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1/11 13:50:03
Name ESBL
Subject [일반] 개인적인 요네자와 호노부 소설들 부문별 랭킹
<요리코를 위해>, <또다시 붉은 악몽> 리뷰 쓰다가 막혀서 기분 전환이나 할 겸 제가 가장 좋아하는 요네자와 호노부의 소설들에 대해 간략하게 써보기로 했습니다.
대상은 <가을철 구리긴톤 사건>, <이제와서 날개라고 해도>, <진실의 10미터 앞>을 제외한 요네자와 호노부의 책 전부입니다. 즉, 한국에 출간된 책 대상입니다.

가장 뒷맛이 안 좋은 작품 - <덧없는 양들의 축연>
요네자와 호노부의 책들이 전체적으로 씁쓸한 결말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는 속이 울렁거리는 느낌까지 받았네요.

가장 귀여운 캐릭터 - <안녕 요정>의 마야
이건 고민의 여지가 없습니다. 웅. 하면서 '철학적인 의미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우리의 유고슬라비아인 소녀 마야 외에는 여기 들어갈 수 있는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슬펐던 이야기 - <보틀넥>
음.. <안녕 요정>과 <보틀넥> 중에 고민을 했습니다. 그래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어쩔 수 없다고 포기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저와 닮아서 <보틀넥>을 선택했습니다. 그러고보니 저희 부모님도 유산한 형이 있다고 그러더군요.

가장 잘 짜여진 이야기 - <추상오단장>
다섯 개의 짧은 리들스토리(결말이 정해지지 않은 이야기)를 묶어서 커다란 하나의 리들스토리를 만드는게 일품입니다. <안녕 요정>과 똑같이 1992년도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분위기는 사뭇 다른 것도 특징이죠.

가장 매니악한 이야기 - <인사이트 밀>
온갖 클리셰란 클리셰는 다 때려박고 각종 고전 미스터리 작품들이 언급됩니다. 그야말로 매니아들을 위한 이야기죠. 끝까지 보고 나니 맨 앞 부분의 경고문이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더군요.

가장 인상깊었던 제목 - <부러진 용골>
'부러진 용골'의 의미는 메인 스토리와는 아무 관계가 없지만 그럼에도 납득이 가는 제목이었습니다.

가장 인상깊었던 구절 - <왕과 서커스> 중 '어째서, 아무도 그녀를 구하지 못했나?'
<보틀넥>의 결말도 굉장히 인상깊었고, <왕과 서커스> 중에서도 인상깊은 구절은 많았지만, 제 마음속에 남은 건 중요하지도 않은 저 한 문장이었습니다.

대충 이 정도에서 마무리해야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뜨와에므와
17/01/11 13:53
수정 아이콘
키니나리마스!
17/01/11 14:05
수정 아이콘
고전부 시리즈는 어디 넣을데가 없었..
이상한화요일
17/01/11 14:04
수정 아이콘
<부러진 용골>을 한번 읽어봐야지 했는데 아직도 못 읽었네요.
<인사이트밀>을 참 재미있게 읽어서 여기저기 추천했는데 반응이 별로였던 것이 제가 미스터리 소설을 많이 읽어서 그랬나보군요. 이제야 납득;
<빙과> 시리즈도 괜찮았습니다. 가볍게 읽기 좋은 거 같아요.
<덧없는 양들의 축연>은 전 좀 그랬습니다. 이게 뭐지? 이런 느낌이랄까요.
<추상오단장>은 평을 보니 한번 읽어보고 싶네요.
17/01/11 14:12
수정 아이콘
<인사이트 밀>을 재미있게 읽으려면 최소한 클로즈드 서클의 기본적인 클리셰는 알아야 하죠.
저도 <덧없는 양들의 축연>은 찝찝해서 다시 읽고 싶진 않더라고요
17/01/11 14:08
수정 아이콘
이 글은 가장 귀여운 캐릭터를 위해 쓰여졌습니다.
17/01/11 14:14
수정 아이콘
마야는 진짜 요네자와 호노부가 캐릭터의 매력을 극한까지 끌어올린 캐릭터죠. 진짜로 부정적인 면모가 전혀 없는 캐릭터로 그려집니다.
엣헴엣헴
17/01/11 14:12
수정 아이콘
추!상!오!단!장! 너무 좋아요 크
17/01/11 14:20
수정 아이콘
카도카와랑 쿄애니와의 관계가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이후로 없는데 그래도 "고전부 시리즈"(빙과)는 2학년 편이 마무리되면 쿄애니 제작 TVA로 나와졌으면 좋겠네요. 작년 12월에 단편으로 묶은 최신작이 나오긴 했는데 장편 1,2권 정도는 추가되야 2학년이 마무리될 것 같은 건 함정(...)
카바라스
17/01/11 16:12
수정 아이콘
쿄애니가 빙과 이후론 자체 콘텐츠 개발에 힘쓰는지라.. 거기다 고전부시리즈만 쓰는 작가가 아니라 5권 나온뒤 6권까지 6년이 걸렸죠. 졸업할때가 마지막이라고 말했고 그러려면 최소 10권은 써야할텐데 머나먼 미래같아요.. 3기 잘 안내놓는 쿄애니 특성상 애니로 2기는 나와도 애니로 엔딩까지보긴 어렵지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르지마요
17/01/11 14:2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왕과 서커스를 최고로 칩니다.
17/01/11 14:30
수정 아이콘
<왕과 서커스>는 리뷰들 보면 '역시 요네자와 호노부다.'와 '요네자와 호노부라면 이것보다 더 잘 쓸 수 있지 않았을까'로 갈리더군요. 저는 전자 쪽에 가깝긴 합니다.
뻐꾸기둘
17/01/11 14:54
수정 아이콘
저 중엔 아직 읽은게 왕과 서커스 밖에 없네요. 부지런히 읽어야 할듯...
17/01/11 15:05
수정 아이콘
<안녕 요정>은 꼭 한 번 읽어보세요
정은비
17/01/11 15:37
수정 아이콘
고젠부 시리즈를 기대하고 들어왔는데...
17/01/11 15:42
수정 아이콘
마야만 없었다면 가장 귀여운 캐릭터 부문은 노려볼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솔로12년차
17/01/12 07:10
수정 아이콘
본래 고전부 시리즈로 쓰여졌었다니 본래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저 신경쓰여요
17/01/11 16:19
수정 아이콘
추상오단장 전율이죠... 지금도 추상오단장 생각하면 소름이 돋네요
17/01/11 16:49
수정 아이콘
안에 있는 단편들 퀄리티도 좋고 그걸 더 커다란 이야기로 묶어내는 모습이 너무 좋죠
17/01/11 21:51
수정 아이콘
저는 <왕과 서커스>를 제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초기 작품들은 아직 못읽었는데 올해 안으로 다 읽어야겠네요. 그리고 가장 귀여운 캐릭터는 마야가 확실합니다.
17/01/11 22:14
수정 아이콘
마야는 진짜 어지간한 라노베에서도 이렇게 매력넘치는 캐릭터는 없었던 기억이..
주머니속에그거..
17/01/13 05:47
수정 아이콘
이사람을 인사이트밀로 입덕했는데 빙과작가라는 걸 알고 깜짝. 빙과가 너무 저랑 안맞아서 동일인물인지 의심도 해보고 흑역사 취급인가 싶었는데 그것도 아니고...

나오키상 후보에까지 올랐었다는데 참 여러모로 대단한 작가인 것 같습니다. 추상오단장 강추!!!
시린비
17/01/19 10:35
수정 아이콘
이글 보고 추상오단장 사려고 했더니 품절이라 알라딘 중고샵에서 구매했는데
있다고 해놓고 재고 없다고 중고주인들에게 취소를 세번이나 당했네요 ㅡㅡ
중고 다 떨어지면 사이트 등록을 빠릿빠릿해놔야하는거 아닌감 ㅠㅜ
하소연할데가 없어서 여기 하소연 한번...
17/01/19 12:09
수정 아이콘
정 안되면 e북으로 싸게 사시는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9232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8896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2483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6897 4
104680 [정치] 주식시장 세제 개편에 대한 실망감 양현종21 25/08/04 21 0
104679 [정치] 대통령에게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비난 받은 포스코이앤씨 시공현장에서 또 사고가... [48] 매번같은3791 25/08/04 3791 0
104678 [일반] 중진국 함정 탈출의 어려움, 자체 자동차 브랜드 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27] 깃털달린뱀3419 25/08/04 3419 23
104677 [정치] 자본주의 책을 읽고 든 생각 [17] 네?!2281 25/08/04 2281 0
104676 [일반] 자본주의에 대하여 [5] 번개맞은씨앗2822 25/08/04 2822 1
104675 [일반] [강력스포] 좀비딸과 예수님 [4] 부대찌개2632 25/08/04 2632 1
104674 [일반] [노스포] 좀비딸 감상평 - 아빠라면 당연히 그렇게 한다 [27] 헤세드5336 25/08/03 5336 4
104673 [일반] 흥행 실패로 가고 있는 전지적 독자 시점 + 감상평 + 잡설 [84] 불쌍한오빠10501 25/08/03 10501 1
104672 [일반] 언어의 자유 [10] 번개맞은씨앗3448 25/08/03 3448 1
104671 [일반] 20년전 조롱받던 한국드라마 같아진 한국영화 [83] 깐부12930 25/08/03 12930 8
104670 [일반] 머스크 vs 이재용, 시가총액 1000조 원 차이의 이면 [10] 스폰지뚱7321 25/08/03 7321 11
104669 [일반] [팝송] 케샤 새 앨범 "." 김치찌개2459 25/08/03 2459 1
104668 [일반] 『편안함의 습격』- 절대반지의 운반자는 왜 호빗이어야 했는가 [16] Kaestro3595 25/08/02 3595 13
104667 [일반]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32] 깃털달린뱀5440 25/08/02 5440 1
104666 [일반] 선발 vs 계투 [7] 無欲則剛3123 25/08/02 3123 7
104665 [정치] 현재의 보수 지지층의 분류에 관해 [24] 두개의 나선5379 25/08/02 5379 0
104664 [일반] 최근 구입하고 만족스러웠던 물건들 [9] visco4926 25/08/02 4926 1
104662 [정치] 윤석열 이후, 보수 유권자는 어떻게 나뉘었나 [99] 딕시9016 25/08/02 9016 0
104661 [일반] 음악도 AI한테 정복? 지브리 그림 수준이 되버린 작곡 [32] Quantumwk5385 25/08/02 53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