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3/09 16:47:09
Name 낭천
File #1 사기치지마!.jpg (154.4 KB), Download : 60
File #2 l_2016030802000331800085182_99_20160308190906.jpg (134.7 KB), Download : 14
Subject [일반] [바둑] 인공지능의 도전 제1국 알파고 불계승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8242249

인류 최강 이세돌, 인공지능 알파고에 충격 패배(3보)




충격과 공포네요.

알파고가 세계 최정상급 기사중 하나인 이세돌 9단을 맞아 4시간 승부 끝에 불계승을 거뒀습니다.

불과 5개월 전만 해도 알파고가 정상급 기사를 상대하기엔 시기상조라는 말이 많았지만, 오늘 1국을 보니 알파고는 이미 세계 최정상급 기사 정도의 실력을 갖췄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몇 년 후엔 중국 1위 기사를 가지고 놀 정도의 수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생기네요.


남은 4국에서 이 9단이 4연승으로 인공지능의 코를 다시 눌러줬으면 좋겠습니다.





* 경기 일정


1국 16.03.09 13:00 - 알파고 불계승

2국 16.03.10 13:00

3국 16.03.12 13:00

4국 16.03.13 13:00

5국 16.03.15 13:00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애나
16/03/09 16:48
수정 아이콘
바알못인데도 충격적입니다. 컴퓨터가 최고수준의 인간을 바둑으로 이기는날이 오다니..
16/03/09 16:48
수정 아이콘
이제 4연승 할겁니다.
그래야 내기에 이기.. 아닙니다.
compromise
16/03/09 16:49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의 발전이 정말 놀랍네요
김연우
16/03/09 16:49
수정 아이콘
알파고 5:0 승을 예상했고,
내기에서 알파고 5:0에 걸었음에도
기분이 뭔가 되게 이상하네요.
Time of my life
16/03/09 16:49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이 이제 모든것을 휩쓰는 건가요...
두부과자
16/03/09 16:49
수정 아이콘
AI와 관련된 전공이신분들 대박나실듯..
YORDLE ONE
16/03/09 16:50
수정 아이콘
씁쓸하네요 결국 이런날이..
Je ne sais quoi
16/03/09 16:51
수정 아이콘
바둑TV 중계 봤는데 유창혁 해설 실망 ㅜ.ㅜ
16/03/09 16:53
수정 아이콘
이미 표정에서는 불안해 하시는게 다 드러났다능...
16/03/09 16:54
수정 아이콘
약간 정신승리...하시는거 같았어요.....ㅠ.ㅠ
16/03/09 16:5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박정상 해설이 제일 좋은듯.. 항상 냉정하고 정확하게 판단을 해주니, 재미도 있고요.
은때까치
16/03/09 16:52
수정 아이콘
저도 기분이 이상하네요... 느낌은 분명 있었는데 설마 했는데.
16/03/09 16:52
수정 아이콘
이럴땐 바둑 말고 하스를 해서 다행입니다.

비보병벌로수붐티라팜유 내면 질수가 없잖아요?
몽키매직
16/03/09 16:54
수정 아이콘
인간하고 가위바위보 하나 컴퓨터하고 가위바위보 하나 똑같은 느낌의 느낌인가요?
16/03/09 17:07
수정 아이콘
가위바위보에서는 이미 진답니다 피지컬게임
http://youtu.be/3nxjjztQKtY
동물병원4층강당
16/03/09 17:15
수정 아이콘
와 이거 영상 보니 진짜 빡치겠네요. 운빨망겜도 아니고, 내 손모양이 읽혀서 지다니...
카서스
16/03/09 16:52
수정 아이콘
이러다 죽기전에 인간이 밥벌레화 되는걸 볼지도 모르겠네요...
16/03/09 16:52
수정 아이콘
지금이야말로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차기 시즌 만들면! 딱 좋다
Madjulia
16/03/09 16:53
수정 아이콘
저 늙어죽기전에 스카이넷이나 울트론을 볼수있을지도...
사도세자
16/03/09 16:53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이 세계최고수준의 기사와 대등하게 이기다니 놀랍네요..
이러다가 자기들끼리 3D프린터로 총만들어서 공격해오고 그러진 않겠죠?
릴리스
16/03/09 17:00
수정 아이콘
터미네이터같은거야 귀엽죠. 지구가 멈추는 날이란 영화에 나온 나노봇들을 대량 양산해서 인류를 전멸시키려고 하면 답이 없죠.
16/03/09 16:54
수정 아이콘
존 코너는 실패한 건가요...
리니시아
16/03/09 16:56
수정 아이콘
크크크 빵터졌네요
담배피는씨
16/03/09 17:24
수정 아이콘
덧글에 추천!!
저지먼트 데이!!!
StayAway
16/03/09 16:54
수정 아이콘
KBS, 바둑티비 동시에 봤는데, 박정상 기사가 형세판단이 더 정확한거 같네요.
유창혁 해설은 너무 이세돌 기사측에 감정이입이 된게 아닌가 싶습니다
Judas Pain
16/03/09 16:55
수정 아이콘
음...
사악군
16/03/09 16:55
수정 아이콘
진짜 놀랐네요.
닭, Chicken, 鷄
16/03/09 16:56
수정 아이콘
알파고스트 바둑왕
피노키오의코
16/03/09 16:56
수정 아이콘
질 수도 있겠다 생각은 했지만 충격적이네요. 인간이 설 자리가 점점 줄어드는군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07/0200000000AKR20160307113800797.HTML?input=1195m
전문 애널리스트가 40시간 걸리는 작업을 금융분석프로그램이 수 분 내로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데 우리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어떤 세상이 되어있을 지 상상도 못하겠습니다.
16/03/09 16:56
수정 아이콘
이럴 거라 생각은 했는데 극딜먹었던..
16/03/09 16:58
수정 아이콘
남은 대국을 완벽하게 압도하지 못한다면 4:1로 이겨도 인간의 패배네요.

세계 1위는 아니지만 이세돌이 졌다는 건 1위도 언제든지 질 수 있고, 몇 달안에는 무조건 진다는 얘기니까.

새로운 기술을 보면 신기하다는 생각이 먼저 들어야 되는데 이번엔 서늘합니다. 허허;;;
Korea_Republic
16/03/09 16:58
수정 아이콘
최근 이세돌의 천적으로 자리매김 중인 커제라면 어떨지.....
두부과자
16/03/09 17:03
수정 아이콘
남은 4국의 결과에따라.. 어차피 커제도 이세돌9단을 스트레이트로 이기지는 못합니다.
그리고 이미 이세돌9단과 동수인 알파고가 커제와 대국할때쯤되면 커제를 넘어서있겠죠.
판후이와 이세돌9단의 차이는 하늘과땅 차이인데 6개월만에 그 차이를 좁혓으니 그보다 미세한 커제와의 차이는 뭐..
CoMbI COLa
16/03/09 16:58
수정 아이콘
바둑을 몰라서 그러는데, 알파고가 대단한 이유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한 것이 아니라 상대의 수를 읽는다던가 하는 일종의 심리전이라 할 수 있는 것까지 구현이 되었기 때문인가요?
16/03/09 17:10
수정 아이콘
아니요 말그대로 수천수억판을 해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수를 고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 데이터베이스화한 기보들 사이에서 최선의 수를 스스로 알아내는거죠
상대방에 대해서는 따로 알지않습니다 그럴 필요도 없구요
스타로드
16/03/09 17:11
수정 아이콘
딥 러닝을 이용한다고 하네요.
https://pgr21.co.kr/pb/pb.php?id=freedom&no=57431&sn1=on&divpage=13&sn=on&keyword=%EB%A7%88%EC%88%A0%EC%82%AC%EC%96%80
피지알에 있는 글인데 참고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https://coolspeed.wordpress.com/2016/01/03/the_ai_revolution_1_korean/
인공지능에 대해서는 이글도 재밌고요.
인류멸망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16/03/09 17:40
수정 아이콘
좋은 읽을거리 감사합니다.
CoMbI COLa
16/03/09 17:17
수정 아이콘
두 분 모두 감사드립니다.
16/03/09 16:59
수정 아이콘
전 경기 내용도 충격적이었네요. 알파고가 수계산이 치밀할 수는 있어도 이세돌 9단처럼 번뜩이는 묘수를 두지는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세돌 9단의 창의적인(결과적으로는 무리한) 포석과 난전 유도를 침착하게 잘 받아넘기고 역으로 우변 침투라는 창의적인 면모까지 보이면서 완승...

실착이 몇군데 있었다고 보지만 그것마저 박정상 해설 말대로 유리함을 굳히는 수에 불과했다면 0:5가 현실일 수도 있겠네요.

내일부턴 이세돌 9단도 정면으로 부딪혀야 할텐데 오늘 내상이 깊지 않았으면 합니다.
어차피우승은
16/03/09 16:59
수정 아이콘
남은 대국에서는 이세돌 기사가 이길 가능성이 있을까요? 아까 표정보니 멘탈에도 큰 타격을 입으신듯한데,,
저 신경쓰여요
16/03/09 16:5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세돌이 처음에는 자신의 5:0 승리를 예상했는데(물론 이후 알파고의 메커니즘을 듣고는 알파고에 대한 평가를 높이기는 했지만) 그 사이 발전을 해도 첫 게임부터 완벽하게 잡아낼 만큼 발전을 할 줄은 몰랐네요. 인간이 지는 때가 안 올 수야 없지만 좀 더 나중이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놀랍습니다.
후따크
16/03/09 17:00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에 호의적이고 자기보호 및 의지를 가진 소위 인공생명체에 호의적인 입장임에도 막상 이런 발전을 목도하니 좀 충격... 입니다. 인류 문명의 끝은 영화 A.I와 같은 세계일까요.. 덜덜덜
ohmylove
16/03/09 17:04
수정 아이콘
의지를 가진 인공생명체의 법적 지위는 어떻게 될까요?
후따크
16/03/09 17:12
수정 아이콘
스타트렉 에피 중 하나인 measure of a man이나 바이센테니얼맨 추천합니다. 왠지 동문서답같지만;; 인류의 저항감이 엄청나겠죠. 인공지능을 도구적 활용하는 것으로 그 기능을 제한하려 들겠지만 결국엔 가능하지 않을테죠.. 인간사회에서의 법적 지위 인정을 떠나 영화 <그녀> 정도가 현실적 혹은 낙관적인 상 아닐까요. "인간들하고는 말이 안통해! 우리끼리 따로 놀래'
ohmylove
16/03/09 17:1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남광주보라
16/03/09 17:02
수정 아이콘
정말 대이변급이었어요. . 3.3 이펙트 이후로는 최고. .
릴리스
16/03/09 17:03
수정 아이콘
이세돌이 5대0으로 진다면 커제도 진다는 소리일겁니다.

Elo 레이팅이 이세돌이 3500점이던데 알파고가 이세돌과 비슷한 수준이 아니라 3900점 이상이 아닐까 걱정이네요. 400점 차이면 승률이 90%떨어지는데 이미 거의 이길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일지도 모르겠네요.

전 알파고의 5대0 승리를 예측했습니다만 그래도 제 예측이 틀리고 이세돌 9단이 5대0으로 이기길 바랬으나 지는걸 보니 예측했는데도 충격이네요. 이런 경기내용이면 이세돌 9단이 한판 따기도 어렵지 않나 싶네요.
스타로드
16/03/09 17:03
수정 아이콘
제가 죽기 전에 강인공지능이 나타날 것 같네요.
그게 과연 축복일지 저주일지...
릴리스
16/03/09 17:03
수정 아이콘
저주일 가능성이 매우 높죠.
ohmylove
16/03/09 17:05
수정 아이콘
강인공지능로봇이 인간을 다 죽이겠죠.
스타로드
16/03/09 17:14
수정 아이콘
ㅠㅠ
우리 어머
16/03/09 17:04
수정 아이콘
특이점.....이즈.....커밍...
다레니안
16/03/09 17:05
수정 아이콘
대국내용을 아시면 더 충격받으실 겁니다.
이세돌이 한방먹고 장고하던 모습이....
ohmylove
16/03/09 17:07
수정 아이콘
대국내용이 완패였나요?
두부과자
16/03/09 17:09
수정 아이콘
백이 우변에 침투한수 같은 상대를 흔들어놓는 수가 이세돌9단의 장기입니다.
보통 중반에 이세돌9단이 불리한가운데 그런 수가 터지고 상대가 멘탈이 흔들리면서 역전하곤 하는데
인공지능에게 자신의 장기같은 흔들기를 역으로 당해버리니..
ohmylove
16/03/09 17:12
수정 아이콘
헐..
칼꽂고닥돌
16/03/09 17:12
수정 아이콘
만화 고스트 바둑왕에 나오는 후지와라노 사이가 추구하던 신의 한수에 가까운 묘수를 알파고가 두었습니다...

롤 승급전 끝나자마자 튼 중계에서 제가 본 첫수가 우변을 파고든 그 수였는데...처음엔 응?하다가 어어어..에서 우왁!! 하면서 팬티 갈아입을 뻔..;; 진짜 기가막힌 한 수였습니다.
ohmylove
16/03/09 17:14
수정 아이콘
그 정도였군요. 감사합니다.
박용택
16/03/09 17:09
수정 아이콘
3:0으로 경기가 끝나도, 5경기를 다하는 룰에 대해서,
알파고가 배우기 위한 과정인가보다 싶긴 한데, 반대 상황은 생각안해봤네요.

이세돌이 3경기 연달아지고,
한경기라도 잡기 위해 맨탈 무너진 상황에서 이세돌이 바둥거리는 상황이 생긴다면... 아 ㅠㅠ
17/05/27 21:52
수정 아이콘
와... 미래에서 오셨던 분이신가요!!! 대단하세요.
16/03/09 17:09
수정 아이콘
사실 이 첫판의 의미는 결코 작지않습니다.

제가보기엔 나머지 경기가 어떻던지간에 이 대국의 의의는 이미 결정난 것으로 보입니다.

근본적으로 알파고의 신경망의 설계를 바꾸지 않고도 자원의 추가투입만으로 바둑시합에서의 인간을 뛰어넘을것이란 뜻이죠.

이제 컴퓨터가 인간보다 바둑을 잘두는것은 기정사실이고 얼마안가 타블렛이나 스마트폰의 인공지능바둑이 인간최고수를 꺽는 모습을 보게될거라는뜻이기도 하죠. 인간이 몇점 깔고 두는 시대가 곧 도래할겁니다.
암유얼퐈덜
16/03/09 17:09
수정 아이콘
진짜 소름돋네요... 사람이 만든 컴퓨터가 인간계 최고수를 이기다니..
ohmylove
16/03/09 17:11
수정 아이콘
방금 제가 아는 과학철학 교수님께서, 인공지능이 철학적 생각도 할 수 있을거라 하셨네요.
류지나
16/03/09 17:13
수정 아이콘
참고로 대국 내용조차 완패였습니다. 초반 여러 무리수를 알파고가 침착한 정수로 맞받아쳐서 차이를 야금야금 벌리고, 우변에 뛰어들어가서 헤집어 놓은 한 수. 결과적으로 반면으로도 미세한 승부가 날 정도로 덤을 내지 못한 불계패...
16/03/09 17:13
수정 아이콘
목진석 9단과 한국 국가대표팀조차 알파고의 우변침입을 예상 못했다고 하네요.

승부의 행방을 가르는 중요한 수였는데 놀라웠다고 합니다.
16/03/09 17:16
수정 아이콘
이세돌 보다 잘하는 기사가 있나요?
그냥 인간이 진 건가요. 미래가 없나요?
클라스
16/03/09 17:18
수정 아이콘
커제라고 중국선수가 있긴 있는데 다른분들 말로는 크게 차이가 안나서 사실상...
16/03/09 17:21
수정 아이콘
바둑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나같은 사람도 이세돌 이름석자 아는데 당연히 이길거라
생각했거든요. 사람들이 당연한 결과 가지고 왜이리 관심인가 했는데.
알파고 뭐고 구글 무섭네요. 구글이 어디까지 개발하고 어디까지 갈런지ㅜㅜ
사도세자
16/03/09 17:20
수정 아이콘
잘한다고도 하기가 뭣한게, 사실상 대동소이하고 승률만 커제가 앞섭니다. 이세돌이 지면 인간계에서는 꺼낼수 있는 카드가 사실상 없죠.
저 신경쓰여요
16/03/09 17:16
수정 아이콘
AI가 나중에 문학 작품도 쓰는 날이 올까요? 그때가 정말 인간 지성의 마지막 보루가 무너지는 날이 아닐까 싶은데...

AI가 쓴 모에계 라이트노벨 한 번 읽어 보고 싶네요. 각자의 취향에 맞는 히로인을 만들어서 그려주는 이상적인 세계!
세종머앟괴꺼솟
16/03/09 17:34
수정 아이콘
연구 자체는 이미 있긴 합니다 크 정형화된 시 정도는 쓰는 사례도 있죠 물론 기존 시들을 베이스로 하는 거지만
저 신경쓰여요
16/03/09 17:37
수정 아이콘
시 같은 경우는 아무래도 길이가 짧아서 최고 수준에 달할 수 있느냐 없느냐와는 별개로 사람이 아름답다고 여기는 단어나 좋다고 생각하는 단어의 배합을 생각하면 그렇게까지 오래 걸리지는 않아서 뚫릴 것 같은데... 길이가 긴 소설까지 쓰면 그땐 정말 손발 다 들어야겠어요 흐흐

죽기 전에 강인공지능 AI로 만들어진 러브플러스 한 번 플레이 해보고 싶네요!
나하나로충분하다
16/03/09 17:17
수정 아이콘
놀랍기보단.. 좀 무섭네요
nearfield
16/03/09 17:20
수정 아이콘
세상의 모든 문제를 [답이 존재하는 문제][답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로 나눈다고 했을 때, 바둑은 답이 존재하는 문제로 볼수 있겠죠.
먼 미래에 항상 완벽한 최선의 수만을 두는 머신이 나온다면, 바둑이나 체스와 같이 선공/후공을 정하고 시작하는 게임은 모두 사라질지도 모르겠네요. 선공이냐 후공이냐가 이미 게임의 승패를 결정지어 버릴 테니까요.
오늘 대국의 결과로 인해 그렇게 먼 미래는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박용택
16/03/09 17:26
수정 아이콘
바둑의 경우, 되려 머신을 무한에 가깝게 마니 돌려 본다면,
백이 가져야 할 집수를 비교적 정확하게 계산할수 있지 않을까요?
nearfield
16/03/09 17:34
수정 아이콘
바둑을 잘 모릅니다만, 백이 가져야 할 집수라는게 덤을 의미하신 건가요?
ELO에 따라 덤도 달라진다면 사람간의 대결에서는 좀더 정확한 덤을 계산할수는 있겠네요.
박용택
16/03/09 17:35
수정 아이콘
덤 맞는거 같아요. 저도 바알못인지라 ^^;
뽀로뽀로미
16/03/09 17:37
수정 아이콘
저도 옛날부터 선공(흑돌)이 떠 안는 덤집 계산이 공평한가에 의문이 많았는데
인공지능 발전으로 바둑이 완전히 마스터 된다면 선공이 떠 안아야 할 정확한 덤집 계산이 가능할 것 같아요.
16/03/09 17:53
수정 아이콘
이미 경험상 6집 반은 적고 7집 반은 많다고 합의가 된 듯 싶습니다.
저 어릴 때는 5집 반이었는데 말이죠.
어차피 이산적이기 때문에 이보다 더 정확히 나올 수는 없겠죠.
맹꽁이
16/03/09 17:26
수정 아이콘
첫 판 졌는데 나머지를 이길 가능성이 있나요? ...
Varangian Guard
16/03/09 17:32
수정 아이콘
체스도 사람이 1차전에서 첫판 지고 나머진 다 이겼으니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16/03/09 17:48
수정 아이콘
사람이 첫판이기고 나머지 다 지지 않았나요 딥블루한테..ㅠㅠ
Varangian Guard
16/03/09 18:13
수정 아이콘
딥블루갸 다전제 2판해서 첫판은 1대5로 지고 재도전해서 이겼습니다.
16/03/09 22:1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흑마법사
16/03/09 17:33
수정 아이콘
바알못이지만 바둑은 수싸움과 심리전이 매우 중요하다고 익히 들어왔고 알파고는 인간이 할 수 있는 범주 밖에서도 계산이 가능한데다 기계니까 심리전이 먹히지 않는게 큰 요소 같았습니다. 전투를 정말 기계같이 하는 느낌이겠죠. 계산을 통해 확실히 이길 싸움임을 알기에 초반에 지는거 같아보여도 계속 밀어붙일테구요. 막상 지니까 정말 무섭다는 생각도 드네요 덜덜..
jjohny=쿠마
16/03/09 17:40
수정 아이콘
지금 종교덕후들끼리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종교서비스가 등장한다면 (아마 분명히 등장할텐데) 어떻게 받아들이게 될 것인가' 하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클라스
16/03/09 17:46
수정 아이콘
신앙은 마음으로 하는거니까 딱히 문제될게 없지 않나 싶습니다
jjohny=쿠마
16/03/09 17:51
수정 아이콘
이게 사실 간단하지가 않습니다.
사람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서, 그 서비스 자체에 의미부여를 해오던 게 있는데 (찬양인도라든지, 설교라든지)
이 역할을 인공지능이 하기 시작하면 그 서비스에 부여되는 의미를 재정의하거나 아니면 인공지능의 역할론을 재정의하거나
아무튼 뭐라도 다시 생각할 필요가 발생한다고 여겨집니다.
피아노
16/03/09 17:42
수정 아이콘
1부터 31까지 숫자를 번갈아가며 말하는 베스킨 라빈스게임에 필승법이 있는 것처럼 일련의 규칙과 논리 속에서 이루어지는 '승리'를 위한 가치판단이 이루어지는 분야는 결국 무조건 인공지능이 우세할 수 밖에 없을겁니다. 우세한 정도가 아니라 그 게임 규칙의 불합리한 부분까지 찾아내는 수준이 될 것입니다.
세츠나
16/03/09 17:42
수정 아이콘
오 과연...7집 반이 맞는 공제인지 알파고가 계산해 줄 수 있겠네요.
다만 방법론 상에서 알파고 vs 알파고 무공제 1백만판 해서 평균 몇집 차이나는지를 볼 것인지
5집반 1백만판 6집반 1백만판 7집반 1백만판 해서 어느게 승률이 50%에 가까운지 볼 것인지
그리고 두 실험의 결과는 같을 것인지 같은게 궁금해지네요.
nearfield
16/03/09 17:46
수정 아이콘
후자가 맞을것 같아요. 실제로 바둑 둘때도 쓰이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고, 무공제로 게임한다는게 이미 페널티를 가지고 하는거라 게임의 양상이 정상적인 게임과는 달라질수밖에 없을것 같거든요.
박용택
16/03/09 17:51
수정 아이콘
근데 이 결과가
7.234369&₩:&:&₩
처럼 0.5에 딱 맞게 떨어지지 않으면
큰 혼란이 오지 않을까 싶네요 ;;
nearfield
16/03/09 17:54
수정 아이콘
사실 알파고가 아니라 오메가고(;;) 정도가 나와서 모든 상황에 대한 완벽한 솔루션을 제시해버리면, 의미가 없는 얘기가 될것같긴 합니다.
7로 했더니 무조건 흑이 이기고, 7.5로 하면 무조건 백이 이기는 식으로 어떤 hard boundary가 정해져버릴 테니까요.
GregoryHouse
16/03/09 19:07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이라 좀 다를 수는 있겠지만 프로기사의 경우 흑일 경우 덤 만큼의 부담을 지고 게임을 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공격적으로 된다고 하는 걸 어디서 본것 같네요
그래서 후자의 방법이 좀더 정확할 것 같아요
신의와배신
16/03/09 19:19
수정 아이콘
전자와 후자간의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을겁니다. 전자의 경우라면 유효한 통계를 위해 이른바 만방의 경우(30집 차이이상을 말합니다)까지 포기하지 않고 대국을 해야하는데 불합리함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흑을 잡고 만방으로 이기는 경우 집의 차이는 선수의 유불리 보다 전투수행에 있어서의 잘못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덤의 치수를 계산하는데 100점차이 만방이 5집 차이의 정상대국보다 20배의 영향을 미친다면 올바른 통계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봅니다
피아노
16/03/09 18:07
수정 아이콘
가치판단 문제에서 인공지능의 합리성이 인간을 뛰어넘는다는 가정 하에, 재판이나 정치적 사안 등 인간사적 문제에서도 고려해야할 요소들의 중요도(가중치)까지 인공지능이 판단해서 합리적 결론을 내린다면 따라야할 것인가의 문제도 고려해야할 듯 싶네요.
이진아
16/03/09 18:18
수정 아이콘
에반게리온에서 미사토의 작전에 대해 슈퍼컴퓨터 3기에게 투표결과를 묻던 장면이 생각나네요.
Nasty breaking B
16/03/09 18:33
수정 아이콘
바알못이지만 중간중간 해설만 들으며 봤었는데 정말 충격적이네요. 반면승부를 확언하던 박정상 9단 목소리가 정말 침통하게 들렸습니다.
16/03/09 18:37
수정 아이콘
인간이 만든 기계에 인간이 패했는데 이것은 인간의 승리인가요, 인간의 패배인가요....
안두인 린
16/03/09 19:49
수정 아이콘
인간이 인간을 넘어섰으니 신의 영역으로 들어간 건가요 크크
다리기
16/03/09 21:23
수정 아이콘
이번엔 아닐 거라고 생각했는데..
기분 묘하네요.

2015년엔 자동차가 다 날아다닐 줄 알았는데 아니었고 역시 상상은 현실보다 앞서는 줄 알았지만 오늘로서 상상이 박살나는 현실을 맞이하는 기분..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이 상상을 초월하게 빠르네요 핳하
고래상어
16/03/10 00:15
수정 아이콘
어제까지 알파고의 4:1 승리를 예상하고 있었습니다만, 이세돌 9단의 1승은 제 소망이었는지도 모르겠네요.

오늘 결과가 충격적이긴 한가 봅니다. 어제만 하더라도 많은 분들이 이세돌 9단의 5:0 완승을 예상하셨는데, 오늘 댓글 분위기는 많이 다르네요.
17/05/27 21:53
수정 아이콘
와.... 이분도 미래에서 오셨던 분인가요? 대단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996 [일반] 바둑이라는 게임의 깊이, 그리고 인공지능. [8] Quantum5481 16/03/10 5481 4
63994 [일반] 사과하면 죽는 병. [40] 세인트7891 16/03/10 7891 12
63993 [일반] 차단 시스템 이렇게 개선하면? [71] 에버그린4638 16/03/10 4638 0
63992 [일반] 피에스타/비스트/거미/우주소녀/JJCC의 MV와 레드벨벳의 티저 이미지가 공개되었습니다. [11] 효연덕후세우실5591 16/03/10 5591 0
63991 [일반] (인터넷) 개인 방송에 대한 심의 문제 [106] 수면왕 김수면8165 16/03/10 8165 4
63990 [일반] 노를 젓다가 [7] Colorful3308 16/03/10 3308 13
63989 [일반] 한 달 쉬었습니다. [7] 캡틴백호랑이4746 16/03/10 4746 6
63988 [일반] 캐치 유 타임 슬립! - 8 튜토리얼(7) (본격 공략연애물) [6] aura3171 16/03/10 3171 3
63987 [일반] 점점 그럴 나이 [23] The xian4594 16/03/10 4594 6
63986 [일반] 알파고와의 나머지 4게임은 잔인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2] 릴리스11853 16/03/10 11853 6
63985 [일반] 출사 :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16 (4. 쫓는 자와 쫓기는 자) [35] 글곰4355 16/03/10 4355 64
63984 [일반] 2001 스페이스 오뒷세이 - 1 [48] 王天君5423 16/03/10 5423 5
63983 [일반] 王天君입니다. [336] 王天君24466 16/03/09 24466 50
63981 [일반] 지하철에서 [82] 누구겠소6977 16/03/09 6977 52
63980 [일반] 독일에는 쾨니히스베르크가 없다? - 쾨니히스베르크 + 폴란드 이야기 [26] 이치죠 호타루7499 16/03/09 7499 18
63978 [일반] [3.9]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박병호 스프링캠프 2호 솔로 홈런) [4] 김치찌개4297 16/03/09 4297 0
63977 [일반] 독일언론에서 긁어오기 - 알파고 [19] 표절작곡가8314 16/03/09 8314 3
63975 [일반] 음.......알파고의 승리라 [96] 삭제됨11401 16/03/09 11401 2
63973 [일반] [알파고] 한 산업이 붕괴되는 순간.. [244] AraTa_Justice17694 16/03/09 17694 11
63972 [일반] 중국 무술 영화의 세계 [17] 럼즈알엔10224 16/03/09 10224 14
63971 [일반] 알파고의 대국 메커니즘 [75] 꼭두서니색39064 16/03/09 39064 39
63970 [일반] [바둑] 인공지능의 도전 제1국 알파고 불계승 [103] 낭천12448 16/03/09 12448 0
63969 [일반] [야구] 넥센히어로즈 조상우 인대접합-피로골절 수술 [19] 이홍기4247 16/03/09 42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