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06/12 09:05:58
Name 고구마아
Subject [질문] 장례식 질문입니다.
오늘 친구 할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연락받았습니다. 부모님이나 할머니나 한번도 뵌적 없지만 장례식장 가려고 하는데요.제가 성인이 되고 처음가는거라 질문 남깁니다.

1. 복장은 다크네이비 정장에 흰색 와이셔츠입고 넥타이 안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2. 조의금은 5만원 생각하고 내려고 하는데요. 조의금 봉투에 제 이름을 적고 내면  되는건가요?

3. 조의금내고 절하고 향 피우고 이런 절차의 순서를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5/06/12 09:17
수정 아이콘
1. 2 = 넵
3 = 향 피우시고 (끄실때 입으로 불지 마시고) 두번 절 하시고, 상주분과 맞절 한번 하시고
위로 말 등을 건네는데....딱히 할 얘기 없으시면 그냥 안 하셔도 됩니다. 상주가 와주셔서 고맙습니다..뭐 그런 얘기 할거에요
근데 상주가 친구분 아버님 되실테니 OO친구입니다 라는 등의 친구얘기 하시면 되겠네요

자리가 엄숙해서 많이들 어려워 하시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닥 절차등에 대해 개의치 않아 합니다
제일 중요한건 슬픈일을 함께하기 위해 와 준게 정말 큰거 거든요
아버님 돌아가셨을때 느낀건데....정말 와준게 고맙더군요..그 외의 어지간한건 눈에 안 들어옵니다.
고구마아
15/06/12 09:2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한가지 더 질문하자면 향 피우고 향을 어떻게 꺼야 하는건가요??
15/06/12 09:32
수정 아이콘
향을 들어서 촛불에 가져다대고, 불이 붙으면 살짝 흔들어 끈 후 향로에 꽂으면 됩니다.
그 후에 뒷걸음질로 물러나서 절 두 번 -> 상주들과 맞절 -> 간단한 인사 후 물러나면 됩니다.
CoMbI CoLa
15/06/12 09:40
수정 아이콘
3번은 모르시면 상주분들이 알려주십니다. 알면 좋지만 모른다고 솔직히 말하셔도 예의에 어긋나지 않아요.
파란코사슴
15/06/12 10:04
수정 아이콘
마음이 고맙기 때문에 형식적인 것에 조금 미숙해도 양해 될 것이니 편하게 다녀오세요.
1. 검정 정장에 검정 넥타이를 착용하시는 것이 정석입니다.
2. 조의금은 홀수로 한다고 하는데 통상은 5만원, 가까우면 10만원, 특별한 의미가 있으면 그보다 더 합니다. 돈을 곧바로 봉투에 넣지 않고 한지 등에 싸서 봉투 안에 넣는 것이 정석입니다, 그렇게 시판되는 봉투도 있지요. 봉투 뒷면에 세로로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이름 옆에 조금 작은 글씨로 소속도 함께 밝혀주시면 식구들이 조의금 관리하기가 수월합니다. 친구분 할머님이라고 하시니 '김철수 친구' 식으로 적으셔도 되고요. 봉투 날개 부분 안쪽에 금액을 적어서 주시는 분들도 있는데, 나중에 식구들이 봉투 하나하나 열어서 금액 확인 할 때 세어 보지 않아도 되서 일이 수월해집니다만, 예법(?)에 맞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조의금 관리 할 때 이런 봉투 있으면 센스있다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더불어, 봉투를 풀 등으로 붙이지는 않습니다.
3. 장례식장에 들어서면 입구에 조의금 받는 데스크가 있을 것입니다. 이 때 상주나 지인들과 인사를 나누는 것은 잠시 뒤로 하고 먼저 조의금을 내는 것이 예의라 배웠습니다. 조의금 봉투는 조심스럽게 조의금 받는 분께 내밀고, 방명록에 세로로 이름을 적습니다. 이후 신발을 벗고 고인을 모신 장소로 이동합니다. 손에 짐이 있다면 고인을 모신 장소로 가기 전 잠시 바닥에 내려둡니다. 손은 공손히 모읍니다. 가볍게 상주들과 눈을 맞춥니다. 이 때, 혹시 상주분들이 종교 등의 이유로 절을 받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적혀있는지 재빨리 살핍니다. 그런 특별한 메시지가 없으면 우선 가벼이 고인을 향해 묵념하는 듯한 제스처를 취하고, 꽃이나 향이 있으면 꽃을 헌화 하거나 향을 피웁니다. 꽃은 물에 꽂혀 있는 것을 빼서 단상(?)에 올려놓는 것입니다, 자칫 다른 사람이 헌화 한 것을 물에 꼽는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향은 초에 불을 붙여 입으로 불지 않고 불을 끈 후 화로에 꼽습니다. 윗 분이 말씀해 주신 것 처럼 살짝 휘휘 저어 불을 끄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꽃과 향이 둘 다 있으면 하나만 하면 됩니다. 이후 한발짝 물러나 절을 두번 합니다. 이후 가볍게 고인을 향해 목례를 하고 상주들이 앉아있는 방향으로 몸을 돌려 절을 한 차례 합니다. 이후 상주들과 가볍게 '조의를 표합니다' 등의 말을 나누는데, 친구분이 상주가 아니라 손자분이시니까, 'oo 친구입니다, 조의를 표합니다' 등으로 인사를 나누시면 됩니다. 이후 자리로 안내되실텐데 친구분과 시간을 좀 나누시다가 나오시면 됩니다. 손자분과 절친인 경우, 장례식장에 일손이 모자라거나 하면 돕는 경우도 있습니다.
3-1. 절을 받지 않는다는 문구가 있을 때는 고인에게 절을 하지 않는 것이지만 상주들과는 절하며 인사합니다. 고인을 향해 잠시 묵념을 하신 후, 몸을 돌려 상주들과 절을 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배워 온 정석을 알려드립니다, 대부분 이것을 기본으로 상황에 맞추어 변주하시면 됩니다.
실수를 하셔도 위로의 마음을 전하러 온 작성자님의 진심이 커버쳐 줄 것이니 너무 걱정 마세요.
귀가작은아이
15/06/12 10:06
수정 아이콘
나이가 조금 어린 분들은 절차를 잘 모르셔도, 조심스럽게 인사만 드리면 큰 실례는 아닙니다.
웬만하면 잘 모르는거 이해해 줘요. 일단 와준거 자체로 엄청 고맙기 때문에..
향 끌때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거랑, 절 두번 하는거, 맞절 하는것만 알아가세요.
그거 말고는 뭐 없는듯 ....
소녀시대
15/06/12 10:15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할머니상있어서 처음 배웠는데
남자기준 고인에게는 오른손 위로 상주에게는 왼손 위 절하시면 됩니다.
여자는 반대로 하면 되구요.
15/06/12 10:20
수정 아이콘
다른건 크게 어려운거 없는데 절은 영정앞에서 2번반 상주와 1번반입니다.

익숙치 않은 사람들이 제일 자주하면서도 큰 실수죠
고구마아
15/06/12 10:47
수정 아이콘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15/06/12 12:09
수정 아이콘
아직 학생이시면 조의금같은경우엔 친구들끼리 모아서 내거나 안내는경우도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91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878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123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4253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6099
180484 [질문] 디아블로4 마을 이동 시 검은 화면 웅즈1327 25/04/30 1327
180483 [질문] 낚시 장비(릴) 구입 관련 문의드립니다. [5] 선생1371 25/04/30 1371
180482 [질문] [디아2] 드림질딘 용병 관련 질문드립니다! [1] 일월마가1458 25/04/30 1458
180481 [질문] 컴알못 노트북 질문 드립니다. [7] Alcohol bear1801 25/04/30 1801
180480 [질문] 스페인 여행 일정 질문 드립니다. [2] Chrollo Lucilfer1855 25/04/30 1855
180479 [질문] PGR21 이용 시 하단에 메시지가 뜹니다. [1] Love.of.Tears.844 25/04/30 844
180478 [질문] 내일 (5/1 노동절) 서울 광화문 일대 교통 [4] EagleRare1017 25/04/30 1017
180477 [질문] 통신사간 데이터쉐어링 차이 [2] vi20nq941 25/04/30 941
180476 [질문] 아이패드 모델 선택 [21] 無欲則剛1501 25/04/30 1501
180475 [질문] 가열식 가습기 추천부탁드립니다. [20] 유니꽃2015 25/04/30 2015
180474 [질문] 헬스장에서 운동 딱 3개만 한다면 뭐가 좋을까요? [17] 슬래쉬2621 25/04/29 2621
180472 [질문] 고딩 딸 아이패드 에어 선물, 펜슬 & 키보드 커버 가성비 좋은 제품 추천 부탁드려요! [10] 똥꼬쪼으기2590 25/04/29 2590
180471 [질문] 롤 교차 대전 mmr 정상이신가요? [2] 너T야?2147 25/04/29 2147
180470 [질문] 셀프 법인 해산 청산 질문 BISANG1847 25/04/29 1847
180469 [질문] sk사태 통신사만 바꿔도 괜찮을까요? [9] 튤립닭발1923 25/04/29 1923
180468 [질문] 이런 기구를 찾습니다 [4] 늅늅이1401 25/04/29 1401
180467 [질문] FRP PE 재질에 알맞는 본드/프라이머/테이프 추천 부탁드립니다 DogSound-_-*511 25/04/29 511
180466 [질문] 아빠가 스미싱 문자를 받으신거 같아요. [8] 콩순이1229 25/04/29 12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