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4/12 10:37:10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SF소설] 공상과학대전
[SF소설] 공상과학대전

테란 1

기술의 발전을 통해 더 이상 인간들은 미지 혹성 개발에 나서지 않는다.

이 미지의 은하계에서 발견된 미네랄과 가스만으로도 필요한 모든 것들의 생산이  가능하

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로 이제 혹성 개발에는 커맨드 센터하나와 SCV 4대만 있으면 충분

했다.

미네랄은 우주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이 고체상태로 존재했고, 가

스는 플라즈마 상태의 고 에너지원이었다.  이 두 가지 물질의 무한한  가능성을 파악한 테

란 연방은 이를 개발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고 그 결과물이 커맨드 센터였다.

테란 연방은 고도의 우주 전파 망원경 관측을 통해 발견된 미네랄과 가스가 있는 행성들

을 향해 수많은 커맨드 센터를 보냈다.

커맨드 센터는 자립형 인공지능을 갖춘 중앙 컴퓨터와 소량의 유전적 정보를 지닌 냉동 세

포, 그리고 네 대의 SCV로 이루어져 있다.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유

인 비행은 여러 가지 난제를 안고 있었다. 따라서 무인 비행이 필요했고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컴퓨터가 필요했고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대안으

로 제시된 것이 완전 자립형 컴퓨터와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한 복제 인간의 활용이었다.

양자 반도체 기술의 등장은 제 6세대 자립형 컴퓨터의  등장을 가능하게 했다. 양자 반도

체는 원자 단위의 반도체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컴퓨터 보다 약 1만배 이상의  

비약적 성능 향상이 가능했고 그에 따라 유연한 사고와 판단  능력이 가능했다. 그리고 유

전 공학의 발전은 DNA 뿐 아니라 단백질의 합성을  가능케 했다. 이로서 테란 인들은 자

신들이 원하는 형태의 인간을 만들어 내고 통제하는 것이 가능했다. 세포는 일정 횟수 이

상 분열을 하게 되면 더 이상 분열할  능력을 잃어버리고 죽음을 맞게 된다.  특히 급속하

게 일어나는 분열은 세포의 노화를 촉진하여 그들이 만들어낸 인간들은 기껏해야 2년 정

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그리 큰 문제 될 것이 없었다. 어차피

그들은  소모품이었고, 똑같은 복제물들은 거의 무한하게 생산이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만

들어진 인간들의 두뇌는 거의 텅 빈 상태였고 커맨드 센터의 중앙 컴퓨터는 각자의 목적

에 맞게 일정한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했다. 직접 로봇을 만들

어 이용하는 것보다는 보다 유연한 인간의 의식을 통제하여 움직이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

었기 때문에 미지의  행성들을 개척하는 방식으로 커맨드 센터는 거의 독보적인 방식이었다.

우주 정거장에서 조립된 커맨드 센터는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 할  수 있었다. 인간

이 타고 있다면 불가능했을 순간 광속가속이 가능했기 때문에 테란 인들의 행동 범위는 비

약적으로 증가했다. 테란 인들은  커맨드 센터를 이용한 혹성  개척 계획을 "스타크래프

트"라고 명명하였다.

그들의 계획은 순조롭게 진행되어 발사된 100여대의 커맨드 센터 중에서 50%  이상이 원

하는 목적지에 도착했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것은 당초 계획에 거의 두 배

가 넘는 성공이었고 이에 따라 테란연방의 힘은 날로 커져만 갔다.

그러던 어느 날, 너무도 갑자기 그들이 나타났다.

계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oundofsilence
04/04/12 10:56
수정 아이콘
이제는 공상과학대전이군요. 새롭게 연재되는 총알이모자라...님의 소설 기대해 보겠습니다.
w.y.wings
04/04/12 11:13
수정 아이콘
기대되네요.... 그 동안의 총알이모자라 님의 필력을 생각하면요...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04/04/12 11:29
수정 아이콘
기대.. 기대...... 그런데.. 너무 짧아요...
초반3분
04/04/12 12:53
수정 아이콘
볼때마다 정말로... 감탄을 하게 됩니다.
다음편도 되도록이면 빨리 보고 싶습니다.
04/04/12 12:57
수정 아이콘
잠시 딴지.. 혹성->행성. 혹성은 일본어입니다.
04/04/12 12:57
수정 아이콘
광속에서 유인비행이 어렵다는 건 설정인가요?
swflying
04/04/12 13:16
수정 아이콘
wook98님 혹성이 일본어라는 건 처음 들어보는데요;;
혹성은 惑聖이란 한자도 있는데요; 행성과 같은 말로 쓰이구요;
일본어로 혹성은 와쿠세-라고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만;
04/04/12 13:25
수정 아이콘
한자가 있다고 다 우리말은 아니고; 일본에서 쓰는 惑聖이라는 말을 우리나라에서 번역할때 그대로 혹성이라고 쓴걸로 알고 있습니다. (옛날에 만화영화 보면 많이 나왔죠) 일본식 단어라고 하면 되려나요. 행성, 혹성, 둘 다 한자이긴 마찬가지이지만 일단 우리나라는 행성을 쓰는게 맞습니다.
swflying
04/04/12 13:59
수정 아이콘
아 일본식 한자 표현이란 말이였군요^^ 전 혹성 이 발음 자체가 일본말이라는걸로 이해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총알이 모자라.
04/04/12 14:55
수정 아이콘
wook98님// 언제나 날카로운 지적이시네요.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보다 빠른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빛과 같은 속도로 비행하는 것은 무한한 동력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것 뿐만 아니라 사람이 타고 있다면 가속을 천천히 해야 합니다. 관성의 문제가 있으니까요. 만일 순간적으로 빛의 속도의 99%에 이르는 속도를 낸다면 사람이 받게되는 순간적인 압력은 무한에 99%입니다.^^ 결국 해결책은 서서히 속도를 높이는 건데 계산의 결과 인간이 견딜수 있게 빛의 속도에 이르기 위해서는 석달 반 정도가 걸립니다. 석달 반 정도면 빛의 속도 개념에서는 엄청난 차이고 또 목적지에 다다를 때도 감소의 정도가 가속과 같은 정도로 필요합니다. 따라서 무인으로 비행하는 것이 훨씬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설정입니다.^^
영혼의 귀천
04/04/12 15:33
수정 아이콘
아......기대됩니다. 멋진 글이 또 한편 나올듯....
싸이코샤오유
04/04/12 16:36
수정 아이콘
저는 절대 이런 글은 못씁니다... 백과사전 사다줘도 .. 안씁니다..
못씁니다 ㅜ ㅜ..
04/04/12 17:36
수정 아이콘
역시;;;
다음편도 기대하겠어요~
짧긴 짧네요^^ 소설책 쓰세요^^SF흐흐
아케미
04/04/12 17:54
수정 아이콘
이번에는 공상과학대전이군요. 흥미진진합니다^^ 다음 편도 기대할게요!
그나저나 혹성이 일본식 표현이었군요. 앞으로는 자제해야겠네요…
04/04/12 19:00
수정 아이콘
혹시... 나중에.... 태란이 요가를 배워... 무병 장수 한다 뭐 이런 스토리면.... 낭패.... 하지만 좋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6177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1104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2304 13
81702 [LOL] 오페구케, 결성 후 처음으로 3위 이내 입성 실패. [6] Leeka1448 25/09/22 1448 1
81701 [LOL] DRX 최병훈 단장 복귀 [18] BitSae3300 25/09/22 3300 3
81700 [랑그릿사 모바일] 내용多! 필독! 추석/cp뽑 이벤트, sp란디우스, 시엘나, 중섭 신캐들 소개! [22] 통피1646 25/09/22 1646 2
81699 [콘솔] 올해 최고의 모험을 즐길수 있었던 게임 — 할로우나이트 실크송 [42] Kaestro5384 25/09/21 5384 5
81698 [LOL] 줘딩 '나이트' 통산 10번째 MVP 달성 [26] 포스트시즌5996 25/09/21 5996 2
81697 [LOL] AL, 2018 이후 LPL 월즈 진출팀중 최저 연봉팀 기록 달성 [7] Leeka4681 25/09/21 4681 1
81696 [LOL] 현 시점 기준 월즈 진출팀 총 정리 [5] Leeka4723 25/09/21 4723 0
81695 [LOL] LPL 결승 결과 [11] 포스트시즌4809 25/09/21 4809 0
81694 [LOL] 젠지, 티원 상대 5꽉 5연승 달성 [20] Leeka3675 25/09/21 3675 0
81693 [LOL] 그러길래 목을 쳤어야지(죽는줄 알았다) LCK 플레이오프 젠지vsT1 후기 [135] 하이퍼나이프8912 25/09/21 8912 12
81692 [LOL] "그래서 T1은 어느 팀이랑 붙음?" (수정, 추가) [64] Silver Scrapes6439 25/09/21 6439 4
81691 [LOL] 승자 결승이 있었는데요.. 없었습니다. LCK 플옵 한화vsKT 후기 [50] 하이퍼나이프10860 25/09/20 10860 2
81690 [LOL] 2025 월즈 슬로건으로 추정되는 문구가 확인되었습니다. [6] 코라이돈8835 25/09/20 8835 1
81689 [LOL] 2025 롤드컵 트로피. 소환사의 컵이 새롭게 디자인 됩니다. [10] Leeka9029 25/09/20 9029 0
81688 [LOL] 4세트 람머스 픽에 대한 김정균 감독의 반응 [71] Lz13309 25/09/19 13309 10
81687 [LOL] LCK에서 3시즌 내내 반복된 역사와, 바뀐 역사 [25] Leeka13435 25/09/19 13435 8
81686 [LOL] 어둠을 뚫고 내가 돌아왔다! LCK 플레이오프 T1 vs DK 후기 [33] 하이퍼나이프12177 25/09/18 12177 4
81685 [LOL] LCK 롤드컵 시드 관련 [30] 영혼11418 25/09/18 11418 4
81684 [LOL] 김대호 코치 “이기는 게 더 상상돼서 아쉬웠다” [138] 반니스텔루이13748 25/09/18 13748 0
81683 [LOL] 어쨌든 진출 [55] roqur9675 25/09/18 967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