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9/11 17:29:50
Name cheme
Subject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1 (수정됨)
이 시리즈에서는 앞으로 몇 편에 걸쳐 지난 번 중국 반도체 굴기 시리즈에 이어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를 다뤄 보려 합니다. 두 나라의 반도체 관련 산업의 역사와 현주소, 그리고 미래를 되짚어 보며, 그 사이에 끼인 형국인 한국의 반도체 산업의 미래, 그리고 다가 올 위기에 대한 대응을 같이 논해 보는 것은 시의적절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직 도래하지는 않았지만, 반드시 도래할 수 밖에 없는 위기에 대한 대응은 역시 역사를 들여다 보면서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은 가급적 비슷한 길을 겪었던 케이스를 보는 것이 더 좋겠죠. 한국 입장에서는 불행이자 다행인 요소로서 선행 주자 일본이 먼저 겪은 반도체 산업의 쇠망기가 있습니다. 이미 현업의 전문가들, 전략가들은 일본의 반도체 산업 쇠망사를 많이 공부했지만.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고, 그 분야로 진출하실 분들도 계실 수 있으므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 글을 남깁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나, 틀린 팩트가 있다면 언제든 코멘트를 부탁드립니다. 제가 아는 범위 내에어 대응할 것이며, 필요한 부분은 코멘트에 따라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동역학계 (dynamic system)은 시스템의 output이 특정한 변수에 따라 계속 변하는 시스템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패턴의 형성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물리적 현상의 근저에는 동역학계에 대한 수학적 이해가 자리 잡고 있다. 동역학계는 결국 동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동적 특성에 관여하는 파라미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반해, 정역학계 혹은 정적 시스템 (Static system)은 시간에 따른 시스템의 변화가 거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외부에서 계속 자극이 들어 와도, output은 거의 변화가 없고, 자극은 계속 누적되거나 혹은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해소되어 시스템은 계속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동적 시스템은 외부의 자극에 영향을 받지만, 그로 인해 시스템의 새로운 특성이 발현되기도 하지만, 정적 시스템은 외부의 자극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시스템 고유의 특징을 벗어나는 특성이 발현되기는 어렵다. 어떤 사회도 동적인 특성이 강한지 혹은 정적인 특성이 강한지에 따라 아마 큰 기준에서 분류가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사실, 한국과 일본은 수천 년 간, 지근 거리의 이웃 나라로 지내 오면서 그 오랜 시간 동안 서로를 닮아 갈 시간이 충분했음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일본은 제국주의 시절, 20세기 초반에 아예 한국을 35년 간 침탈하여 철저하게 식민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서로 비슷한 점보다는 다른 점이 더 많은 나라다. 일본이 그렇게 식민지 지배 시절, 조선을 일본과 동화시키려 회유와 폭력을 동원하여 갖은 수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이라는 나라의 아이덴티티는 없어졌을 지언정, 한국인의 정체성은 쉬 사라지지는 않았고, 한국이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일본의 모델을 적극적으로 수입하려 했어도, 21세기의 한국과 일본의 산업과 과학의 결은 비슷하면서도 꽤 다른 궤적을 보이고 있다.

이 글에서 다루려는 것은 일본의 반도체 산업 쇠망사다. 그렇지만 그전에 일본의 과학기술 그리고 산업적 경쟁력이 어떻게 확보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부터 풀어 볼 필요가 있다. 무엇이든 끝이 있다면 시작이 있었기 때문이다. 21세기 들어 와, 미국 다음으로 노벨 과학상 (물리, 화학, 생리의학)을 많이 수상한 나라는 다름 아닌 일본이다 (2000년 이후, 총 18명). 매년 가을, 노벨상 소식이 전해 지면서, 일본 과학자들의 노벨 과학상 수상 기록이 하나씩 늘어 갈 때마다, 우리나라의 모든 미디어는 일제히 한국은 뭐하고 있냐느니, 일본을 배워야 한다느니, 일본의 수상 원천은 어떤 것이라느니, 하는 기사가 쏟아져 나온다. 그렇지만, 내가 이해하는 일본의 기초 과학 경쟁력의 원천은 다름 아닌, 그들의 '일관성'이다. 중세 시절부터 일본에는 이른바 '일소현명(一所懸命, 잇쇼겐메이)'이라는 철학이 공고하게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다름 아닌, 한 장소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다는 것을 뜻한다. 예전에는 이 철학이 좁은 의미에서 '조상 대대로 이어 받아 온 영지(領地)를 목숨 걸고 사수한다' 뜻으로 쓰였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한 직업, 한 회사, 한 조직, 한 분야 등에 골몰하여 집중한다는 가치 표방으로 확장되어 활용된다. 당연히, 영지를 떠나면 안 되므로, 영주든, 그 밑의 사무라이든, 더 밑의 농민이든 거의 평생 경계를 벗어나는 일이 없이, 사회는 정주형 사회가 되며, 아버지의 직업을 아들이 물려 받는 것이 미덕으로 굳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사회 전체적인 동적인 특성은 약화될 수 밖에 없다. 사회가 정주형으로 고착화되고, 학문에서도 이러한 철학이 유지되니, 한 분야를 평생 파고 드는 것이 장려되고, 사회적으로도 이를 지원하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이러한 철학이 힘을 발휘하여, 노벨상 같은 기록은 자연스럽게 따라 오게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일소현명' 정신은 개인 한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아예 가족, 가문, 그리고 학문에서는 스승과 제자의 대를 이어가는 일관성으로까지 적용된다. 예를 들어, 2002년 고시바 마사토시 (小柴 昌俊, 1926-) 동경대 교수는 우주 뉴트리노 (neutrino)를 실험적으로 관측한 업적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는데, 이로부터 13년 후인 2015년에는 그의 제자이자 역시 동경대 교수이기도 한 가지타 다카아키 (梶田 隆章, 1959-) 교수가 뉴트리노가 질량을 가지고 있음 (즉, 중성미자의 맛깔이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는 중성미자 진동 현상)을 실험적으로 관측하여 증명한 공로로 다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사실, 다카아키 교수의 수상을 가능케 한 업적은, 다름 아닌 일본의 뉴트리노 연구 기반시설 (슈퍼 카미오칸데, Super-Kamiokande)에서 얻어진 데이터 덕분이었는데, 이 시설은 동경대 교수이자 동경대 우주선 (宇宙線) 연구소 소장이었던 도츠카 요지 (戶塚 洋二, 1942-2008) 교수가 일생을 바쳐 구축하려 했던 시설이기도 하다. 도츠카 요지 교수는 카미오칸데에서 있었던 실험시설 폭발 사고에 대한 책임으로 우주선 연구소 소장직에서 물러난 후, 건강이 악화되었다고 한다. 도쓰카 요지 교수 역시 고시바 마사토시 교수의 제자이기도 했는데, 학문적 공헌도를 고려컨대, 그가 몇 년만 더 살았더라면 그 역시 노벨 물리학상 수상이 거의 확실했을 것이다. 일본 최초의 노벨상 역시, 물리학에서 나왔는데, 그 주인공은 중간자 (meson)을 예견했던 유카와 히데키 (湯川 秀樹, 1907-1981) 교수였고, 히데키 교수는 앞서 일본 최초의 물리학자로 불리는 아먀카와 겐지로 (山川 健次郎, 1854-1931)-나가오카 한타로 (長岡 半太郎, 1865-1950)-니시나 요시오 (仁科 芳雄, 1890-1951)로 이어지는 일본의 물리학 사제 학맥을 잇는 주인공이었다. 니시나 요시오 교수의 제자 중, 다른 한 명은 도모나가 신이치로 (朝永 振一郎, 1906-1979) 교수로서, 그 역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다. 비단 물리학뿐만 아니라, 일본의 일관성과 집중력은 다른 기초 과학 분야에서도 발현되는데, 몇 년전에 해외 토픽으로 큰 화제가 되기도 했던, 일본의 거의 반 세기에 걸친 실험적 산림 조성 연구 사업에 대한 것도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본의 일관성은, 과연 치열하게 하나의 문제에 골몰하여 기어코 그것을 해결하고야 마는 기초 과학 연구에서는 특장점을 발휘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한 편으로는 일본의 산업 경쟁력이 글로벌 수준에서 떨어지게 만드는 단점이 되기도 하였다. 일본의 IT 기술 업계는 자주 '갈라파고스'라고 비하되곤 하는데, 이러한 별명을 만들어낸 계기는 바로 일본의 모바일 사업에서 비롯된 것이다. 단적인 예로, 일본에서는 피처폰의 사용자 비율이 2014년까지도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보다 높았을 정도인데 (한국은 2011년에 스마트폰이 피처폰을 역전함), 이랬던 이유는, 일본의 소비자층이 굳이 피처폰으로도 무리 없이 생활하던 스타일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겨 갈 이유를 못 찾은 것에도 기인한다. 일본의 모바일 시장은, 그렇지 않아도 보수적인 일본의 소비자 특성에 더해, 피처폰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이 고착화되다 보니, 여전히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이 다른 IT 선진국에 비하면 많이 뒤떨어지는 양상이다. 일본의 피처폰은 일명 '가라케 (즉, 갈라파고스 케타이 (ガラケー))'라고도 불리는데, 스마트폰이라면 충분히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 대신, 피처폰에서 억지로 돌아가게 만든 휴대전화가 대부분 가라케에 해당한다. 이것이 얼마나 기술적으로 뒤떨어진 것인가 살펴 보자. 한국에서라면 당연히 상식인 문자메세지 (SMS)는 일본 피처폰에서는 이메일 (폰메일) 형식으로 밖에는 전송할 수 없는데, 이는 다른 나라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SMTP나 IMAP 같은 프로토콜에 따를 수 밖에 없다 (일부 유럽 국가와 미국의 이동통신 업체에서는 여전히 이메일 표준으로 지금까지 쓰이고 경우가 없지는 않다고 함.). 문제는 일본에서는 본인 인증을 할 때 핸드폰의 폰메일이 필수이므로, 이 프로토콜이 없는 시스템의 핸드폰으로는 인증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더구나 문제는 일본 내의 이동통신사 간에서 마저 SMS조차도 프로토콜이 통일되지 않은 관계로, 호환이 잘 안되었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더욱 괴상한 스마트폰이 나왔는데, 일명 일본 내수용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가라스마 (ガラスマ: ガラケー+スマホ)’가 그것이다. 이는 스마트폰에 일본쪽 피처폰 기능을 억지로 욱여 넣은 형식의 '반 피처-반 스마트폰격'인 핸드폰인데, 일본 소비자들이 얼마나 피처폰에 익숙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단적으로 보여 주는 대목 중에 하나이다. 사실 그도 그럴 것이, 일본 같은 초고령화 사회에서, 그나마 피처폰에 익숙하던 고령 소비자층이 핸드폰 라이프 스타일을 쉽게 바꾸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고, 고령자가 아니더라도, 젊은 층 일부를 제외하고는, 스마트폰 없이도 충분히 피처폰만으로도 생활 영위가 될 정도로, 대부분의 소비자층의 모바일 라이프 스타일이 보수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대세는 스마트폰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일본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도 결국 100%로 수렴하게 되겠지만, 일본의 산업 기술력을 고려할 때, 모바일 스타일에서의 보수적인 소비자 경향은 매우 흥미로운 부분이다.

일본 산업계가 갈라파고스화되는 경향은 모바일 외에도 곳곳에서 목격된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차 규격은 전장 3.4 m, 배기량 660cc라는, 그야말로 소형차 중에서도 소형차만 해당될 정도로 빡센 규격인데, 덕분에,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이 일본 경차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반대로, 일본의 경차 역시 외국 시장 진출이 거의 불가능한데, 애초, 도시를 벗어나면 자동차로서의 기능이 현격하게 떨어지는 형태로 규격이 정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일본 내수 시장에서 경차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에 육박하다 보니, 그 상위 계층, 예를 들어 소형차나 중소형차 같이 일본 자동차 메이커들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차종에서의 자동차 경쟁력이 오히려 자국 시장에서는 떨어지는 묘한 현상이 생겨난다. 단적인 예로, 미국에서 수십 년 간 스테디 셀러인 도요타의 코롤라나 혼다의 시빅 (둘다 중소형)은 미국 전역에서 언제든 쉽게 찾을 수 있는 차종이지만, 정작 일본 시내에서 찾아 보기 매우 어려울 정도다.

일본의 산업 기술이 갈라파고스화되는 것은 IT나 자동차 외에도, 조선업, 반도체 산업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 경향이다. 예를 들어, 일본이 한국과 대만, 중국의 디스플레이 업체에 대항하여 정부 주도로 2012년 히타치, 도시바, 소니의 디스플레이 부문을 통합해 야심차게 출범시킨 재팬디스플레이 (JDI)는, 매년 실적 부진에 시달리다 못해, 2019년, 자기자본비율이 마이너스로 추락하며 재무 위기에 빠졌다. 2018년 8월 9일 공개된 JDI의 2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전년보다 12.5% 줄어든 904억엔 (1조400억원)이고 영업손실은 274억엔, 그리고 순손실은 832억엔 (한화 9,589억원)인데, 시장 전망에 따르면, JDI의 사업 전망은 앞으로 더 악화일로에 놓여 있다. 시장 점유율은 꾸준히 떨어지는 동시에, 고부가가치 제품이나 부품의 수익 창출 퀄리티도 떨어지고 있고, 그나마 OLED에 투자한 규모 역시 한국이나 중국 업체를 쫒아 가지 못 해, 결국 치킨게임에서도 질 수 밖에 없는 형국이다. JDI가 망해가는 주 원인은 일본 정부가 민간 기업의 디스플레이 부문만 M&A하여 정부 주도의 공기업 비스무리한 IT 기업을 출범시킨 시대착오적인 조치가 1차적 원인이겠지만, 애초, 90년대 중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일본의 IT 공룡들이 급변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변화 방향을 감지하지 못하고, 예전 디스플레이 기술에만 골몰했던 것이 더 근본적인 이유다. 더 이상 기술적으로 발전할 여지가 거의 없는, 즉 성숙할대로 성숙한 기술이었던 LCD 디스플레이에 대한 좌고우면 없는 집중, 그나마 차세대 기술이라고 밀던 PDP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사이, 일본이 원래 원천 물질에 대한 특허를 많이 가지고 있던 OLED에 대한 기술 투자는 상대적으로 뒤쳐질 수 밖에 없었고, 한국과 중국, 특히 한국의 전자업체들은 그간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OLED의 대면적화와 양산 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미 디스플레이의 판세가 저부가가치의 LCD에서 고부가가치의 OLED로 넘어가는 와중에, 일본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한결 같은 LCD 사랑, PDP 사랑은 OLED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상실하게 만드는 주 원인이 되었다.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일본만의 갈라파고스화된 기술이 꽤 많이 있는데, 예를 들어 소니의 대표적인 삽질로 불리는 메모리스틱 기술, 그리고 LD (Laser disc) 기술을 위시로 (최초 특허권은 미국 MCA가 소유), Shift-JIS 같은 문자입력 체계 등이 일본에서만 통용되는 기술이다. 물론 간혹 소니와 필립스가 같이 개발한 CD (compact disc)나 샌디스크-도시바, 그리고 파나소닉이 공동으로 개발한 SD 카드 같은 표준화에 성공한 케이스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지나친 자사의 기술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은 다른 첨단 기술 분야,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의 반복된 실책의 배경이 되었다. 산업 기술 뿐만 아니라, 한 때 세계를 호령하던 일본 문화 산업 역시 갈라파고스화를 면치 못 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90년대-00년대 초반까지 세계적으로 인기 있었던 J-Pop은 이제 K-pop에 그 위치를 내어 주고, 거의 내수 위주로만 돌아가는 문화 산업이 되었으며, 일본의 드라마와 영화 역시, 지극이 일본 위주의 문화로 컨텐츠가 제작되다 보니, 세계화에 있어서는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 글에서부터 본격적으로 다루려는 일본의 반도체 왕국 쇠망사의 배경에도 여러 이유 중, 이러한 일본 산업의 글로벌 표준에서의 이탈, 수익성 약화, 기술에 대한 과도한 투자와 오버스펙 고집, 수익을 생각하지 않는 투자와, 파괴적 혁신에 대응하기 역부족인 이전 세대 기술에 대한 집착이 짙게 자리잡고 있다.

결국 일본이 자랑하는 '일소현명' 정신으로 대표되는 일관성은 그들의 과학기술, 그리고 산업 경쟁력에 있어 양날의 검이 된 셈인데, 애초 일본이 1억 정도의 인구와 한반도의 두 배 가까운 국토 면적 조건이 아니라 남한 정도의 인구와 면적이었다면, 이 정도로 갈라파고스화가 진행되지는 않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1억이 넘는 인구와 나름 광대한 국토, 그리고 영해가 있다 보니, 그것이 자국의 과학기술 개발의 든든한 근간이 되어 주기도 했지만, 산업계가 급변하는 21세기, 그리고 사회가 급속도로 노령화된 시점에서는 오히려 그것이 발목을 잡게 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수십 년 간 실패가 없었던 비즈니스 방식과 기술을 쉽게 바꾸지 못 했던 기업의 문화, 소비자의 경향, 사회의 분위기, 국가적 철학은 한 우물을 파고 드는 과정에서는 큰 힘을 발휘했겠지만, 오히려 너무 한 우물에만 갖혀 있게 만든 요소가 된 것으로도 볼 수 있겠다. 이에 반해, 한국은 일관성은 일본의 것에 비할 바가 아니지만, 그만큼 유행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급변하는 기업 환경과 기술 개발 경향을 금방 캐치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적어도 21세기 초반까지는 fast follower 전략이 잘 먹혀서 갈라파고스화는 면할 수 있었을 것이다. 부족한 일관성과 참을성 때문에, 일본 수준의 기초과학 집중이 이루어지지는 않았고, 덕분에 한국인들이 그렇게 바라마지 않는 노벨 과학상은 당분간 나오기 어렵겠지만, 결국 한국 같이 작은 국토 면적과 애매한 인구 규모를 가진 나라가 주변의 강대국들 사이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방법은 제조 입국, 기술 입국, 수출 입국 밖에는 없으므로, 한국 입장에서는 어찌 보면 지금까지는 국가의 자원을 최적으로 배분한 것일 수도 있다.

일본의 정주형, 즉, static system에 반해, 동적인 한국 (dynamic Korea)의 시스템과 문화가 갖는 장점이 앞으로 어떻게 우리나라의 발전에 작용할 것인지 두고 봐야겠으나, 결국, 더 이상 fast following 할 상대가 없어지는 시점에서부터는 진짜 실력으로 승부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한다 (이미 도래했다고 봐야 한다). 지금까지 한국의 외적 덩치와 내적 실력이 한국의 적응력과 응용력, 빠른 눈치와 약간의 운에 기댄 것이라면, 이제부터는 국가의 일부 자원은 한국의 일관성과 집중력에 할당될 필요가 있다. 그것이 일본의 것을 그대로 따라 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기초과학에 대한 정부의 투자는 일본의 사례를 발전적으로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결국, 우리 세대가 아닌 다음 세대, 손자 세대의 한국이라는 나라의 경쟁력은, 선진국들, 그 중에서도 10위 이내의 최 선진국들 사이에서의 경쟁력 싸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이 싸움에서 버틸 수 있을만한 체력과 맷집 기르기에 자원의 투자가 있어야 하고, 이것은 기초 과학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그 기수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과 일본 사이의 경제 분쟁 국면에서, 한국의 이웃에 일본이라는 example이 있는 것은 한국 입장에서는 어찌 보면 행운이다. 그 이웃의 악독한 만행 때문에 한국은 역사적으로 큰 고통을 여러 차례 겪었지만, 또한 그 이웃의 선행 시행착오 덕분에 한국은 가장 실질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반면교사와 타산지석 사례를 얻었다. 일본의 집중력은 배우되, 한국의 적응력은 키우고, 일본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되, 한국의 경쟁력은 보존하는 지혜를 길러야 한다. 일본이 기초 학문을 존중하는 문화를 우리 것으로 만들되, 산업의 갈라파고스화를 자초한 근시안은 경계해야 하며, 일본의 한 우물 파기 노하우를 배우되, 한 우물에 갇혀 정저지와가 되는 우를 피해야 할 것이다. 일본은 결국 한국이 한 단계 더 성장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촉매가 될 것이며, 그들의 시행착오는 한국의 엔진 연료가 되는 불쏘시개가 될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라도 일본에 대한 불가근불가원 태도는 계속 견지해야 한다. 지나치게 멀리하면 익히고 배울 것이 없어지고, 지나치게 가까이 하면, 그들의 시행착오를 답습하게 될 것이다.

*shovel님의 코멘트 덕분에 일부 오류가 있던 내용이 수정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shovel님께 감사드립니다. 다른 코멘트들도 주시면 최대한 반영하여 수정하겠습니다.

* 노틸러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7-09 16:14)
* 관리사유 : 2편 : https://pgr21.co.kr/freedom/88063
3편 : https://pgr21.co.kr/freedom/88065
4편 : https://pgr21.co.kr/freedom/88066
5편 : https://pgr21.co.kr/freedom/88067
6편 : https://pgr21.co.kr/freedom/88073
7편 : https://pgr21.co.kr/freedom/88104
8편 : https://pgr21.co.kr/freedom/8810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9/11 17:36
수정 아이콘
긴 책의 서문을 본 것 같네요. 기대됩니다.
20/09/11 23: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시리즈가 좀 길어질 것 같은데, 최대한 간단하게 써 보겠습니다.^^
DownTeamisDown
20/09/11 17:38
수정 아이콘
한국과 일본이 멀리서 봤을때는 많이 비슷해보이는데
가까이 보면볼수록 멀어보인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게 전반적인 문화 전반은 비슷한면이 많은데 기질은 거의 정반대에 가깝다는게...
20/09/11 23:22
수정 아이콘
참 일본은 알면 알수록 가깝고도 먼 나라라는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모쿠카카
20/09/11 17:48
수정 아이콘
일본이 반도체를 못한건 버블경제전 일본을 보고 미국이 견제한 이유도 있지 않을까요?
20/09/11 23:22
수정 아이콘
본편에서 그 썰을 풀어나갈 생각입니다.^^
잠만보
20/09/11 17:53
수정 아이콘
새 연재 시작이신가요! 감사합니다
20/09/11 23:22
수정 아이콘
역시 동북아 하면 한-중-일 삼국지 아니겠습니꽈? 중국만 다뤘다고 일본 친구들이 아쉬워할 것 같아서 배려해 주고 있습니다.
여행가요
20/09/11 18:06
수정 아이콘
일단 읽기 전에 감사 말씀부터 드립니다
20/09/11 23:24
수정 아이콘
읽기도 전에 감사를....저도 감사드립니다.^^
잉여신 아쿠아
20/09/11 18:09
수정 아이콘
먼저 추천 후 나중에 찬찬히 읽어볼게요 감사합니다~
20/09/11 23:2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0/09/11 18:14
수정 아이콘
일본은 변하질 않네요. 어느 나라든 문화는 그 뿌리가 참 깊군요.
20/09/11 23:24
수정 아이콘
그것이 양날의 검이 되는 것 같습니다.
20/09/11 18:24
수정 아이콘
와 신작이다!
일단 선추천 박습니다
20/09/11 23:25
수정 아이콘
편집부의 압박이...크흐흑....
덴드로븀
20/09/11 18:29
수정 아이콘
왔다! 왔어! 띠리링~ 띠리링~ 코인 10개 넣었어요~ 10편까지 고고!
20/09/11 23:24
수정 아이콘
10편이나...ㅠ.ㅠ.
말다했죠
20/09/11 18:37
수정 아이콘
기무 못 기다리겠네요 헉헉 2편 마렵다
20/09/11 23:24
수정 아이콘
오...올려 드리겠습니다.
묵리이장
20/09/11 18:52
수정 아이콘
우리보다 더 골수까지 빼먹는게 일본 같더군요.
겉으로 보기에만 예의범절의 나라..
20/09/11 23:25
수정 아이콘
일본의 디테일함은 분명 세계 최고입니다. 너무 디테일에 목매서 문제...
아이지스
20/09/11 19:28
수정 아이콘
교수님 이번 과목도 잘 부탁드립니다
20/09/11 23:23
수정 아이콘
매주 퀴즈본다는 거 제가 실라부스에 잘 적어 놨었죠? 조교샘들은 오늘 거 퀴즈 본거 채점해서 온라인 게시판에 공개하세요.
及時雨
20/09/11 19:37
수정 아이콘
압도적 감사를 보냅니다 선생님
20/09/11 23:22
수정 아이콘
코인을 넣으십시오.크크크
20/09/11 19:48
수정 아이콘
으음 너무 감사드립니다.
그런 의미에서 격리를 해야겠습니다? 흐흐
20/09/11 23:23
수정 아이콘
어차피 저는 코로나 전에도 연구실 골방에서 꾸준히 격리 생활을...쥬르륵....또르륵....
20/09/12 18:37
수정 아이콘
아앗 크크
그러면 만두만 드시겠.. 크크
20/09/12 19:18
수정 아이콘
그렇지 않아도 오늘 점심도 비비고...흑흑흑
아르비테즈
20/09/11 20:16
수정 아이콘
일소현명하니깐..... 이글을 보니깐... 어제 본 '박가네'라는 일본 생활 소개하는 유튜브에 나온 자판기 관련 프로그램이 생각나네요....

자판기 하나에 점점 다양한 기능을 집어넣어 자판기가 쇠퇴하지 않고 한가지에 뽕을 뽑는 일본 문화...... 정말 똑같네요...
담배상품권
20/09/11 20:22
수정 아이콘
그분들은 너무 국뽕외까를 하셔서 보기 거북해요.
20/09/11 20:31
수정 아이콘
조회수 땜에 어쩔 수 없겠지만; 저도 어느순간 거북해서 포기했습니다
그냥 일본이 궁금했을 뿐인데... 일본이 얼마나 이상한지에 대해서 너무 강조를 하셔서....
담배상품권
20/09/11 20:34
수정 아이콘
조회수 나오는것 보니 어쩔 수 없는건 압니다만 많이 거북하죠.
독수리의습격
20/09/11 20:46
수정 아이콘
전 박가네 영상 보면서 '도대체 옆에 일본인 와이프는 왜 앉혀놓는거지?'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20/09/11 23:22
수정 아이콘
그것도 거북한 포인트예요 ㅠ 자기 아내인데...
도연초
20/09/11 22:35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종종 마주치는 부류의 한국인이기는 한데, 정말 이해하기 힘들어요.
20/09/11 23:27
수정 아이콘
유튜버들은 적이든 팬이든, 일단 입소문나는 것이 수익의 핵심이니 일부러 더 그러는 것 같습니다. 그러려니 합니다.
새벽이
20/09/11 21:45
수정 아이콘
정말 잘 읽었습니다...재미있습니다...다음 편을 기대하겠습니다...
20/09/11 23:25
수정 아이콘
기대하셔도 좋습니다.크크크
이바라쿠
20/09/11 22:02
수정 아이콘
어우 중국편 이어서 일본편이군요 아껴둿다 내일 회사가서 읽어야지...
-안군-
20/09/11 22:34
수정 아이콘
아니 토요일에도 출근을 하시다니.. ㅠㅠ
착한 월도 인정합니다.
20/09/11 23:26
수정 아이콘
역시 동북아 하면 삼국지죠. 위-촉-오..아 이게 아니고...한-중-일 이죠.크크크
도연초
20/09/11 22:32
수정 아이콘
한일간의 산업 문화적인 분석은 언제나 흥미롭죠. 좋은 분석과 글 감사합니다.
20/09/11 23:26
수정 아이콘
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열혈나엘
20/09/11 22:59
수정 아이콘
잘보고 갑니다 다음편 기대합니다
20/09/11 23:25
수정 아이콘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20/09/11 23:18
수정 아이콘
본편 기대하면서 추천 누릅니다.
20/09/11 23: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시리즈가 좀 길어질 것 같은데, 최대한 간단하게 써 보겠습니다. 키보드가 후지니까 손가락이 아프네요.ㅠ.ㅠ.
20/09/11 23:3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대세에 지장 없는 사소한 사실관계만 말씀드리자면
SMTP나 IMAP이 일본만의 프로토콜은 아니고, 이메일 표준으로 지금까지도 쓰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메일을 주력으로 삼는 이동통신 서비스는 미국 유럽에도 있었습니다. 블베의 BES/BIS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지요. 다만 일본에선 MMS는 고사하고 SMS조차도 이통사간 호환이 잘 안 됐다고 하더라구요... 그게 더 문제라고 보는게 맞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흐흐
메모리스틱은 그냥 소니의 삽질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겁니다. 반면 일본이 성공적으로 표준화시킨 기술도 있긴 합니다. 예를 들어 CD도 소니가 필립스랑 같이 개발한 기술이고, SD카드도 샌디스크랑 도시바랑 파나소닉이 개발했습니다 (SD 협회의 두 창립 멤버가 도시바랑 파나소닉입니다)
그리고 LD가 레이저디스크 이야기인가요? 물론 일본 회사들이 레이저디스크 기기 제작과 보급에 적극적이긴 했습니다만, 레이저디스크는 미국에서 개발되었고 특허권을 MCA에서 가지고 있는데, MCA는 미국 회사입니다...
20/09/11 23:32
수정 아이콘
아. 디테일한 사실관계 확인 감사드립니다. 수정하겠습니다.
키비쳐
20/09/11 23:59
수정 아이콘
우리는 일본 반도체에 대해 너무 몰랐습니다. 정말 위대합니다, 선생!
20/09/12 00:00
수정 아이콘
일본은 우리의 훌륭한 반면교사이자 타산지석이 됩니다.
20/09/12 01:24
수정 아이콘
오우 꾸르잼
20/09/12 01:33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농심신라면
20/09/12 09:38
수정 아이콘
일본 회사에서 일하고 있어 일본문화를 다른 사람들보다는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글을 읽어보니 정말 정확하게 분석하신 것 같습니다. 피부로만 느껴온 것들이 글을 읽으니 머리속에서 정돈되는 것 같네요.
20/09/12 09:44
수정 아이콘
저도 가족 중에 한 명이 일본에 살고 있어서 남의 일은 아닙니다. 전해 듣는 이야기도 많고요. 한국과 일본은 공존하며 더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는데, 일본이 점점 쇠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결코 한국에 좋은 일만은 아닐 것이라 생각합니다. 일본이 좀 제대로 과거사 사과하고,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고, 한국과의 전향적인 미래 관계를 위해 더 적극적으로 노력하면 좋겠는데, 앞으로 그럴 가능성은 별로 안 보이네요. 그것은 한국도 일본에 대해서는 크게 다르지 않죠....
20/09/12 12:14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 읽겠습니다 감사감사!
20/09/12 13:43
수정 아이콘
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랜즈레미디
20/09/12 12:57
수정 아이콘
한 10년 전만 하더라도 기술직들 사이에 장인정신 하면 별로 나쁜 의미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장인정신 하면 여전히 좋은 의미이긴 한데 뭔가 답답하고 시대에 뒤떨어졌단 느낌 역시 같이 받고 있죠.

오버스펙을 요구하는 간부가 장인 정신 운운하면....

“장인정신 X까라 그래. 정밀 전자 부품을 손으로 한땀 한땀 쪼물딱 쪼물딱 정성을 들이면,,,,,, 전부 다 불량이지 크크크크.”

이런 수준의 뒷담화 거리가 되었다 할까요.

사실 요즘 부품들은 손으로 쪼물딱 쪼물딱 하는 순간 불량나긴 하죠.
20/09/12 13:44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숙련공의 경험이나 노하우가 보이지 않는 격차를 만들어내던 요소라면, 요즘엔 그런 것마저 얼마나 자동화했고, 시스템화했는지가 격차를 만들어내는 요소 같습니다. 인간이 개입할 수 있는 요소를 최소로 줄이려고 몸부림치는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기도씨
20/09/12 13:59
수정 아이콘
유튜브로 제작해도 좋을것 같은 시리즈 입니다.
20/09/12 14:0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피자조아
20/09/13 12:15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흥미롭고, 시야가 넓어지는 느낌입니다,
다음 편도 잘 읽어보겠습니다~
20/09/13 13:45
수정 아이콘
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편은 도배를 피해서 다음 페이지에 올라갈 때쯤 올리겠습니다.^^
묵리이장
20/09/21 08:52
수정 아이콘
이제야 읽기 시작했네요.

대학원 연구비 체계를 바꿔야 합니다.
일본은 대학원에 학생 인건비가 PD만 되는데... 한국은 인건비 비율이 너무 커요.
재료비 100%로 쓰게 바꿔야죠.
퀀텀리프
21/07/09 20:19
수정 아이콘
반도체라면 샘숭 회장님이 80년대에 "미래의 먹거리"로 반도체에 방점을 두고 어마무시한 투자를 한것 + 운이 작용한 것이죠.
그룹에서 모은 쌈짓돈을 10년이 넘는 적자 속에도 때려 박은 뚝심의 결과 죠.
재벌이란게 욕도 많이 먹지만 이런 거대한 흐름을 만들어내는 것도 재벌이죠.
70년대 국가 100억달러 수출에 흥분하던 시절을 생각해보면,
요즘 샘숭이 분기 이익(매출 아님)이 100억 달러를 넘겨도 주가가 꿈쩍도 안하는 판국이니 헛 웃음이 나오죠.
공돌이들의 피와 땀에 대해서도 감사를 해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17 친구의 친구의 죽음을 기억하며 [15] azrock8038 20/12/09 8038
3216 고스트 바둑왕. 사이와 토우야명인의 마지막 대국 [26] Love&Hate11080 20/12/05 11080
3215 [LOL] LCK에서의 에이징 커브 [140] 기세파24001 20/11/22 24001
3214 [LOL] 지표로 보는 LCK의 지배자들 [49] ELESIS17675 20/11/14 17675
3213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행 관련 FAQ 및 최신 정보 (2020.01.31. 1530) [377] 여왕의심복64857 20/01/27 64857
3212 두 번째 기회를 주는 방탄복 [19] 트린9614 20/12/12 9614
3211 어떻게 동독 축구는 몰락했는가 [9] Yureka7702 20/12/01 7702
3210 [콘솔] 양립의 미학 - <천수의 사쿠나 히메> 평론 및 감상 [35] RapidSilver7866 20/11/20 7866
3209 브라질리언 왁싱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들? [48] Brasileiro11127 20/11/24 11127
공지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6] 노틸러스 23/06/01 30074
3207 우리가 요즘 너무나도 쉽게 할 수 있는 몹쓸 상상들에 대하여 [39] Farce247905 20/11/15 247905
3206 나이 마흔, 준비되지 않은 이별을 대하는 자세 [54] 지니팅커벨여행219502 20/11/12 219502
3205 (스압주의)도서정가제가 없어지면 책 가격이 정말 내려갈까? [130] 아이슬란드직관러208836 20/11/10 208836
3204 1894년 서양인이 바라본 조선 [47] 이회영206117 20/11/09 206117
3203 영화 "그래비티"의 명장면 오해 풀기 [39] 가라한204015 20/11/06 204015
3202 주님, 정의로운 범죄자가 되는 걸 허락해 주세요. [58] 글곰52272 20/10/06 52272
3201 예방접종한 당일에 목욕해도 될까? [66] Timeless43379 20/10/06 43379
3200 학문을 업으로 삼는다는 것의 무게 [55] Finding Joe44063 20/09/23 44063
3199 사진.jpg [36] 차기백수43287 20/09/23 43287
3198 엔비디아의 ARM 인수가 갖는 의미 [131] cheme44704 20/09/21 44704
3197 이번 생은 처음이라(삶과 죽음, 악플 & 상처주는 말) [9] 세종대왕28321 20/09/20 28321
3196 마셔본 전통주 추천 14선(짤주의) [137] 치열하게38363 20/09/18 38363
3195 금성의 대기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을까? [71] cheme26518 20/09/16 265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