놓은 동안 공급 시그널이라도 주면서 조급한 수요를 진정시켜야죠 두들겨팰 생각만 하지 말구요

재초환 폐지 같은 얘기 나오던데 이런게 굉장히 좋은 시그널입니다 그리고 이주비 대출 다 묶었던데 이주비 대출은 다 풀어줘야하구요 토허제로 묶어놓은것 중 재건축 단지 양도제한 이런건 좀 풀어야합니다

임대랑 공공기여로 삥뜯는거도 좀 적당히 해야할텐데 이건 중앙이 아닌 지자체 역할이고 오세훈도 이거에 미쳐있어서..어쨋든 진행되는 현장들 삥도 뜯을라면 사업에 도움은 못될망정 막지는 말아야 할거 아닙니까 아직 부과되지도 않고 유예유예유예되는 말도안되는 악법 재초환은 치워서 사업 불확실성 제거해주고 이주비 대출 묶어서 사업 다 올스톱시킨건 롤백해야한다 보구요. 반대파들 손털고 나가서 손바뀜 만들어서 사업진행에 도움되게 양도제한 같은것도 좀 풀고 해야 좋은 집들이 더 생기는데 도움이 되겠죠
25/10/29 23:31
수정 아이콘
장기적 정공법은 딱 두개입니다. 공급폭탄 그리고 세금.

공급론자들의 얘기가 논리적으로는 옳은데 치명적인 약점이 단기폭등입니다. 재초환폐지나 재건축 붐 지금 일으키는게 장기적으로는 좋으나 바로 폭등일으킵니다.
세금정책도 장기적으로 전세사라지게 만들고 수익률기반의 부동산으로 개편시키고 저비용 알박기를 방지하는 좋은 장치지만 단기적 표심 때문에 못합니다.

둘 다 하든 둘 중 하나를 하든 해야한다는 말입니다. 근데 롤백은? 장기도 단기도 망치는 짓이죠.
Chandler
25/10/29 23:36
수정 아이콘
재건축 단지들 구축은 오르겠죠

그러면 최소한 완성전에라도 재건축 구축들이 빨아들이는 만큼은 이미 사람들이 살고 싶은 집들에 쏠릴 자금이라도 좀 분산이 될겁니다.
Chandler
25/10/29 23:41
수정 아이콘
수익률 기반의 부동산 시장 그리고 이거가 뭘 의미하는지는 일반인들이 알고 지지하던 말던 해야할거같긴합니다.

그거 보유세를 견딜 수 있는 캐쉬플로우를 가지고 있고 보유세를 비용에 산입할 수 있는 법인투자자 특히 금융권 세력들이 들어온다는 뜻이죠.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세는 이제 없고 집장만의 꿈은 포기하고 대기업들이나 자본들에게 가처분소득 절반씩 뜯기며 사는 뉴욕 런던 같은 상황이죠.

선진국따라 가는게 자연스러우니 전세다 없에고 보유세 올려서 지금처럼 좋은집 한채 깔고 있는 비효울적인 인간들 다 외각으로 내쫓자라는거 말은되고 합리적인데 런던 뉴욕 사람들처럼 우리도 살아야 할지도 모른다는건 알고 선택해야죠. 일반인들 중에는 공공임대에 들어간 선택받은 소수만 서울서 꽁으로 살아남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25/10/29 23:48
수정 아이콘
법인은 취득세로 차단할 방법이 충분하고요. 당연히 현금흐름별로 맞는 급지에 사는 게 국가적으로 비용효율적으로 맞는 방향이라고 봅니다.
lifewillchange
25/10/29 23:50
수정 아이콘
인간의 욕망이 있는데 급지에 맞게 사는게 옳은 길입니까?
Chandler
25/10/29 23:54
수정 아이콘
서구권 국가들이 갓던길이고 그 나라들 수도들의 상황이 그 미래입니다. 집깔고있던 늙은이들 다 내쫓았더니 자본이 들어외서 도심지 부동산 다 먹고 월세를 지독히 올렸죠.
lifewillchange
25/10/29 23:56
수정 아이콘
Chandler 님// 취득세 낸 비용을 누구 한테 뜯을지는 뻔히 보이는데 말이죠...
25/10/30 00: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Chandler 님// 그래도 그게 맞는 방향이라고 봅니다. 자본효율화가 국가에 장기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전 비슷한 관점으로 고임금 정규직도 비판적인 사람이라서... 일정 급여 이상은 고용유연화 풀어주고 임금 상방 뚫고 쉬운 해고 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최근 최태원회장 삼프로 나와서 인터뷰 한 것 보면 나옵니다. 고급인력이 계약직이 되어야하는데 한국은 그게 불가능하다는 거죠.

개개인이 힘든데 국가가 무슨소용이냐 하시겠지만 자본이 비효율적으로 안락사하면 특정 시점에 특정 자본을 갖춘 사람들만 안락한거지 국가 전체가 죽는 거거든요. 반면에 자본효율화로 다같이 괴롭게 연명을 하다보면 메타가 바뀌어서 돌파구가 나올수도 있거든요.

주장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좌파라 이런 소리하는 게 아니라 더 우파라서 이런소리를 하는 겁니다.
허어여닷
+ 25/10/30 01:30
수정 아이콘
lifewillchange 님//
급지 안맞게 살게 한다는 건 결국 시장자본주의 부정하고 토지공유제한다는 건데 그건 부동산 수요층에서 제일 반대하는 정책 아닌가요??
JANE DOE
25/10/30 00: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평소에 민주당 욕하던 친구들도(사실 저도 문재인 때문에 민주당,페미 싫어하던 30초 펨코?남에 가깝긴했음) 이재명은 칭찬 많이하더군요. 아직 임기가 많이 남았지만 지금까지는 김대중 대통령 이후로 가장 잘하는 대통령이 될 수 있지 않을까그렇게 생각하고 바라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대통령과 다르게 진성준 같은 평생 생산성 없는 활동 없이 정치만 하던 운동권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믿음이 아직도 안 가긴합니다. 계속 제 2의 이재명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Chandler
+ 25/10/30 01:02
수정 아이콘
차라리 신념형보다는 유연한 사람이 나은거같습니다

민주당은 이상한 똥고집 부리는 짓좀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멋진벼리~
25/10/30 00:14
수정 아이콘
윤석열때도 이렇게 비판했으면 좋았겠네요......
불쌍한오빠
+ 25/10/30 02:03
수정 아이콘
펄-럭
정치를 떠나서 일단 우리나라가 잘되는게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6500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0621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7365 4
105316 [정치] 3분기 GDP 성장률 1.2% '서프라이즈' [27] lightstone3370 25/10/29 3370 0
105315 [일반] 코스피 곱버스 수익률 [69] 신정상화4589 25/10/29 4589 2
105313 [정치] 대미투자 3500억달러 중 현금투자 2000억달러 연 상한 200억달러 [151] 슈터10354 25/10/29 10354 0
105312 [정치] “동명목재 재산헌납은 신군부의 강탈” (2008년 중앙일보 기사) [9] petrus2562 25/10/29 2562 0
105311 [일반] 어제 울산에서 자작곡 발표했습니다. [3] 포졸작곡가2423 25/10/29 2423 16
105310 [일반] 26일 밤 벌어진 게임유튜버 납치사건 전후 사정 [56] 매번같은8097 25/10/29 8097 9
105309 [일반] 2021년 1월과 비교한 2025년 10월 주요자산 상승률 [53] Hydra이야기5164 25/10/29 5164 1
105308 [일반] 쏘니가 겨울에 톳넘으로 복귀하는 환상 소설 한번 써 봅니다. [20] 청둥오리3869 25/10/29 3869 1
105307 [일반] 중고차 판매 및 구매 후기 (헤이딜러제로, 론데렌터카중고) [15] 웅즈4299 25/10/29 4299 6
105306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2-1. (data 주의, scroll 주의) [4] 강력세제 희드라2553 25/10/28 2553 3
105305 [정치] 미국의 대통령에게서 낯익은 향기가 느껴진다... [34] 빼사스10152 25/10/28 10152 0
105304 [일반] 아재가 본 체인소맨과 귀멸의 칼날 (약 스포) [40] theo4670 25/10/28 4670 2
105303 [정치] 나경원 "선거 때마다 중도 타령을 해서 우리가 망한다." [206] 전기쥐13446 25/10/28 13446 0
105302 [일반] 런던베이글뮤지엄 직원 과로사 사건 [194] 롤격발매완료12377 25/10/28 12377 13
105301 [일반] 자고 일어나니 재벌그룹이 해체됨 [35] 신정상화10352 25/10/28 10352 23
105300 [정치] 윤석열 "니가 뭔데! 내가 대통령이야!" [175] 코로나시즌12795 25/10/28 12795 0
105299 [정치] 서울 자치구별 30평대 아파트 수익률(CAGR:2006-2025년) 계산 [94] 바람돌돌이6470 25/10/27 6470 0
105298 [정치] '대북송금' 안부수, 규정 어기고 검찰청서 딸과 면회 [11] 베라히6503 25/10/27 6503 0
105297 [정치] 싸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94] Neuromancer12016 25/10/27 12016 0
105296 [일반] [주식] 콩고기의 난 [52] 깃털달린뱀7502 25/10/27 7502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