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10/07 22:47
음... 막상 나오고 나니깐 잘 했다는 건 아닌데 상대적으로 낫다는 느낌이...
4.3 유족이 외치는 걸 뒤로 하고 궂이 추석에 건국전쟁2 보러가는 장동혁에 말로 설명하기도 이상한 일을 저지르는 이준석에.... 가만히 있는 조국과 한동훈이 나은 건가.... 라고 하기에는 얘네들은 뭘 할 처지도 못 되는 거라서.....
+ 25/10/07 23:22
김풍 요리는 항상 똑같은 패턴이죠.
완성 상태 : 이딴게...요리? 먹기 전 게스트 : 이딴게...요리? 먹은 후 게스트 : 이게 왜 맛있지? 으하하하
+ 25/10/07 23:04
근데 아무리 생각해도 친이재명보단 반이재명층이 많이 본거 아닌가 생각이 들더라구요.
친이재명은 대통령 냉부나왔나? 정도라면 반이재명은 화재가 어쩌고 나라가 망했네 이정도 반응이라...
+ 25/10/07 23:21
1시간을 아무리 생각하셔도 뇌피셜은 뇌피셜입니다
뇌피셜 근거로 세대 갈라치기 시전하는 민주당 지지자 수준으로 비난받는게 더 근거가 있어보이네요
+ 25/10/07 23:24
네 그래서 본문서도 뇌피셜이라 썻습니다.
개인적으론 전국민이 멸사봉공하는 일본제국보단 지금처럼 차라리 세대별로 호불호 갈리는게 낫지않나 싶네요. 불편하셨다면 죄송합니다.
+ 25/10/07 23:2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605469?sid=105
['티빙-웨이브' 합병 청신호…넷플릭스와 0.4%P차 턱밑까지 추격] 2025.06.10. <2024년 기준 OTT 시장 점유율> 이용자 수 : 넷플릭스(33.9%) / 티빙(21.1%) / 쿠팡플레이(20.1%) / 웨이브(12.4%) 이용시간 : 넷플릭스(39%) / 티빙(26.8%) / 웨이브(19.9%) 티빙 자체 가입자가 600만명 수준이고, 티빙 앱 기준 시청률인거죠.
+ 25/10/07 23:35
티빙 이용자중에 시청률을 말하는건가보군요. OTT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저로서는 그다지 실감이 나지 않는 수치이긴 한데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
+ 25/10/07 23:12
누가 대통령이던 방송 출연하는 거 보고
(연예 프로그램이라도) 뭐라고 안했으면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이것도 정부 홍보의 일환으로 봅니다. 더구나 이런 홍보는 이미 몇개월 전에 조율한 상태에서 진행할 거라고 봐서 말이죠.
+ 25/10/07 23:18
저도 그런의미서 윤석열 유퀴즈나 이번 냉부해나 다 좋다고 생각합니다.
최고 권력자가 굳이굳이 인의장막서 나와서 일반시민들 이러쿵저러쿵에 몸맡기는것도 이전권력들보단 낫다 생각이 들더라구요.
+ 25/10/07 23:2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33284?sid=103
[李대통령 부부 출연한 예능 시청률 8.9% 역대 최고] 2025.10.07. (조선일보) 추석 당일 방송 전체 1위는 KBS ‘조용필 이순간을 영원히’ 15.7% 이전 냉부 최고 기록 : 2015년 8월 가수 지드래곤과 태양이 출연한 방송분으로 7.4% 시청률
+ 25/10/07 23:25
티빙이 티빙 내의 점유율을 시청이란 표현을 쓰는지 시청률을 쓰는진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표현이 아니고, 낚시글로 규정위반으로 보이네요.
+ 25/10/07 23:29
https://naver.me/xJGTCaK2
전[매일경제]보고 말한건데 불편하셨다면 죄송합니다. 다만 제가 낚시글이면 매경이나 시청률 폭등이라던 OSEN도 낚시글이겠네요 그럼.
+ 25/10/07 23:36
(수정됨) 폭등인 건 맞죠. 여기 댓글란에서도 '폭등'이라는 표현을 문제 삼는 독자는 없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그거 말고 '시청률 71%' 부분이죠. (제목 보고 깜짝 놀라서 들어왔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매경 기사를 링크하시면서 하신 말씀은 논점 이탈인 것 같습니다. 문제가 되는 '시청률 71%'라는 표현은 매경 기사에도, OSEN 기사에도 없는 것으로 보여서요.
+ 25/10/07 23:55
아 죄송합니다.. 제가 본건 중정갤
https://m.dcinside.com/board/centristpolitics/5218540 이글같네요 다만 처음부터 본문에 실제 시청률은 6%대라고 병기해 뒀습니다만.. 불편한 분들이 있다면 어쩔수 없는거겠죠.
+ 25/10/07 23:29
<관련 타임라인>
2025년 9월 26일 20시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발생 2025년 9월 26일 21시 : 이재명 대통령 입국 (유엔 3박5일 일정) 2025년 9월 27일 08시 : 김민석 총리 사과 발표 2025년 9월 27일 18시 : 화재 완전 진화 2025년 9월 28일 10시 50분 : 비상대책회의 했다고 대통령실 대변인이 발표 (영상 없음) [냉부 녹화] 2025년 9월 28일 17시 30분 : 화재 관련 중대본회의 중 이재명 대통령 공식 사과 발표 (영상 있음)
+ 25/10/07 23:32
방송의 인기와는 별도로 저건 시청률이 아니고 점유율입니다.
저 시간에 티빙을 켜서 보고 있는 사람 중 냉부를 보고 있는 사람의 비율인 거죠.
+ 25/10/07 23:55
셰프의 손목 시계가 나와서 문제가 된 모양이네요. 여론을 위해 셰프가 직접 시계가 정확하지 않았다고 발표를 해야 하지 않나 싶네요.
+ 25/10/07 23:56
(수정됨) 1. 이미 여러번 지적이 나왔듯이 시청률과 티빙 내 점유율이란 완전히 다른 개념을 혼동해서 사용했다는 점.
- 이것도 선의의 해석이지, 충분히 알면서 저렇게 적었으면 의도적인 낚시에 가깝습니다. 2. 아무런 근거도 없이 세대별로 이 방송을 보고 서로 다른 행동을 했을거라 주장한다는 점. - 일반적으로 정치인이 예능에 출연하면 그 정치인에게 호의적인 사람과 특별한 감정까지는 없는 중도적인 성향의 사람의 시청할 가능성이 '당연히' 높죠. 싫어하는 사람들은 뉴스에 얼굴만 나와도 꼴도 보기 싫다며 채널을 돌리는 경우가 허다한데, 웃고 떠드는 예능은 더 그렇겠죠. - 물론 안티가 최고의 독자고 최고의 팬인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뭐 하나 꼬투리 잡고 프레임 단위로 잘라서 문제를 삼으려고 일부러 집중해서 보는 극한의 과몰입자들이 있을 수 있다고는 하나 그런 사람이 전체 시청자 중에 얼마나 될까요. 일부러 '부들부들 눈 부라리며' 보는 안티는 시청률에 거의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거의 모든 일반적인 사람들은 그런 식으로 행동하지 않습니다. 세상은 키보드 밖에 있거든요. 3. 마지막 쉐프 손목시계 시간은 왜 언급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연휴라 여기저기 인터넷 둘러보니 그걸로 기존 청와대 측의 해명과 다르다며 문제를 삼으려는 시도가 있던데 그 얘기죠.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면 어떤 부분에서 어떻게 문제가 있다고 주장을 하든가, 아닌 것 같으면 억지스런 문제 제기인 것 같다고 주장을 하는 것이 글을 쓴 사람의 책임있는 자세입니다. 슬쩍 운 띄우고 불판 깔아놓은 다음, 자신이 목적했던대로 비난 여론으로 흘러가면 좋고, 만약 반대로 댓글 분위기 안 좋으면 '나도 문제라고는 안 했다. 그냥 소개만 했다' 고 발을 빼는 전형적인 패턴이죠. 제목부터 이상하고, 주장하는 내용에 별다른 근거가 없는 것을 넘어 오히려 정반대의 극단적인 해석일 뿐더러, 책임지고 주장할 자신도 없으면서 슬쩍 간만 보려는 시도는 아예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25/10/08 00:05
1.그래서 처음부터 실제시청률은 6 %대라고 적었습니다(뒤늦게 추가한거 아닙니다.. 첨부터 글보신분 있으면 답해주시길)
2. 네 그래서 뇌피셜이라 적었습니다 불편하셨다면 죄송합니다(다만 정게글 제한이 250자가 아니였다면 저런말은 굳이 할필요도 없었을듯 하네요.. 정게에 글 자주쓰시는 딕시님이라면 이해할듯 합니다) 3. 1,2,3문단은 지나치게 친이재명인듯해서 4문단은 굳이 반이재명층 의견도 병기한겁니다. 불편하셧다면 죄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