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04 22:57:27
Name 김유라
Link #1
Subject [스포츠] [MLB] 역대 한국인 메이저리거들의 KBO선회와 직행에 대해 (수정됨)
역대 한국인 국적으로 마이너리그에 등록된 적이 있던 사람은 [총 93명]입니다.
그 중에서 메이저리그에 콜업된 선수는 30% 수준인 [총 28명]이며, 직행으로 간 선수가 13명, KBO를 거친 뒤 간 선수가 15명입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bWAR를 1 이상 누적한 선수는 [총 13명]이며, 직행으로 간 선수가 7명 ,KBO를 거친 뒤 간 선수가 6명입니다.

통상적으로 KBO에서 7년동안 맹활약하여 포스팅도면 만 25세 정도의 나이가 됩니다.

그 중에 메이저리그를 직행했던 선수들 중 만 25세 이전에 bWAR를 1 이상 쌓은 선수는 [박찬호, 김병현, 추신수] 셋이 전부입니다.
(두자릿수 bWAR 를 25세 이전에 누적한 선수는 김병현 선수가 유일합니다.)


[역대 메이저리거들의 bWAR] *bWAR가 1 이상인 선수는 강조 처리
이름        직행/KBO        통산        25세 이전
[박찬호        직행        18.1         4.9]
조진호        직행        -0.4         -0.4
[김병현        직행        11.1         10.4]
이상훈        KBO        0.3         0.0
김선우        직행        0.4         0.7
봉중군        직행        -0.7         -0.7
[서재응        직행        6.4         0.0]
[최희섭        직행        2.6         0.6]
[백차승        직행        1.0         -0.2]
구대성        KBO        0.2         0.0
[추신수        직행        34.7         1.3]
류제국        직행        -0.5         -0.5
[류현진        KBO        19.0         0.0]
임창용        KBO        0.0         0.0
[강정호        KBO        5.9         0.0]
[오승환        KBO        4.4         0.0]
박병호        KBO        -0.2         0.0
이대호        KBO        0.3         0.0
[최지만        직행        4.8         0.0]
김현수        KBO        -0.2         0.0
황재균        KBO        -0.3         0.0
[김광현        KBO        2.1         0.0]
[김하성        KBO        15.1         0.0]
양현종        KBO        -0.4         0.0
박효준        직행        -0.4         0.0
배지환        직행        -0.1         -0.4
[이정후        KBO        1.7         0.0]
김혜성        KBO        0.0         0.0


젊고 뛰어난 선수들의 도전을 비난하고자 하는 글은 아니지만,

확실히 이 정도면 미국에 연고가 있는 특수성이 있는 것 아니면은(아니면 오히려 미국에 연고를 불사하고도) KBO 거쳤다가 메이저리그 가는게 연봉이나 생활 측면에서 이득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미 뛰어난 선배들이 좋은 길을 많이 닦아놓았기 때문에 직행을 불사할 이유는 크게 없어보이긴 하네요.

실제로 최근 트렌드도 KBO 거쳤다 간 선수들이 오히려 콜업이 더 잘되는 추세기도 하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 25/05/04 23:09
수정 아이콘
이상훈, 구대성선수는 직행이 아니지 않나요
김유라
+ 25/05/04 23:15
수정 아이콘
오잉 시트 필터먹이다가 윗부분이 일괄로 꼬였네요
감사합니다
지니팅커벨여행
+ 25/05/04 23:24
수정 아이콘
bWAR이 뭐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부터 설명을 해 주시면 좋겠네요.
야구 좀 봤다고 생각했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스타나라
+ 25/05/04 23: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에는 WAR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베이스볼 래퍼런스의 bWAR
팬그래프의 fWAR
편하게는 보통의 WAR와 같다고 생각하심 되겠습니다.(양쪽이 가중치가 다릅니다)
아래를 참고해보세요 : )

https://namu.wiki/w/%EB%B2%A0%EC%9D%B4%EC%8A%A4%EB%B3%BC%20%EB%A0%88%ED%8D%BC%EB%9F%B0%EC%8A%A4#s-3
+ 25/05/05 00:13
수정 아이콘
MLB의 WAR은 bWAR(베이스볼 레퍼런스 계산식)와 fWAR(팬그래프 계산식)이 있는데
신뢰도 측면에선 bWAR이 높은 편이고, fWAR은 일반적인 인식과 더 비슷한 느낌이 있습니다.
청춘불패
+ 25/05/04 23:37
수정 아이콘
솔직히 크보에서 활약한 다음 미국가도
괜찮은것 같은데 왜 미국직행을 고집하는지
이유를 알것 같지만 그래도 아쉽긴 하네요
+ 25/05/05 00:20
수정 아이콘
만화 슬램덩크에서도 이와 비슷한 사례가 나오는 걸 보면 아무래도 선수는 국내에서 자신의 재능이 낭비된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직행을 택하는 선수들 대부분은 내 포텐셜은 100인데 국내에선 80쯤 발휘 될 것 같고 그나마도 7년쯤 뛰면 70쯤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하는데
미국에 가면 90에서 시작해서 5년 이내에 100을 채울 것 같다고 생각하는 느낌입니다.
키모이맨
+ 25/05/05 00:18
수정 아이콘
FA까지 기다릴거없이 포스팅으로 갈 수 있는 상황만 되면 메이저 직행이 굳이긴 하죠
고졸선수가 직행해서 마이너에서 몸만들고 프로로서 어느정도 시즌 치루는 법도 배우고 자기 루틴도 정립하고
이걸 그냥 크보에서 한다고 치면 그만이라서 계약금은 직행이 좀더 높겠지만 미국 마이너에서 말도 안통하는데
미국까지 가서 저거 혼자서 하기vs크보에서 탑급 유망주 대우 받으면서 하기 하면 후자가 더 나아보이긴 해요

이건 제 사견인데 전 투수는 진짜 상관없어보이는데 타자는 메이저 진출 욕심이 있으면
하위리그에서 하다가 넘어가서는 상당히 빡세다고 생각하는 편이긴 합니다 타자는 직행도 생각해볼만하긴 하다고봄
투수는 오히려 생소함이 장점이고 무기가 되는데 타자는 하위리그에서 하위리그 투수들에 맞춰서 타격폼, 타석 접근법
다 정립해놓았는데 상위리그(메이저)가면 이걸 무조건 다 뜯어고쳐야되더라고요
근데 본인 타격폼이랑 타석접근법 0부터 뜯어고쳐서 잘한다는게 참 어려운일이라
가서 뜯어고치는데 성공한 선수는 먹히는거고 실패한 선수는 안먹히더라고요
+ 25/05/05 00:23
수정 아이콘
예전에 니혼햄이 계약안하고 미국 가겠다는 오타니를 설득한 내용이 2006년 이후 한국에서 고교졸업 후 바로 미국간 선수 21명 중 21명이 모두 메이저 콜업 안됐다는거였죠.
이정재
+ 25/05/05 00:31
수정 아이콘
최지만때문에 불가능한 이야기입니다 
2009년 진출 2016년 콜업 
+ 25/05/05 00:40
수정 아이콘
지금은 틀리지만 당시는 맞습니다. 오타니의 니혼햄 입단은 2013년이라서 당시는 최지만 콜업 전입니다.
한국화약주식회사
+ 25/05/05 02: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타니 입단 연도가 2013년이고, 설득에 썼던 프리젠테이션 파일은 예전에 니혼햄이 공식 홈페이지에 올려놨었습니다. 한국인 직행중 마지막 콜업이 그땐 추신수였습니다.

2006년 이후 직행한 한국인 선수중 메이저리거는 0명이지만 류현진은 KBO에서 활약하고 거액의 계약으로 메이저리거가 되었다 라는게 주 설득이였고 이게 오타니 마음을 움직였죠.
이정재
+ 25/05/05 00:32
수정 아이콘
항상 말하는거지만 1라운더 후보군 직행과 kbo성공자들중 한번 더 거른쪽은 당연히 후자죠
이런글들은 직행자가 한국 남았더라도 망할 가능성이 있다는걸 항상 간과함 
스덕선생
+ 25/05/05 00:53
수정 아이콘
트라웃같은 비현실적인 케이스를 제외하고 보면 고졸 신인이 마이너리그를 순조롭게 올라가도 대충 4~5년 정도가 걸리는데
(참고로 그 저지도 대졸 신인임에도 3년 걸렸고, 추신수가 5년 걸렸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메이저리그 콜업, 샌드다운 왔다갔다하면 다시 1~2년 걸린단 말이죠.
이러면 풀타임 메이저리거는 데뷔 6~7년차인거고요.

이 정도 기량을 갖춘 선수가 크보에서 데뷔했다면 포지션이 꼬였어도 1~2년 안에 주전을 먹었을테니 기간차이가 거의 안 나죠.
메이저리그 직행이 의미있을만한 선수는

1) KBO 진출이란 안전장치가 의미 없을 정도로 완성된 S급 유망주
2) 대졸, 병역 등으로 데뷔부터 나이가 많아서 빅리그 도박을 원함

이 두가지 정도 제외하면 찍먹하고 나가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어차피 크보에서도 안 먹힐 선수면 메이저리그는 그냥 나가나마나고요 크크
+ 25/05/05 02:49
수정 아이콘
병현킴은 도대체 어떤 재능이었단 말인가
+ 25/05/05 01:49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도 졸업안한 선수입장에선 먼 일이라서 별로 귀에 안 들어올수 있는 얘기지만
메이저데뷔나 크보에서 진출하는거나 실질적인 데뷔년도는 차이가 안 나는데 크보에선 준FA선수 취급받고 넘어가고,
메이저에선 그때부터 서비스타임 노예 스타트 인것도 너무 크죠.

찍먹수준이 아니라 제대로 메이저리거로 활약해서 그나마 반례가 되는 최지만의 총 연봉 수령액이 1200만불인데
크보에서 요즘 선수가 메이저가는데 총 보장연봉 1200만불이라고 하면..뭐 크보라고 다 미국가는게 김하성이고 이정후인건 아니긴 합니다만
고우석조차도 계약이 이해가 안되는건 맞지만 4~500만불 수준은 나왔는데 그렇게 메이저 오래 잘 뛰었다고 하면서 1200만불이라고 하면 초라하죠
한국화약주식회사
+ 25/05/05 02:25
수정 아이콘
최지만급이 국내에서 뛰었다면 거의 크보오는 탑 타자용병급이고 그쯤되는 국내선수면 FA로 한번 땡기고도 4년 계약 끝나서 2차 FA 뛸 나이죠. 금전적으로 압도적인 우위냐라면 그것도 아닐거라.. (연금이 있다는게 그나마 우위긴 하네요)
알파고
+ 25/05/05 01:59
수정 아이콘
S급아니면 크보행이 맞죠. 다만 크보가 므르브 진출 사관학교가 된다는게 아쉽지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21222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5634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78792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50907 0
88301 [스포츠] 해리 케인이 드디어 첫 메이저 트로피를 듭니다 kapH140 25/05/05 140 0
88300 [스포츠] [MLB] 역대 한국인 메이저리거들의 KBO선회와 직행에 대해 [18] 김유라2004 25/05/04 2004 0
88299 [스포츠] [MLB] 김혜성 메이저리그 콜업 및 데뷔 [7] 손금불산입2295 25/05/04 2295 0
88298 [스포츠] KBO 160 트리오 [8] 오징어개임2268 25/05/04 2268 0
88297 [스포츠] [KBO] K-스탠튼 수원에 상륙 [14] 갓기태2596 25/05/04 2596 0
88296 [스포츠] 프로야구 순위, 다음주 일정.jpg [39] 핑크솔져3652 25/05/04 3652 0
88295 [기타] 길고 길었던 제천의 영화관 없던 시절이 끝났습니다. [4] 된장까스2534 25/05/04 2534 0
88294 [스포츠] 한화가 17승 3패 기간 빠따가 안터진 이유 [14] 여기3257 25/05/04 3257 0
88293 [스포츠] [KBO] 최근 17승 3패의 대단한 기세를 보이는 한화 이글스 [20] SKY923211 25/05/04 3211 0
88292 [연예] 데블스플랜2의 부제는 안티-궤도?(feat,하석진-정종연-궤도) [9] 샤르미에티미2498 25/05/04 2498 0
88291 [스포츠] 애런 저지 vs 마이크 트라웃 스탯.jpg [11] insane2968 25/05/04 2968 0
88290 [스포츠] [MLB] 오타니 시즌 8호 점심콜.gif (용량주의) [3] SKY922504 25/05/04 2504 0
88289 [스포츠] [MLB] 저지 시즌 11호 홈런 + OPS 1.3 달성 [12] kapH4212 25/05/04 4212 0
88288 [스포츠] 무관 저주에서 벗어나는게 99.999% 확정이지만 마지막으로 무관 기운을 보여준 해리 케인 [28] 매번같은7136 25/05/04 7136 0
88287 [스포츠] [KBO] 국내 선발 평자책 1위 팀의 위엄 [17] 손금불산입6313 25/05/03 6313 0
88286 [연예] 2년만에 시축하고 승리요정 된 대전의 딸 안유진 [4] 강가딘6182 25/05/03 6182 0
88285 [기타] 데블스 플랜 시즌2가 5월 6일에 공개됩니다. [6] 탈리스만4057 25/05/03 4057 0
88284 [스포츠] [KBO] 득점권 OPS가 좋은 타자들 [12] 손금불산입4244 25/05/03 4244 0
88283 [스포츠] [KBO] 부진으로 다시 말소된 기아 임기영 [9] 손금불산입3967 25/05/03 39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