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9/03 14:09:54
Name 수리검
Subject [질문] 계단 오르기 운동의 적정량?
안녕하세요

몸 쓰는 거 싫어하고
운동이랑 아주 아주 안 친하고
본 투 비 약골인 수리검입니다

그 동안은 대충 살면 되지
뭐 열심히 운동씩이나 하고 사나 를 기조로 살아왔습니다만
이젠 정말 이렇게 살다가는 어느날 훅 요절할 것 같아서
뭐라도 운동을 해 볼까 하다가
(사실 생각은 몇 년 전부터 하고 있 ..)
계단 오르기를 하기로 했습니다

일단 사무실이 7층이고 옥상 휴게실이 20층 정도라
약 13층 정도를 올라가 봤는데 ..

죽을 거 같거든요? 진짜 숨은 턱턱 막히고
허벅지는 불타오르고 있는 느낌이에요
엘베 타고 내려와서 잠시 쉬니까 의외로 금방 정상화되긴 하는데 ..

좀 찾아보니 추천 운동 강도가 제각각이더라구요
뭐 하루 6층 정도부터 하루 30분 하루 한시간 ..
위에 죽을 것 같다고 한건 좀 과장이지만
장담컨데 이짓을 쉬지않고 30분 하면 제가 죽는다는 것에는
돈도 걸 수 있을 듯 합니다

하여간 궁금한 점은
저같은 운동치에게 적정한 계단오르기의 양은 어느 정도일까요?
다이어트/몸 만들기 등등 다 필요없고
그냥 비루한 몸뚱아리가 생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준
의 적정량이면 충분합니다

전문가 회원님 혹은 경험자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농심너구리
25/09/03 14:17
수정 아이콘
계단 오르기도 좋지만 일상에서 움직이는 습관을 많이 가져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지하철 역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안 탄다던지... 한 정거장 정도 걷는다던지..
느낌 상 체력이 좀 낮으신 것 같은데 이렇게라도 좀 시작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네요.
수리검
25/09/03 14:22
수정 아이콘
좋은 말씀이라고 생각하지만 ..

전 여름에는
집-엘베-지하주차장-자차-지하주차장-사무실-건물 내 식당 및 카페 -역순
으로 하루 1초도 실외 나가지 않기 를 생활화하고 있어서 쉽지 않네요 ㅠ

사실 제가 제일 많이 달고 사는 말이 귀찮아 입니다 ㅠ
원딜은안해요
25/09/03 14:24
수정 아이콘
역순때 계단이 있는곳에서 오르는곳만 시작해주셔도..
슬래쉬
25/09/03 14:20
수정 아이콘
"저같은 운동치에게" --> 이게 어느정도인지....
"장담컨데 이짓을 쉬지않고 30분 하면 제가 죽는다는 것에는 돈도 걸 수 있을 듯 합니다" --> 절대 안 죽는다에 자신있게 걸 수 있습니다

운동 안하시던 분이면 그냥 이정도면 충분하다 싶을때까지만 하세요.
대신 주3일이던 5일이던 매일이던, 하기로 본인과 약속했던 날짜 만큼만 3개월은 무슨일이 있어도 지켜서 해보세요
일단 강도보다 운동하는 습관을 들이는게 먼저입니다.
습관이 들면 그때 강도나 방법 고민하세요.
수리검
25/09/03 14:26
수정 아이콘
음 뭐랄까 정확히 말하면 운동치라기 보단 ..

딱히 몸쓰는 재주가 남들보다 떨어지진 않아요
특출나지도 않지만
육체노동 같은건 거의 해본 일 없고 몸은 좀 허약한 편이구요 (잔병 잦음)

말씀하신 그 '할 수 있는 만큼' 을 기준으로 삼다보면
의지 박약인지라 어느 순간부터 대강 타협하게 되더라구요
그래서 가급적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고 시행하기 위해 글을 올렸습니다
20060828
25/09/03 14:29
수정 아이콘
처음이시니 20층 2회 추천드립니다
제발존중좀
25/09/03 14:30
수정 아이콘
30분 계단오르기하셔도 절대 죽지 않습니다! 꾸준히 하시길 추천드리구요.
운동할때 힘들다? 죽을꺼같다? 이 느낌으로는 판단하지 마시고,

운동하고 나서 관절같은곳이 심하게 아프다, 근육통이 정말 정말 말도 안되게 선넘게, 일상생활이 불가할정도로 과도하게 온다. 이런 부분을 기준으로 판단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운동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셔서 30분 계단오르기가 정말 힘들게 느껴지겠지만,
일단 '30분 계단오르기가 가능한 몸상태다' 라고 생각되서, 이것보다 줄이는건 더 안좋을거같습니다!

그리고 이건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운동을 꾸준히 해온 사람도, 운동을 할때마다 '매번 죽을것 같다, 너무 힘들다, 허벅지가 터질것 같다!' 라는 생각을
항상 참으면서 해내고 있습니다. (다는 아니겠지만 저는 그래요)
지금 상태에서 심리적으로(물론 몸도) 힘들다는 이유로 운동강도를 줄이는 의지박약의 관점에 있어서도 좋은 선택지가 절대 안될 것 같습니다.
카케티르
25/09/03 14:33
수정 아이콘
계단 오르기 좋습니다. 전 주로 걷기로 운동하고 있는데....

아파트 사시면 아파트 계단 2회 올라가 보시고 식사시간때 맞추어서 사무실 옥상까지 올라가보는것도 우선은 좋을거 같네요

이전에 저도 지하 3층에서 26층까지 올라가본적 있습니다.
The Normal One
25/09/03 14:48
수정 아이콘
어차피 이런데서 수리검님에게 딱 맞는 운동량을 맞춰드릴 수 없을겁니다.
글에서 써주신 20층까지 올라가기도 상당히 훌륭해보여요.
유투브 보면 계단 오르기 운동 영상 많으니 자세 위주로 보시고, 지금 적어주신 정도의 운동을 꾸준히 가져가보세요.(하루 1번이라도)
그러다 무릎이 아프다거나 하는 시그널이 오면 자세나 운동량을 좀 줄이시고 꾸준히 하다보니 할만하다 싶으시면 두계단씩 올라가보시구요.
허벅지가 탈 거 같은 느낌은 좋아보이네요. 이미 잘 하고 계신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엉덩이 쪽에 자극이 오면 좀 더 좋을거 같아요.

그냥 어느 한 지점을 잡고 맞춰가야지 딱 맞는 무언가를 찾으시려고 하면 오히려 잘 안되실거에요. 지금 잘하고 계십니다.
유티엠비
25/09/03 15:01
수정 아이콘
제가 경험한 제 운동 적정량은
"그 다음날 하기 싫은 마음이 들지 않아야 한다" 입니다.
HA클러스터
25/09/03 15:15
수정 아이콘
계단오르기가 힘들면 그보다 허들이 더 낮은 러닝부터 시작하시는건 어떠신지요. 제경우 부상으로 오래 쉬다가 다시 사회생활을 시작하니 지하철타면서 지하에서 계단으로 지상으로 올라오는 것도 숨이 찬는데 스포츠짐 가입해서 트레드밀에서 한달쯤 달리고 나니 계단오르는데 숨이 좀 덜 차더군요.
계단이 죽을것 같이 힘드시면 스포츠짐이건 그냥 실외에서건 조깅좀 하다가 체력 좀 붙고나면 그 이후에 계단을 오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저는 날씨에 따라 나자신에게 운동안해도 되는 핑계를 주기가 싫어서 실내 스포츠짐을 다니고 있고 나름 만족스럽습니다.
25/09/03 15:25
수정 아이콘
처음엔 7층에서 15층으로 시작하시고, 몸이 적응되면 조금씩 높여 나가시죠. 20층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는 정도가 되면, 반복하는 횟수를 늘리시구요.
25/09/03 15:25
수정 아이콘
저도 운동 안하다 12층 한번 올라가고 일주일 고생했습니다.
그정도 체력이면 평지에서 달리기가 더 낫습니다.
25/09/03 15:29
수정 아이콘
원활한 대화가 쉽지 않을 정도(혹은 노래부르면서 운동하기 쉽지 않은 정도)로 하루 30-60분, 주 3회이상 하면서 강도를 늘리십시오.
정공법
25/09/03 15:30
수정 아이콘
층수보단 느리게 올라가더라도 시간으로 기준을 세우세요 처음엔 15분~ 일주일에 5분씩 30분정도되면 층수를 목표로하시구요
25/09/03 15:31
수정 아이콘
본인 체중고려하셔야.. 본문이나 댓글보니 가벼우신 편인것같은데..
가벼운사람은 (내려오는거는 엘베탄다고하면) 올라가는건 30분정도는 아무 상관없을것같네요..

것보단, 종목하나 잘 고르셔서 운동을 배워보시는건 어떨까요?
거기서 본인 취향에 맞아서 재미들리고, 다른사람들하고 같이 운동하보면
운동이 게임보다 재미나서 억지로 시키지않아도 운동을 하게될 수도 있습니다.
This-Plus
25/09/03 16:30
수정 아이콘
가정용 천국의 계단 구매는 어떨까요
지구 최후의 밤
25/09/03 16:37
수정 아이콘
반복할수록 몸에서 받아들여서 더 나아지실 겁니다.
그런고로 죽을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너무 힘들다 싶으면 도착층을 좀 낮추시는 걸로 타협하시고 이후
도착층 업->출발층 다운->반복횟수 추가 순으로 늘리시면 될 것 같네요.
아케르나르
25/09/03 16:43
수정 아이콘
처음이시면 계단오르기보다 걷기를 먼저 하세요. 잘못하면 무릎나갑니다.
다크드래곤
25/09/03 16:50
수정 아이콘
사실 운동은 처음부터 최대 수행강도를 찾아서 거기까지 내가 하는 것보다, 꾸준히 정해진 시간에 운동을 하겠다 생각하는게 훨씬 좋습니다
그리고 습관화가 된 이후에 강도를 높히시는걸 추천합니다. 저는 적어도 1~2달은 강도는 신경쓰지않고 습관화를 하겠다는 마인드로 운동을 지속하신 후에 강도를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때가 되고나면 자연스럽게 자신의 한계를 알 수 밖에 없습니다
바다코끼리
25/09/03 16:57
수정 아이콘
하다보면 늘어요. 1층부터 7층까지 2~3일 해보시면 그 다음 7층에서 20층도 할만해지고, 일주일정도 지나면 1층부터 20층까지도 할만해지고, 일주일정도 더 하면 1층부터 20층까지 2~3회도 가능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지속적으로 하다보니 지하1층에서 20층까지 오르는데 5~6분 정도 걸리고, 3회 반복 정도는 할만 하더라구요. 자세에는 좋지 않지만 지겨우면 스마트폰도 좀 보시고요.
엘브로
25/09/03 16:58
수정 아이콘
처음에는 약하게 시작하시고
점점 강도를 높이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5분?
그 다음에 점점 시간을 늘려 몇회 몇층으로 하시면 되죠
네오크로우
25/09/03 17:23
수정 아이콘
타인이 딱 어떻게 정해주긴 어렵고, 오르시다가 '힘들다' 이 정도는 그대로 진행 '헉헉 힘들다' 싶으시면 엘리베이터 타고 내리시고
좀 쉬고 물 좀 마시고 다시 진행, 이런 식으로 단계별로 스스로 하시는 게 제일 낫지 않나 싶네요.

매일 하겠다는 생각 보단 일주일에 세 번 정도 근육통 심하게 오지 않는 선에서 해보시면 조금씩 느실 겁니다.
안 늘면 또 어떻습니까, 이만큼 했다는 게 중요하죠.
데스크탑
25/09/03 17:38
수정 아이콘
유산소 운동이니 적정심박수에서 개인 능력에 따라 20~40분 정도 하시면 적당하죠.
무릎조심하세요. 은근 부담이 갑니다.
25/09/03 18:37
수정 아이콘
어차피 내려가는 건 엘베로 하시는게 나으니 그 때 쉬면서 저절로 인터벌 운동 효과가 나옵니다 30분 해도 안 죽지만 그냥 조금씩 몸이 허락하는 선에서 점진적으로 늘려가세요 10분만 해도 안 하는 것 보다 훨씬 이득이 많으니까요
짭뇨띠
25/09/03 20:43
수정 아이콘
내 현 체력과 피로도 죽을고비의 80퍼 수준으로 꾸준히 체력부터 다지기 추천합니다
너무 힘들면 그거대로 스트레스 잖아요
건강 좋아지시길 빕니다
Far Niente
25/09/03 23:14
수정 아이콘
한계까지 몰아붙여도 안 죽습니다. 토하거나 그러면 그때 말씀하셔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2526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5547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5478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8582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0683
181582 [질문] 컴퓨터 견적 부탁 드립니다. 파다완307 25/09/04 307
181581 [질문] 안면 인식 시스템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소녀시대716 25/09/04 716
181580 [질문] 라텍스 매트리스 좋은 제품 알고싶습니다. [1] 짭뇨띠782 25/09/03 782
181579 [질문] 제가 맞은 주사가 스테로이드 주사일까요? [13] lefteye1992 25/09/03 1992
181578 [질문] 이번에 출시되는 실크송 게임 문의드립니다 [8] 공놀이가뭐라고1537 25/09/03 1537
181577 [질문] 계단 오르기 운동의 적정량? [27] 수리검2491 25/09/03 2491
181576 [질문] 러닝 초보인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13] 잉여잉여열매1919 25/09/03 1919
181575 [질문] 카톡 사진 보내기 앨범이랑 실제 앨범이랑 다른데요 [2] 정유미1623 25/09/03 1623
181574 [질문] 후쿠오카 짧은 여행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달달한고양이1397 25/09/03 1397
181573 [삭제예정] 썸녀?랑 카톡 하다가 멈췄는데요 [42] 포이리에4486 25/09/02 4486
181572 [질문] 문콕 방지 가드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김리프2276 25/09/02 2276
181571 [질문] 모니터 질문입니다 (27인치 듀얼, 혹은 34인치 울트라와이드 중 택일) [7] 이명준2478 25/09/02 2478
181570 [질문] 갤럭시탭 S10FE 키보드케이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0000s2081 25/09/02 2081
181569 [질문] 부산아이파크 원정석 축구예매 해보신분 계신가요? [8] 희원토끼2092 25/09/02 2092
181568 [질문] 핸드폰이랑 태블릿의 컴퓨터 유선 연결이 자꾸 끊어집니다 [6] EnergyFlow1764 25/09/02 1764
181567 [질문] 두 돌 아들 체력 방전 시킬 키즈카페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아롬1602 25/09/02 1602
181566 [질문] 남자4명이서 도쿄 먹방여행 하려는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3] 스웨트1707 25/09/02 1707
181565 [질문] 주차된 차를 긁었을 때 보험 처리 방법 [8] 허느2766 25/09/01 27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