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7/11 11:59:34
Name 사계
Subject [질문] 공부 잘 하는 법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도 한 때는 공부를 좀 잘했던 것 같은데요..
요즘은 머리가 너무 나빠진 것 같고 머리속에 들어오는 내용이 별로 없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ADHD가 있었고 비염 편두통 등이 있었으니 신체적으로 더 나빠진 것은 없을 것 같은데 그냥 나이를 먹어서 머리가 많이 굳은 것 같고요.

슬슬 자격증 이거저거 따보면서 공부를 본격적으로 해보고자 하는데 머리를 환기 시키면서 다른 분들은 공부를 어떻게 하셨는지 혹은 하시는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학창 시절에는 그냥 단순하게 틀린 문제 오답노트 쓰고 영단어 버스안에서 외우고 그러기도 했던것 같은데 너무 까마득한 옛날이어서 제가 그렇게 했었다는 체감이 별로 안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OcularImplants
25/07/11 12:11
수정 아이콘
잠을 좀 많이 자서 책 볼때 졸린거 방지
공부 1시간 정도마다 공부한 내용 누군가에게 설명하듯 정리하면서 복습
환경을 스마트폰등 다른 잡것들로부터 없어지게 만들기 정도 떠오르네요
25/07/11 12:28
수정 아이콘
저도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대학원을 진학해 정말 오랜만에 공부를 하고있는데 도저히 집중도 안되고 미루고만 있습니다. 먼저 시작함 후배가 김연아 인터뷰 사례를 들면서 왜 안되는지 고민하고 분석할 시간애 그냥 하라고 하던데 크게 공감했습니다. 그냥 하는 방법이 정도인듯합니다.
추가로 예전에 교육관련업체에서 일하면서 소위 고시의 달인들을 인터뷰 많이 했었는데.. 자격증, 고시 등과 같이 방대하지만 정해진 범위안에서 나오는 시험은 ‘회독‘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더라고요. 사법고시, 행정고시 합격한 한 강사분은 10회독을 하셨다고 했습니다. 7회독 이후에는 책내용을 다 지워도 내용이 보이더라는..
25/07/11 12:37
수정 아이콘
나이가 아니라 오래쉬어서 그런거고
머리 굳은 걸 인정하고 초심으로 돌아가서 박치기공룡마냥 열심히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효율은 궤도에 오르고 나서 챙겨도 됩니다.
랜슬롯
25/07/11 12:47
수정 아이콘
저도 똑똑한 사람은 아니라서 뭐라 조언하기는 어려운데

윗분 말씀대로 일단 충분히 잠자는거 (엄청 중요하다고 생각, 특히 꾸준함이 필요한 공부라면. 물론 시험 남겨두고 단기로 적게잘순있다고 생각)
다른 사람한테 설명하기
여기에 회독도 공감합니다. 그냥 계속 많이 읽는게 정말 단순하지만 정말 효과적인 방법이더군요.
25/07/11 13:32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는 장소를 바꿔가며 공부합니다.. 도저히 같은 자리에서 하루종일 못하겠더라구요.. 카페, 스터디카페, 집 바꿔가면서 공부합니다.
25/07/11 13:49
수정 아이콘
저는 큰그림 그리는게 제일 중요했던거 같습니다. 목차를 머리속으로 계속 생각하면서 공부했었어요.
25/07/11 13:54
수정 아이콘
공부에는 정말 지름길이 없습니다.. 그냥 꾸준히, 많이, 여러 번 하는 수밖에요.
그래서 모든 시험은 '회독'이 중요한 거고요. 적어도 공부만큼은 성실한 거 이기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허허
다른 팁이라면.. 본인이 집중력이 높은 시간대를 찾아서 공부하시는 건 어떨까요?
예를 들면 전 아침에 또랑또랑한 스타일이라 어려운 공부, 힘든 일은 오전에 해치웁니다.
카오루
25/07/11 14:18
수정 아이콘
단순 암기분야에 대해서만
제가 잘 됐던 방법만 말씀드리자면

1.엉덩히 힘을 기르는 방법
근육을 기르는것과 똑같다고 봅니다 갑자기 100kg를 들 수 없는것처럼 하루씩 하루씩 성실히 조금씩 늘려가면서 해야합니다.
중간에 그만두거나 쉬면 힘이빠지는것도 근육빠지는것과 같습니다. 여기에는 천성이 개입할 여지가 가장 적다고 봅니다.
근육을 기르듯이 앉아서 공부하는 근육을 조금씩 늘리면 좋습니다.

2.공부말고는 아무것도 못하는 환경으로 바꾸기
게임, 만화책 다 마찬가지입니다. 목표가 있으면 목표 이룰때까지는 관련된 모든걸 다지웁니다. 그것도 다시 돌아갈 수있는 방법이 아닙니다.
비가역적으로 삭제해야합니다. 게임이 있으면 게임 계정을 다삭제하고, 취미가 있으면 취미 물건을 다 처분합니다.
그래서 어느날 너무 심심한데 할게 공부밖에 없는 상황과 환경으로 만듭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공부할때는 집에 있으면 안됩니다.
눕거나 tv앞으로 갈 가능성이 너무 높아서.. 독서실이나 하다못해 카페로라도 가야합니다.

3.짜투리시간을 최대한 활용
자그마한 단어장에 특별히 안외워지는것들을 모아두고 이동시간 화장실 가는시간 등등에 틈틈이 더봅니다. 그렇게 1~2주가 지나면 가장 안외워
지는것들은 어느새 가장 잘외운게 됩니다. 그럼 계는 찢어버리고 그다음으로 안외워지는 놈 페이지로 넘어가고 하면 어느새 가장 안외워지는 놈들이
가장 잘외운것들로 바뀌게 됩니다.

몇가지가 더있는데 넘 길어지니..그냥 저한테 잘맞는 암기방법이었습니다. 그때는 죽어도 시험에 통과해야하는 절박한 상황이었어서
잘 됐었을 수도 있네요.
이민들레
25/07/11 15:26
수정 아이콘
어떤공부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으나 이해가 필요한 공부면 보통 교과서급의 메인서적류를 천천히 정독하고. 암기면 중요한 내용 따로 간결하게 노트정리하고. 풀이가 중요한 공부면 문제집이나 기출같은거 디립다 풀어주면 될것 같습니다.
외국어의 달인
25/07/11 16:25
수정 아이콘
자격증이라면 기출문제보고 해설(정답말고 해설입니다!)보면서 눈에 익히고 세번정도만 돌리면 감이 오더군요.
25/07/11 16:31
수정 아이콘
일단 머리가 나빠졌다는 생각부터 안하는게 좋습니다.
나이 들었어도 막상 다시 공부해보니까 잘만 굴러가더라고요
미나리돌돌
+ 25/07/11 16:49
수정 아이콘
근성이 없으면 근성이 길러질 때까지 합니다.
머리가 부족하면 머리가 트일 때까지 합니다.

근성과 체력이 답입니다.
윤니에스타
+ 25/07/11 17:02
수정 아이콘
위에 카오루님이 다 얘기해주신 것 같은데.. 혹시 쉽게 외로워하시나요? 공부는 무식하고 끈질기게 하는 거라 생각합니다. 그냥 해야 할 공부량을 근성과 끈기로 버텨내고 해내는 거죠. 그거에 방해되는 것들은 죄다 끊으셔야 합니다. 만약 외로움을 많이 타서 가만히 혼자 있질 못하는 성격이라면 공부랑 안 맞는 거예요. ADHD를 고백하셨는데 잘 극복하셨으면.
슬래쉬
+ 25/07/11 17:11
수정 아이콘
지능은 어떻게 바꿀 수 있는게 아니니
결국 오래 앉아 있는 사람이 이긴다고 생각합니다...
우상향
+ 25/07/11 17:34
수정 아이콘
나이들면 기억력은 떨어지지만 이해력은 높아진다고 합니다. 기계도 오래 안 쓰다가 기름칠 좀 하고 돌리면 금방 예전처럼 잘 돌아갑니다. 뇌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이들어서 공부할 때는 어릴 때처럼 학교에 강제로 하는 게 아니라서 동기부여가 전부입니다. 확고한 목표의식에 달렸습니다. 화이팅!
서리버
+ 25/07/11 18:16
수정 아이콘
공부를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다른 법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0919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3920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62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731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636
181107 [질문] 공부 잘 하는 법 있을까요? [16] 사계1505 25/07/11 1505
181106 [질문] 영화 슈퍼맨 9살 아이와 봐도 될까요? [4] 황신강림1067 25/07/11 1067
181105 [질문] 서천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2] 이리세988 25/07/11 988
181104 [질문] (야구) 두 선수중 어떤 선수를 더 선호하실까요? [45] 퀴즈노스2857 25/07/11 2857
181103 [질문] 읽었던 소설을 찾습니다. [6] 스덕선생2203 25/07/10 2203
181102 [질문] 오래된 아이패드는 앱을 못쓰나요?? [9] 제니2451 25/07/10 2451
181101 [질문] 일본 렌터카 차종 질문드립니다. [18] 쉬군2118 25/07/10 2118
181100 [질문] 단기간 목돈 굴릴 방법 [14] 뉴턴제2법칙2583 25/07/10 2583
181098 [질문] 폴드7 민트는 1TB가 안나오는거겠죠? [9] 하나1670 25/07/10 1670
181097 [질문] 비슷한 신발 추천 좀 부탁 드립니다. [2] 괴도키드1240 25/07/10 1240
181096 [질문] 어린이 자전거 보조바퀴 장착 관련 질문입니다. [4] Nal_rA[UoS]712 25/07/10 712
181095 [질문] 중국산 스마트링 써보신분 계실까요? [5] 시무룩1280 25/07/10 1280
181094 [질문] 이사 생각중에 질문드립니다. [11] 싸구려신사2621 25/07/09 2621
181093 [질문] 모니터 연결 질문드립니다 [4] 월터화이트1907 25/07/09 1907
181092 [삭제예정] [투자] 여유돈 어떻게 굴릴까요 [37] 모아4045 25/07/09 4045
181091 [질문] 혹시 피싱 메일인가요?ㅠㅠㅠ [12] 싱싱싱싱2462 25/07/09 2462
181090 [질문] 주말에 여는 자동차 정비소 서울쪽 추천 부탁드립니다 [2] WarJoy1841 25/07/09 1841
181089 [질문] 펠티어 제습기 쓸만할까요? [1] No.101335 25/07/09 13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