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9 20:52
저는 반대로 화폐의 가치는 계속 떨어지기때문에
최대한 대출 받아서 (미래의 돈을 미리 땡겨와서) 투자를 하는게 일반인이 돈 벌 수 있는 가장 확률 높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25/07/09 21:01
A : 뭐? 원금을 보장해주는 상품이 있다고?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를!
B : 정말이야! 원금도 보장해주고 무려 [이자] 라는 걸 줘! A : 진짜? 그게 뭔데?? B : [정기예금] A : 우와 쩐다. 당장 만들어야지
25/07/09 22:12
개인적으로는 1억 기준으로 2000만원은 비트 코인 사십쇼. 미국에서 지니어스 액트를 통해서 스테이블 코인을 통한 신규 채권 수요 확보에 목숨걸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 수요 늘리려면 코인에 대한 규제 더욱 완화해서 어떻게 해서든 코인 시장을 더 키워서 제도권에 가져와야합니다. 그런 과정에서 최고 수혜주는 당연히 비트코인이고 이제 채굴량도 얼마 남지 않았고 개인이 가진 물량을 기관에서 어떻게 해서든 가져가려고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한번 공부해보십쇼 다음 주도주는 스테이블 코인과의 연계성에서 시작됩니다.
25/07/10 09:34
중도상환수수료 있어도 갚는 게 더 이득이긴 합니다. 원금이 줄어 상환 금액이 줄어들긴 하니까요.
수학적으로 만약 장기적으로 상환 계획이 없으면 갚는게 썩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저도 똑같은 고민을 이 게시판에 올렸던 적이 있는데, 고민하다 며칠 뒤 코인이 떡락 해서 저점 매수를 잘 해서 지금 수익을 좀 보고 있긴 합니다.
25/07/10 09:42
(수정됨) 갚아 버리기 보다는 그 돈으로 뭐라도 하시는게 일반적으로는 나을겁니다
지금 뭐가 최고점이라서 못산다 이런 개념 보다는 최고점이라 들어가기 부담스러우면 다 넣는게 아니라 일부 넣되 다른 자산 비중을 올려야겠다 이런 마인드로 접근해서 분산투자하고 한방에 다사지 말고 분할매수한다 이런 마인드를 추천드립니다. 미장도 엄청 올라있지만 사실 그거보다 국장이 최근 어마어마하게 올라있어서 국장을 추천은 못하겠지만 이재명이 대놓고 리딩하는 코스피가 5000찍을거다 이런 뷰도 있으니 뭐 본인 판단하셔야죠 그래도 전 국장에서 하두 당한게 많아서 여전히 국장은 안보고 있습니다 그래도 주식에 몰빵하는건 아닌거 같구요 환율이 좀 빠져있으니 달러표시 자산을 좀 사두는 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저는 에센피(splg) 나스닥(qqqm) 금(krx 금) 미 단기 국채 현물(토스증권이나 메리츠증권에서 요즘 소액도 가능합니다. 내년 5월 만기였나..하면 연 5퍼주더라고요) 장기채 etf(tlt) 나눠서 분산 투자중입니다. 저는 3: 3: 2: 1: 1 정도 비중에서 왔다갔다 하는데요. tlt는 장기우상향 보기는 어렵긴 하지만 워낙에 미국장기채가 지금 똥값이 되었다 보니 보니 어느정도 들고갈만하지 않나 싶습니다. tlt 배당도 연 4퍼정도로 월배당이 나오구요. 전 단기채를 현물로 샀지만 위에 말씀하신 것 처럼 sgov도 좋습니다. 대략 연 4~5퍼 정도를 매월 배당받는 현금성 자산이라서 환리스크만 감당하면 예금보다 낫습니다. sgov가 골때리는 건 대신 환율이 올르면 내 자산의 가치가 커지니깐 좋으면서도 오른만큼 양도세를 냅니다. 반대로 내려가면 평가가치는 내려가지만 팔때 환차손만큼 양도세가 빠지고요. 일장일단이 있어요. 뭐 환율이 오르면 좋은만큼 팔때 환차익에 대해 양도세좀 내고 반대로 환율이 내려가더라도 양도세 절감이 되니 헷지가 좀 된다는 개념이면 sgov도 가져가는것도 괜찮습니다. 바로 다 저렇게 사기엔 환리스크도 크니깐 저라면 여유돈 원화 5천정도 두고 시간두고 1억 5천을 나누어서 사고 5천은 손해 좀 보더라도 저축은행 입출금계좌에 파킹해두다가 혹시 환율이 더 떨어질때를 대비해서 환율이 더 떨어지거나 위 자산들 값이 떨어지면 나누어서 환전 후 위 자산들을 살거 같습니다.
25/07/10 09:50
(수정됨) 이번 정권동안은 코스피 지수에 투자하는 것도 괜찮을거라고 생각하는데 이미 너무 많이 올라 조정이 부담스러운 부분도 있고 국장에 데이신(...) 분들이 워낙 많다보니 함부로 권하기 어렵긴 하네요.
25/07/10 10:29
지수 초고점에 투자해서 이자만 내다가 말라죽을 수 있습니다.
지금 같은 장에 투자해서 초반에 벌다가 코로나때처럼 쭈욱 빠지면 말라죽습니다...
+ 25/07/10 14:35
중도상환수수료가 이자보다 무조건 쌉니다. 확실히 계획한 투자처가 없다면 빚이라도 줄여 놓으시는게.. 마음 편하십니다.
래머리지 끌어다다 투자라는건 정말 몇년에 한번 있는 폭락장에서나 그나마 유효한 전략인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