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믄안돼
12/12/06 01:17
지방선거는 제가 기억하기로 항상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부동층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jagddoga
12/12/06 01:22
전혀 다른 결과는 총선때도 마찬가지였죠.
민주당 압승 한다고 하고, 출구조사조차도 과반이 예상 되었지만 현실은...
Alan_Baxter
12/12/06 01:23
2010지방선거와 서울시장,강원도지사 재보궐선거를 통해 나타난 여론조사와 실제결과의 차이는 왜 발생했을까?

밑에 설명드렸지만 전자는 "KT 전화부 등재" 기준으로 한 "일반전화"조사였기 때문에 최대 20%가 넘는 차이가 보였고
후자 같은 경우에는 "RDD" 기준으로 한 "일반조사"였기 때문에 다소 차이는 줄어들었으나 정확치 못한 면이 있죠.
지금은 휴대전화와 일반전화를 같이 사용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기 때문에 제 생각엔 실제 결과와 어느정도
맞다고 봅니다. (총선 일주일 전 리얼미터 조사도 실제 결과와 맞았고요)

휴대전화 비율을 너무 많이 반영하면, 50대 이상층의 표집이 왜곡되는 문제가 있고, 일반전화 비율을 너무 많이 반영하면
20대~30대층의 표집이 왜곡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AfnaiD
12/12/06 01:25
총선 출구조사때는 1 방송사는 동률 예상을, 2 방송사는 새누리당 약간 우위정도로 나왔습니다.
Rein_11
12/12/06 01:26
전체적으로 저 역시 추세는 맞다고 보는데..오차범위내에 있는 지지율 차이는 어떻게 보시나요?
오늘같이 문후보가 3-5%정도 밀리는 경우 분명히 수치상으로는 지나 오차범위 안에는 들어갑니다.
이게 실제 투표시에도 그 경향이 그대로 나올지 궁금하네요..
Zel
12/12/06 01:28
동의합니다 100% 휴대전화로 하는 것이 더 왜곡이 심할꺼에요. 애시당초 연령대별 투표율 자체가 유의하게 다른데..
Alan_Baxter
12/12/06 01:30
통계적으로는 오차범위에 들어간다면 어느 후보가 이겼는지는 알 수 없지만, 추세상이나 많은 여론조사를 종합해보았을 때 그게 유지되거나 오히려 넓어진다면 그건 '경합우세'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AfnaiD
12/12/06 01:31
총선당시 리얼미터를 제외한 여론조사 결과들은 민주당의(통진당 빼고도) 근소우위를 나타냈군요. 리얼미터가 제일 정확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하고있을테니 현재도 리얼미터가 가장 정확하지 않을지?
Rein_11
12/12/06 01:36
그렇게 따지면 리얼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여론조사는 모두 믿을 수 없는건가요?
저는 다양한 여론 조사의 평균 정도를 보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Zel
12/12/06 01:37
한 4% 차이난다고 하면 p-value로는 한 0.1 정도, 95% 신뢰구간의 안이지만, 신뢰구간을 90%로 자르면 유의하고...독립시행해서 여러번 같은 결과라면 그만큼 더 통계적 의의가 있다.. 이런 뜻으로 생각하면 될까요..
단빵~♡
12/12/06 01:37
흠 총선이전은 확실히 문제가 있었는데 총선때부터의 여론조사는 믿어도 되지 않나 싶습니다. 총선은 여론조사랑 크게 다르지 않게 나왔구요
AfnaiD
12/12/06 01:43
왜 이런 반응이 나오죠? 가장 정확하다는게 다른건 믿을게 안되니 보지도 말라 이런 소리인가요? 쉽게 말해서 어떤 여론조사가 제일 정확할지 돈을 걸라면 전 리얼미터에 걸겠다는 소리입니다. 애초에 지금 시점에서 진짜 표심을 알 방법이 없으니 여론조사는 추세를 주로 봐야죠.
Rein_11
12/12/06 01:46
제 말은 다른 기관 역시도 신뢰성이 있을거 같다는 의미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평균을 보는 것이 나을거 같다는 의미입니다.
AfnaiD님 혹시 불쾌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스틸야드
12/12/06 01:49
틀린건 아니지만 크게 맹신해서도 안된다고 봅니다. 물론 이제는 방식이 개선되서 얼추 들어맞긴 하지만 그래도 여론조사와 실제 투표는 다른거니까요. 지금 상황이 썩 좋지 않은건 맞지만 말입니다.-_-
문재인
12/12/06 02:41
전화 응답으로 앉아서 편하게 지지하는 것과 실제 투표를 하러 나가는 것엔 차이가 있겠죠. 전화 조사로는 추려내기 힘든 요소라서 막상 뚜껑을 열었을때 조사치와 실제값이 얼마나 차이가 날지, 총선과 대선은 얼마나 다를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투표일에 전국적인 폭설이 내린다면, 혹은 특정 지역에 폭설이 내리는 시나리오가 펼쳐진다면 그 영향력도 무시 못하겠네요.
눈이 벌써 이렇게 많이 내리다보니 기상여건에 따른 분석도 있음 좋겠습니다.
타테시
12/12/06 02:43
일단 PK의 여당결집표, 강원, 충북의 전략실패에 따른 반발표는 여론조사가 잡아내지 못했습니다만
마찬가지로 수도권에서의 야당결집표 역시 잡아내지 못했습니다.
다만 수도권 결과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투표율입니다.
투표율이 어떻게 나왔느냐에 따라 결과가 판이하게 다르게 나왔습니다.
전국 투표율이 54.3%가 나왔습니다.
서울 투표율이 55.5%가 나왔습니다. 결과는 32:16으로 더블스코어로 야권의 압승이었습니다.
경기 투표율이 52.6%가 나왔습니다. 결과는 31:21로 새누리당이 어느 정도 선전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인천 투표율이 51.4%가 나왔습니다. 결과는 6:6 동률이었습니다.
이런 점을 본다면 어느 정도 투표율도 영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인천은 워냑 차이가 큰지라 솔직히 55% 이상 나왔어도 변하는 구도는 없었다고 봅니다.
하지만 경기 같은 경우에는 200표차, 2000표차 등 아슬아슬하게 밀린 지역이 있습니다. 이런 지역의 결과는 바뀌었을 수도 있죠.
그건 부산으로 가도 마찬가지입니다. 부산도 54.6%의 투표율로 전국평균은 넘었지만 마지노선 55%는 넘지 못했습니다.
역시 2000~3000표 차이 나는 지역의 당락을 바꿀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
충북과 충남, 대전도 투표율이 낮았습니다. 그래서 각 지역별로 1군데 정도씩의 당락은 바꿀 수 있었다고 봅니다.
경남은 투표율은 높았지만 공천 실패로 망가진 지역이구요.
만약 경남의 공천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몇몇 지역의 투표율이 좀 더 높았다면 결과는 달라졌다고 봅니다.
결국 투표율을 올리는 것이 야권에게는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AfnaiD
12/12/06 02:59
네 저도 까칠해서 죄송합니다.
Rein_11
12/12/06 03:50
아니에요 제가 너무 경솔하게 답글을 달았습니다.
다시한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
Rein_11
12/12/06 03:53
투표율의 문제라면 확실히 이정희의 깽판토론회가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정치에 완전 무관심한 그래서 투표도 안했다는 20대 초반의 후배들이 예능토론이라면서 토론회 다시 보기를 하는것을 보니
재밌기도 하고 투표율에도 좀 영향이 있겠거니 하는 느낌도 들더군요..

다음 토론회가 토론회가 불타올라 전국민의 새로운 백분토론이 되길 희망합니다.
물론 지난번과 같은 깽판 토론회는 적절히 지양되길 바랍니다.
Lv.7 벌레
12/12/06 04:15
여론조사의 결과랑 실제 투표의 결과에서 가장 큰 차이는 어떤 사람들이 얼마나 의견을 표출하는가에서 오는 것 같은데요.
즉, 실제 투표에서 지역별 연령별 투표인구비율이 여론조사의 모집단에도 그대로 반영될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여론조사에 응답한 인구의 비율대로 투표하러 가는 건 아니니까요.
여론조사에서 이를 반영하거나 보정한다고 해도 실제와는 큰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친절한 메딕씨
12/12/06 04:55
다른거 다 빼고...
응답률 자체가 15% 내외 밖에 안되기 때문에 믿을 수가 없죠...

1,000명을 대상으로 했다면 150명이 응답을 했다는 건데요.
유,무선 혼합 조사라 하더라도 보통 유선 50%~80%, 무선 20%~50% 사이로 비율을 정하는데

7:3을 가정했을때 유선전화 700명 중 120명 정도가 응답을 했고, 무선전화는 300명 중 30명 정도를 했다고 보면
솔직히 지금의 지지도만 가지고도 충분히 문재인 후보가 압승하리라 예상 합니다.
응답하지 않은 850명 중 대부분은 20~40대의 연쳥층이라 보자면 말이죠.


응답률 15% 내외의 조사가 무슨 신빙성이 있을까요????
라라 안티포바
12/12/06 05:11
여론조사의 방법이나 정치적 스탠스에 따른 음모론을 떠나
지금처럼 지지율격차가 그리 크지 않은 상황이면 그 어떤 여론조사던 결론을 신뢰하기는 어렵습니다. 변수가 너무 많아서요.
그러나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조금이라도 좋은 국면임은 확실합니다.
개미먹이
12/12/06 08:37
천명인데 응답율이 십오프로 정도면 만오천명 조사했다는 겁니다.

물론 응답률이 낮을수록 신빙성이 떨어지는 것은 맞습니다.
Fim
12/12/06 08:49
물론 여론조사라는게 정확할수도 없고, 정확하기도 힘듭니다. (문후보를 지지하는 개인적인 입장에서) 정확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도 있고요.

하지만 여러곳의 조사기관에서 , 여러 회에 걸친 여론조사를 했음에도 대다수가 박후보의 우세를 점치고 있습니다.
10번중 7~8번은 박후보의 우세를 점치는데요.

확실히 문후보 입장에서 암울한건 맞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카트리나에서 테프전, 롱기누스에서 저테전 하는 만큼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시네라스
12/12/06 09:15
마 패러독스 저프전 하는것 만큼이 아니라는것에 위안을 느끼고 있습니다...
설탕가루인형
12/12/06 10:08
하지만 선거 외에 여론을 수치화 할 수 있는 결과는 여론조사밖에 없습니다.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 여론조사기관도 나름 여러가지 노력을 하는 중인만큼 현재로써는 응답률 15%의 조사가 가장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온라인 여론에 비하면 몇배는 더 믿을만합니다. -_-
Alan_Baxter
12/12/06 10:21
저번에 따로 썼지만 우리나라 응답률이 15%이고, 다른 나라 응답률이 30%가 넘는 이유는 미국 등 선진국들은 전화조사과정에서 전화를 받지 않으면 평균 10회 정도 다시 같은 번호로 전화 접촉을 시도하는 데 비해 한국은 여론조사 단가 등을 고려, 전화를 받지 않으면 재조사를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같은 번호로 재발신한다면 응답률이 2배 정도는 높아질 수 있죠.
방구차야
12/12/06 10:28
잠재적인 표심은 박근혜가 압도적으로 우세하지 않나 하는 추측인데 방송과 여론에서 이른바 흥행을 위해 조작하는 면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다시말해 박과 문의 지지율차를 박빙으로 설정해놓고 안철수가 어떤행보를 보이냐에 따라 마치 역전이 가능할것 처럼 시나리오를 꾸미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거죠. 오차범위는 3%대고 한자리수 대의 어느정도 조작이 가능하다면 박근혜가 실제적으로는 10%이상 이기고 있는데 현재의 5%정도 미만의 차이가 나는것으로 조작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뭐 이것도 시나리오 쓰는 소리지만 제가 여론조사 기관이나 방송관계자라면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위해서라도 어느정도 조사방식을 조절해 흥행하는쪽으로 이끌것 같습니다.
cadenza79
12/12/06 11:47
여론조사 방식에 대한 오해가 심하신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글의 전제가 다 사실과 다릅니다.

1. 1,000명 대상, 응답률 15%라는 것은 1,000명에게 전화를 걸었더니 150명이 응답했다는 것이 아니라, 6,667명에게 전화를 걸었더니 1,000명이 응답했다는 것입니다. 응답률이 낮더라도 표본은 1,000개를 채우고 갑니다. 표본수가 150명개밖에 안 되면 95% 신뢰수준에서 오차범위가 ±8%나 나기 때문에 그 여론조사결과를 쓸 수도 없습니다.

2. 응답하지 않은 85% 중 대부분이 20~40대라고 해서 문재인 후보의 지지자들은 배제되었다는 결론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연령별, 유무선별로 정해진 표본의 갯수가 있습니다. 20~40대의 유권자 비율을 채울 때까지, 그리고 정해진 무선전화 표본수가 다 찰 때까지는 조사를 계속하기 때문입니다(이 과정에서 이미 표본숫자를 다 채운 연령대의 답변이 나오게 되면 그 조사결과는 버립니다). 총선시 여론조사로 야권단일화하는 과정에서 "특정 연령대 다 찼으니 그 연령대로 답변하면 버려진다. 다른 연령대로 답변하라."는 문자가 발송되어서 부정경선 논란이 있었던 것이 바로 여론조사에 있어 이러한 특성과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cadenza79
12/12/06 12:03
관여자가 한둘이 아니라서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공직선거법상 여론조사를 기준으로 내부경선을 할 수도 있고, 토론회 초청대상의 범위도 여론조사로 정해지기 때문에(강지원 후보는 이걸 위헌이라고 하고 있죠), 여론조사에 가감을 가하는 행위 자체가 공직선거법상 처벌대상이라 유선전화 무선전화 정도는 조절할 수 있지만 연령대별, 지역별 표본비율 같은 것은 거의 일정하게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흥행 때문에 자기 처벌을 각오하고 하지는 않겠죠. 방송/신문의 사장이 자기 처벌받는 것을 감수하고 흥행 때문에 조사방식을 조절하고 싶더라도, 실제 실행자도 처벌대상이니 아무 말 안나오게 진행할 수가 없습니다. 일단 여론조사기관에서 말을 안 듣고, 보도담당자도 말을 안 듣습니다.
여론조사 과연 얼마나 믿을만 한가?
PGR21 불판창입니다.
불판에 입력하는 내용은 전부 게시물에 기록되며
기존 피지알 댓글과 동일하게 취급하므로 매너있는 불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