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9 21:02
4일이라고 하면 힘들거같은데 4.5라고 하면 가능할것도 같고
근데 업무마다 회사마다 사정이 다 다른것은 확실할거라... 저야 솔직히 제 업무야 4일로도 충분히 돌릴수는 있는데 급여 깎인다면 5일 유지하는게 좋겠죠 돈벌려고 나가는거니
25/07/09 21:05
노동자 입장에선 대찬성입니다. 다만 우려하시는 지점도 충분히 공감합니다.
해외경쟁력이나 산업구조 측면에선 사실 주4일제도, 4.5일제도 아니고 중국의 996제도가 제일 유리하지 않을까...
25/07/09 21:05
집돌이라 돈 쓸일도 적어서 좀 덜벌고 더 놀아도 타격은 커녕 신나긴 합니다만
수많은 회사가 각자의 이유로 고려해야할 일이 적진 않을거다보니 결과적으로 어떻게 돌아갈까 궁금하긴 합니다 크크 일단 저희 사장님만 생각해도 사람을 더 뽑진 않을것 같은데...
25/07/09 21:08
직종에 따라 다르겠죠. 흔히 옹호측에서 이야기하는 고용증가 효과는 거의 없을거라 봅니다. 오히려 투잡을 노리는 수요가 늘어서 취업경쟁은 더 치열해질거 같아요.
25/07/09 21:08
주 4.5일제도 좋지만
노동법 위반하는 업계부터 제대로 조지고, 주휴수당 등 복잡한 노동법을 좀 더 직관적으로 고칠 필요가 있어보이긴 합니다. 어떤식으로든 근로시간이 단축되면 공공기관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조금씩 퍼지긴 하더라구요. 그래서 4.5일제 자체는 찬성입니다.
25/07/09 21:09
(수정됨) 교대 근무자들은 어떻게 하나요? 그냥 OT 때문에 기업 인건비 부담만 늘리는 꼴이지
뭐 또 오너 대변인 나오셨네 할 수 있는데 우리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이 불러온 악영향을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돈 많이 받아서 좋지 않냐? 저는 좋죠. 지금 취준생들이 불쌍하지 단 한번도 경기가 좋았던 적이 없고 수십년동안 비상경영 위기라고 오너들이 공갈로 부르짖어도, 그래도 지금은 아닙니다. 트럼프 때문에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
25/07/09 21:14
주4.5일 보다 주5일제 잘 지키고 9 to 6 에서 9.5 to 5 정도로 전환하는게 생산성 감소도 막고 삶의 질도 높일수 있을거라 봅니다.
25/07/09 21:14
(수정됨) 사업주해본적없는 친구들이 그저 나랏돈으로 월급받으면서 지시하는거에 익숙하니 이런정책이 나오죠. 에휴. 일하는시간이 적어지면 당연히 임금이 줄어야하고, 오히려 24시간 교대돌아가는 사업주한테는 더 고용하게 되면 생기는 추가 지출에 대해 보전을 해줘도 사람자체의 리스크때문에 시행 안할텐데 5공처럼 기업주데려가서 빠따치고 물고문하려구요?:
25/07/09 21:18
한쪽에선 역대급 불황이니 제철소 문닫는다느니 중국한테 경쟁 밀려서 석유화학이니 배터리니 뭐니 다 조졌다고 하는데 한쪽에선 주4일 담론이 오가니 온도차가 너무 큰거 같네요..
25/07/09 21:20
4.5일제를 실제로 할 수 있다면야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만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업종이 많지 않을까요?
노동부는 주5일제가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지켜지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묻고싶습니다. 임금체불 관련해서도 문제가 많은데 관련 법안도 빨리 시행했으면 좋겠습니다.
25/07/09 21:27
저한텐 임금 줄어도 4.5일제, 아니 4일제해도 좋습니다. 책임질 식솔이 없으니까요. 워라밸이 무조건 좋아요.
근데 좋은직장 고임금이 아닌 가족딸린 분들은 다른 입장일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25/07/09 21:36
어짜피 다수의 대중이 원하니 제가 이러쿵 저러쿵 해봤자 달라지는건 없을거고...
조건부가 아닌 주4일제는 오직 아이슬란드만 운영중으로 아는데 한국이 세계 정찰대 역할을 해주면 세계 경제학자들이 기뻐할지도 모르겠네요. 뭐, 한국의 기업경쟁력은 계속 떨어져 가겠죠 계엄후 2300롱을 잡은 입장이지만 장기적으로 한국주식은 절대 장투해서는 안되는 주식입니다. 꾹꾹 눌러 놓은 주가라 상법개정으로 풀면 어느 지점까진 가겠으나 그후로는 다른 자산으로 갈아탈 예정입니다. '중국 제조 2025'가 레거시 반도체 까지 따라오게 만들었다면 이번 '중국 제조 2035'는 어디까지 따라올지 가늠이 안되는군요.
25/07/09 21:39
이런 건 공무원만 임금삭감없이 4.5일제를 1년간 시행해 보고 그 다음에 확대를 고민해 봐야죠.
공무원도 못하는데 민간에 강요하면 안되구요. 공무원>공기업>교육,의료>금융권>대기업>중소기업 순으로 하면 될 듯요.
25/07/09 21:39
주4일제 하면 땡큐인 사람입니다.
임금삭감이 아니라 주당 기준 근로시간이 줄어서 돈을 오히려 더 받아요. 이재명 후보 지지하지도 않고, 투표하지도 않았지만 떨어지는 과실이 너무 달달합니다. 이러니 40대가 이재명 대통령 지지 안하고 버티겠어요? 요새들어 이재명 대통령 특유의 추진력으로 긴가민가 할 거 없이 다 밀어붙이고 매조지 했으면 좋겠네요.
25/07/09 21:41
금융과 공직이 적극적이더라구요
주52시간제처럼 한번에 다같이 도입되는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건 정부도 아는거같아서 가능한 업종부터 개별적으로 알아서 느긋하게 시작하면 좋겠습니다 일단 공공기관이나 공무원은 꽤 빠르게 도입하려는거같고 금융노조도 강하게 드라이브거니 여기도 곧 할거같기도합니다
25/07/09 21:48
업무 효율을 높이면 여러 직종에서 가능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많은 시간과 적은 인력으로 갈려나가고 있어서, 고용 더 하고 인력 늘리는게 이득인데 좀... 해줘 입장이네요. 제 임금은 드라마틱하게 바뀔거같지도 않아서요.
25/07/09 21:51
근거인 생산성 향상을 개인적으론 다르게 생각하는데 IT관련인 제 생각에는 생산성 향상이 아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AI 도움으로 작업 효율이 2배가 되었을때 생산량이 2배가 되기는 할텐데 가치가 1/2로 줄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양으로의 생산성 향상이 아니라 가치로의 생산성 향상이 따라올지에 걱정이 있기에 전제부터 맞나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25/07/09 21:54
李대통령 "주4.5일제, 사회적 대화 통해 가능한 부분부터 점진적으로"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348033?sid=100 강제로 일정 시점에 시행하는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그런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하겠다는 거 같더군요.
25/07/09 22:04
대기업 공기업 사무직은 좋죠. 그런데
중소기업 강제 적용이라도 해주는게 아니면 취업의 양극화는 더 심해질겁니다. 급여가 처지는거 까지야 능력탓을 하겠지만 휴식도 적게해야 한다면 누가 중소기업을 가겠어요..
25/07/09 22:04
이상적이지도 않고 고민이 좀 부족했지않나 생각이 듭니다.
1. 공공기관이야 그렇다치지만, 사기업들이 왜 동일 임금에 근무시간만 줄여줘야하는지 전혀 이해가 가지 않고 2. 학교, 병원, 은행 역시 칼처럼 외래시간 줄일텐데. 안그래도 몇달씩 밀려있는 일부 대형병원의 외래진료는 더 대기가 길어지고 은행역시 더 이용하기 힘들고 학교는 쉬는만큼 애들 더 집에서 봐줘야하고 뭐하나 디테일있게 설명된것이 없고, 이런것들에 대해서 다 설득하거나 이해시킬 준비가 되어있는지 의아하긴 합니다
25/07/09 22:13
실질적인 강제 임금 상승인데 선진국에서 보편적으로 하고 있지도 않은 제도를 선제적으로 시작할 정도로 대한민국 경제가 장미빛인 상황인가 싶습니다.
25/07/09 22:20
지금있는 주5, 주52시간도 제대로 안지켜지는데 주4.5는 너무 이르지않을까요
있는거나 잘 지키는 사회를 만들고 그 다음에 담론이 이뤄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5/07/09 22:34
주4일제가 임금피크제로 가는 방향일까 우려됩니다. 잉여인력이 너무 많은 시대여서 남아도는 잉여인력을 파트타임으로 넣는다거나, 임금피크제로 나눠서 교대근무한다던가 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가능성도 있을 것 같습니다.
직업이 없는 인력이 일정 비율을 넘어서면 사회 갈등 수준이 아니라 사회 질서가 무너지게 되기에, 직업없이 사회에 소외되어 있는 인력을 어떻게든 사회로 넣기는 해야 할텐데요.
25/07/09 22:44
이거 나올때마다 매번 앵무새처럼 말하는거지만 9 to 5로 바꾸고 임금 동결하면 사무직은 어느정도 업무 효율 개선 노력해서 생산성은 유지할 수 있을 것 같고 저녁 있는 삶으로 인해 자영업자도 숨통 트일 수 있다고 보는데..
실제로 워라밸 개선 측면에선 4.5일보다 일 7시간 노동이 훨씬 와닿을 것 같구요. 아무래도 주4일제보단 임팩트가 적어서 그런지 정치권에선 이런 얘길 아무도 안하더군요
25/07/09 22:52
임금삭감없이 연봉상승률 물가보다 낮게 책정하고 복지 다 없애면 그게 임금삭감입니다. 조삼모사격
안그래도 중국에 여러 산업들 뒤쳐지는데 4일제 하면 절대 극복불가죠 그냥 5일제나 잘 지키면 좋겠습니다.
25/07/09 23:03
근데 교대근무는 뭐 4.5일 할수도 없고 주근로시간이 36이나 32로 줄어들면 그냥 급여가 느는거 아닌가요?
4조2교대 같은 경우는 지금 주42시간이라 보통 40시간에 고정ot 2시간인데 36시간(4.5일)되면 고정ot 6시간으로 증가 32시간되면 고정ot 10시간으로 증가인데 저렇게해도 조1개 늘려서 5조하는 것보다는 인건비가 대부분 절감되니 그냥 근로시간은 똑같고 수당만 늘어나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사무직만 근로시간 줄인다는 것도 아닐테고 뭘까요..
25/07/09 23:16
토요일 오전근무 -> 토요일 격주근무 -> 주 5일을 경험해본 1인으로… 다소간의 문제는 있겠지만 결국 가야하는 방향이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25/07/09 23:34
우선 유연근무제와 시간제 휴가를 활성함으로써 주간 근로시간 40시간을 줄이지 않는 전제 하의 4.5일제는 그리 어렵지 않게 도입 가능하다고 봅니다. 주5일이 그랬듯 되는 분야부터 시행하고 점점 일반화해서 안되는 곳도 조금씩 되게 만들어가야죠. 한 번에 다 되는 날 기다리면 끝이 없을 겁니다.
25/07/10 00:33
(수정됨) 제조업 기반 국가에서 조업일수가 줄어드는데 임금 삭감없는 4.5일제, 4일제가 어떻게 가능하다는건지..? 사실 구호에 불과하다고만 생각하고 있고, 이번 정권에서도 현실화되진 못하고 선거철에 다시 끄집어 낼 구호라고만 봅니다. 주된 논리가 AI인데, 알파벳 두글자 말하는거 말곤 (IT업종 제외하곤) HOW가 없죠. AI로 업무효율이 향상되는 업종도 있고, 그렇지 않은 업종도 많은데 별 고민하지 않고 전가의 보도처럼 AI를 꺼내오는데, 엑셀도 못다루는 직장인들이 산더미인 상황에서 AI를 어떻게 다루게 한다는지도 모르겠고요. 제조업 기반 국가경제를 성공적으로 구조조정하고, 엑셀도 못다루는 직장인들 대부분이 은퇴해서 집에 간다면 그제서야 가능성이 있을거라고 봅니다. 다른나라들도 주 4.5일제, 주 4일제를 같이 해주는게 아니잖아요?
25/07/10 01:34
월급 주는 입장에서 걱정이 큽니다. 지금도 자영업이 어렵다고 하는데 오피스 상권은 거의 붕괴되지 않을까 싶네요. 20%의 매출이 그냥 날아가는 건데..
25/07/10 02:29
효과중 1번 워라벨은 mz들에게 메리트있는 가치인데 6시 칼퇴근하고 빨간날 쉬고 매력적입니다. 저는 돈을 쫒다가 지금은 워라벨을 중시하는데 주5일근무를 하면서도 토,일쉬어보니 2일도 어떤날은 많이 쉬는게 아닐까하는 생각을 가끔 했습니다.
한국 노동자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oecd평균 근로시간보다 많은 노동시간에도 생산성은 44.4달러고 이건 38개 회원국중에 최하위권이라는데요. 산업재해사망률은 21년간 1위라고 하고요. 이런 생산성을 본다면 근로시간은 oecd평균이하로 줄여서 주5일임금을 주4일제에도 그대로 가져갈수 있다고 봅니다. 2번은 여러기사에서 주4일을 도입한 기업의 여러가지 수치들이 향상되었다는 사례를 볼수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보더라도 주4일제전환은 장점이 크다고 보여집니다. 여기서 주4일제가 어려운 업종(제조업,서비스업등)도 있다는데 맞습니다. 5인미만 중소기업은 아마 6일제일텐데 여기 노동자들은 꿈도 못꾸시겠지요. 청년내일채움공제로 혜택주면 인력난 해결이 되겠지요. 황희정승같이 둘다 옳다고 주장한거같은데 주5일에서 주4일로 바꿀수 있는 업종은 바꾸고 나머지 업종들도 근로시간은 줄였으면 합니다.
+ 25/07/10 04:53
임금이 줄어드는게 상식적으로 당연한건데 민주당 쪽애들은 왜 자꾸 현실에 말도 안되는 환상거품만 씌우려고 하는거냐 그러니까 20대애들한테 공산화 소리 듣는거다 걔들이 보는 공산화는 북한이 아니라 민주당이 주요 정책으로 미는 그 진보나부랭이 정책 그자체거든
저 정책 자체도 화이트 칼라만 좋고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미치는 악영향은 신경도 안 썻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