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11/12 18:35
여론조사 자체가 은근히 허점이 많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걸로 특정집단만 골라 조사하기죠 예를들어 pgr에서 셧다운제 여론조사 하는것과 학부모들에게 조사하면 다르겠죠.
그리고 언론사등에서는 원하는 결과만 빼가기 때문에 버려지는 결과도 많고요. (현직기자들도 여론조사 신뢰하지 말라고 하죠) 심지어 집계과정에서 조작도 가능합니다. -_-; 제가 해봤거든요 쿨럭
12/11/12 18:41
조작을 하려고만하면 할 수 있겠죠.
예를들어서, 하루에 3회 여론조사를 실시해서, 그 중에 마음에 드는 것만 골라서 공개한다거나... 여론조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항의 어조를 조금 조정한다거나요.
12/11/12 19:16
샘플을 어떻게 뽑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전에 어느 후보 성향의 지지자였는지를 다 파악하고 있으면 그 사람들한테만 전화를 다시 걸면 됩니다...
12/11/12 20:36
여론조사분석 과정 그 자체에는 조작이 들어갈 수 없다고 봅니다. 실제 리서치회사에서도 그런 위험 감수하면서 까지 하려고 하지도 않구요.
하지만 조사분석에 쓰이는 샘플(실제 응답자)을 어떻게 추출하느냐에 따라 원하는 결과로 도출이 가능하죠. 결국은 리서치 회사의 의지에 달린 문제입니다.
12/11/12 21:27
모집단의 선정부터 설문지의 문항등 다양하게 의뢰인이 원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자료를 뽑아낼 수 있죠.
새누리에서 말하는 안철수쪽에서 돈을 많이 썼다는게 여론조사를 많이 의뢰했다는 건지? 아니면 그냥 뇌물인지?... 헛소리같은데... 여론조사기관의 조작(?)은 대게 외뢰처에 성향에 따라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