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3/08 21:38:22
Name 카미너스
Subject [일반] [바둑] 알파고는 이세돌에게 이길 수 있을까

지난 1월 28일,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가 인간 대표 이세돌에게 도전한다는 기사가 나왔을 때 우리나라의 많은 네티즌과 전문가들은 백이면 백 이세돌의 압승을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만약 판후이와 대결하기 전에 알파고VS판후이 승부 예측을 했어도 10명 중에 10명 꼴로 판후이의 승리를 예상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때까지 나온 인공지능의 실력은 프로기사 - 그것도 현역보다 훨씬 기력이 떨어지는 원로 - 를 상대로 4점을 깔고 두는 수준이었으니까요. 겨우 두 달 전에 나온 기사를 보면 기계가 인간을 이기는 것은 먼 훗날의 일이라고 나옵니다. ">


참고로 저는 컴퓨터를 상대로 가장 강한 기사는 커제가 아닌 이세돌이라고 생각합니다. 커제의 장점은 수읽기가 빠르고 계산이 정확하고 실수가 없다는 점인데, 그런 부분에서는 어차피 인간이 컴퓨터를 이길 수 없습니다. 다만 컴퓨터의 단점은 처음 보는 창의적인 수에 약하다는 것인데 이세돌 선수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창의적인 수를 두는 부분에서 역대 최고이기에 컴퓨터 상대로 가장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바둑TV의 특집 프로그램에서 나온 한 인공지능 전문가는 알파고의 5:0 승리를 예상했습니다. http://www.tvbaduk.com/common/vod_viewer.asp?mode=1&ext_vod=cyZzhqMTE6yj-YtT0N6fSYYvop0HYVnv (바둑tv 로그인 필요)
판후이를 5:0으로 꺾은 것은 작년 10월인데 3달이 지난 후에야 결과를 공개한 것이 의미심장하다, 그 동안 알파고는 비공개로 중국의 고수들과 충분한 연습을 했을 것이고, 거기서 압도적인 승률을 기록했기 때문에 확신을 가지고 이세돌에게 도전했을 것이라는, 즉 속된 말로 "각이 나왔다" 라는 거죠.


시합은 내일 오후 1시에 시작이고 중계는 공중파KBS2, 네이버, 유투브, 바둑TV, 아프리카 등등에서 방송한다고 합니다. 판후이와 타이젬으로 이미 두 번의 큰 충격을 준 알파고가 써드 임팩트를 보여줄지, 아니면 이세돌이 다시 한 번 마법같은 승리를 만들어낼지 기대되네요. 열심히 월급도둑질을 하며 지켜봐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08 21:42
수정 아이콘
특이점이 올것인가 vs 아직은 위대한 인간의 승리인가
내일이 정말 기대됩니다
방과후티타임
16/03/08 21:43
수정 아이콘
언젠가는 이기겠지라는 생각이 막연히 들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사람이 이겼으면 좋겠네요.
-안군-
16/03/08 21:43
수정 아이콘
근데, 룰에 대한 얘기는 찾기가 힘드네요... 시간제한은 어떻게 되는지...
시간제한이 길면 길수록 사람에겐 불리하고, 컴퓨터에겐 유리해지죠...
16/03/08 21:45
수정 아이콘
제한시간은 각각 2시간이며 이후 1분 초읽기 3회가 주어진다. 이번 대국은 백을 잡은 기사에게 덤 7.5집을 주는 중국 바둑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
- 연합뉴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22/0200000000AKR20160222172000007.HTML)
라고 합니다.
-안군-
16/03/08 21:4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카미너스
16/03/08 21:49
수정 아이콘
중국룰이고 2시간 제한에 초읽기 1분 3회입니다. 분명 봤는데 기사가 워낙 많아서 찾기가 힘드네요. 프로 기전에서 많이 채용해서 인간에게 익숙한 규칙을 그대로 적용한 것 같습니다.
미네기시 미나미
16/03/08 21:51
수정 아이콘
오히려 알파고가 중국룰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고 하니 알파고에 맞춘게 맞지 않나 싶네요. 제한시간은 이세돌 9단의 의중이 들어간거 같기도 하군요.
미네기시 미나미
16/03/08 22:08
수정 아이콘
오히려 시간제한이 엄청 짧은 초속기에서는 컴퓨터가 불리하다고 하네요. 30초 속기바둑으로 비공식대전을 판후이 프로가 했을때는 2:3 이었다고도 하구요.
오이가싫어요
16/03/08 21:46
수정 아이콘
알파고를 보면 정말 드래곤볼 셀이 생각나요 날이갈수록 강해지는게
미네기시 미나미
16/03/08 21:47
수정 아이콘
http://www.tygem.com/news/news/viewpage.asp?pagec=1&seq=20735&gubun=&igubun=&find=&findword=

이 기사에 나온 김찬우 프로의 말을 보면 알파고가 컴퓨터니까 무조건 계산에서 완벽한 수를 둘거야 라는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요.
제 느낌에는 알파고가 오히려 고평가 받고 있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일단 내일 첫대국이 정말 기대되네요. 1~5국 사이에 엄청난 발전이 있진 않을테고 알파고의 실력수준은 첫대국에서 드러나지 않나 싶네요.
실수만 없다면 이세돌 9단이 완승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티모대위
16/03/09 12:06
수정 아이콘
김찬우 프로가 진짜 전문가네요... 매우 인상깊은 인터뷰입니다.
16/03/09 12:39
수정 아이콘
좋은 글입니다..
알파고는 기존 바둑 프로그램에 딥러닝을 적용한 정도이지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한게 아니라서 한계가 올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탈리스만
16/03/08 21:51
수정 아이콘
전에도 적었지만 저희 아버지는 아직도 믿질 못하시더라구요. 컴퓨터가 프로기사를 이겼다는 것을. 흐흐
내일 대결도 정말 기대됩니다.
AirQuick
16/03/08 21:52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를 찾아보니 알파고가 연산 능력을 최대로 사용해서 판 후이를 이긴게 아니더군요. (CPU 1202개, GPU 176개)
구글이 사용가능한 연산 능력을 최대한으로 끌어모으면 충격적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봅니다.
몽키매직
16/03/08 22:16
수정 아이콘
인코딩/렌더링 같은 그 속성 자체가 완벽한 병렬인 작업을 제외하고는 병렬 프로세서의 수를 늘릴수록 병렬 연산의 효율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바둑과 같이 시간 복잡도가 n^n 인 경우에는 여기서 또 한번 병렬연산의 효율이 급감합니다. (예를 들어 미리 내다보는 수가 10개인 것과 11개인 것에 필요한 연산 차이가 수십배이고, 11개인 것과 12개인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 구글 서비스를 잠시 중단할 정도로 리소스를 다 가져다 쓴다고 하더라도 추가로 내다볼 수 있는 수가 1수도 안될 걸요? 알파고 기보 분석을 보면 바둑판이 채워지면서 종반으로 갈수록 실력이 급등한다고 하니, n^n 알고리즘이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자유의영혼
16/03/08 22:27
수정 아이콘
논문 직접 봤는데.. 구글 서비스를 중단할 정도로 리소스를 땡겨 쓰면.. 지금도 아마 이세돌 이길 수 있을겁니다. 프로세서의 수에 따라서 실력이 어떻게 증가하는지 대략적인 자료가 있어요. 그리고 n^n 이 아닌게 핵심이죠. 다만 이번 대회에서는 판후이를 상대로 했던 하드웨어 그대로 간다고 하네요.
몽키매직
16/03/08 22:58
수정 아이콘
논문을 보아도 약간의 실력 상승을 위해서 n^n 급의 리소스 투자가 필요한 건 맞아 보이는데요?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도 마찬가지이지만 인공지능 플레이어 방식이 수가 많은 바둑은 모든 수를 평가할 수 없어 버릴 수를 자의적(데이터기반)으로 판단하여서 (수읽기를 일부 희생해서) 수의 깊이를 늘리는 기술인데, 추가적 자원 투자를 하여 depth (깊이) 를 늘리더라도 어느 경우에나 애초에 n^n 알고리즘에서 일부 희생한 만큼의 절대실력 감소가 부분적으로만 극복이 되기 때문에 자원 투자가 많아질수록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알고리즘 자체는 n^n 으로 보이지 않아도 리소스를 계속 투자하다보면 효율이 결국 n^n 에 수렴하는 거죠... 실력을 증가 시키기 위해 depth 와 width 를 모두 늘리는게 n^n 에 가까워진다는 이야기니까요...
자유의영혼
16/03/08 23:32
수정 아이콘
알고리즘 자체는 n^n으로 보이지 않지만.. 결국 효율은 n^n으로 수렴할것이다 하셨는데..
정말로 바둑의 극한에 도달했을 때나 그러하겠지요. 현재 단계에서는 까마득한 얘기이고..
실제로 알파고 성능 분석을 보면.. 대략 ELO 점수가 컴퓨팅파워의 log 정도로 증가하는걸로 보입니다.
구글 서버가 백만대 정도 되던가요? 이걸 다 투입할 수 있으면.. 추가로 내다볼 수 있는 수는 가시적으로 늘어날 겁니다.
16/03/08 22:34
수정 아이콘
몬테카를로 트리 써치기반이라고 하니 병렬화 측면에서는 문제 없을 겁니다.
사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렇게 코어를 많이 가져다쓸 이유가 없기도 하고요.
16/03/08 21:52
수정 아이콘
알파고 논문을 잘 분석한 글이 있어 추천합니다..
알파고 논문 분석: http://spri.kr/post/14725
논문 분석하신 분이 예측하신 글도 있는데 흥미롭네요..
알파고 예측: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06/2016030601834.html
다른 예측 글들은 너무 설레발이 심한데 이건 논문 분석에 기반한 객관적 시각이 느껴져서 좋네요
alphamale
16/03/08 21:56
수정 아이콘
의외로 되게 싱겁게 이세돌이 이기지 않을까 싶은데... 만약 첫판부터 알파고가 이기고 들어가면 엄청난 관심을 끌겠죠
테임즈
16/03/08 21:58
수정 아이콘
사람이 알파고가 약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번갈아 두는건지도 모른다는 음모론(?)도 있던데... 여튼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무무무무무무
16/03/08 22:01
수정 아이콘
글에 나오는 딥마인드 수준도 충분히 강하지만 저정도로 이세돌을 이기는 건 무리 아닌가요?
정상급 프로들을 상대로 44승 28패도 아니고 프로 + 잘두기로 이름 난 아마 수준으로 그정도면 김이 확 빠지는 느낌인데.
상대해야 되는 건 스1 막판의 이제동인데 챌린지에서 이기고 듀얼에서 지고 왔다갔다하는 실력이라면 좀.... -_-

아이디를 여러 개 만들어서 돌렸으면 노출을 피할 수 있었을텐데 그런 생각까진 안했나 보네요.
16/03/08 22:07
수정 아이콘
알파고가 원래 속기에 약한데
속기에서도 승률을 저만큼 올렸다는건 오히려 기대감을 더 증폭시키네요;;;
카미너스
16/03/08 22:22
수정 아이콘
타이젬 전적만 보면 안되는 수준이지만 그게 전부가 아닐 것 같아 기대가 됩니다.
Re Marina
16/03/08 22:0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지금은 인간이 이기지면 몇 년 뒤에 뒤집히는 그림이 아닐까 싶습니다.
16/03/08 22:08
수정 아이콘
혹시 알파고 뒤에서 커제가 몰래 두는거 아니겠죠? ^^
16/03/08 22:16
수정 아이콘
위에 커제 인터뷰짤이 의미심장해 보이네요..크크
아니면 반대로.. 커제가 알고보니 인조인간...?
에버그린
16/03/08 22:11
수정 아이콘
스타도 바둑처럼 알파고같은 인공지능나오면 프로게이머들 확실히 바르겠죠? 멀티태스킹자체가 인간이 상대가안되니
16/03/08 22:13
수정 아이콘
실제로 스타1 인공지능 세계대회가 있죠
근데 생각외로 치팅 없는 스타1 인공지능의 실력은 높지 않습니다..
구글(딥마인드)이 투자하면 달라질수도 있지만요;;
릴리스
16/03/08 23:11
수정 아이콘
오오... 그런게 있었나요. 리플이라도 있으면 구해서 보고 싶네요.
토니토니쵸파
16/03/08 22:16
수정 아이콘
스타1 소설인 [불멸의 게이머]를 보면 그런 컴퓨터같은 케릭터가 하나 나옵니다.
메크로, 마이크로를 전부 극강으로 해버리니 도저히 이길수 없어보였죠.
작중에서도 주인공전까지 전승으로 올라옵니다.
근데 주인공은 이깁니다. 스탑러커로요.
일간베스트
16/03/08 22:27
수정 아이콘
왜인지 빵 터졌네요. 스탑럴커라니..
16/03/09 09:35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DXUOWXidcY0
개인이 만든 인공지능만봐도 이정돈데... 프로게이머들 울면서 집에가겠죠..?
물만난고기
16/03/08 22:13
수정 아이콘
알파고가 무슨 심리적 동요를 해서 실수를 하지 않겠지만 자체 알고리즘을 통하여 컴퓨터 자신이 합리적으로 판단한 수를 두는 것인데 이게 바둑에서 말하는 최고의 수만을 두는게 아니니까요. 그 알고리즘이 흔히 말하는 신의 수로 통한다면야 컴퓨터가 무조건 이기겠지만 그게 아니니 충분히 오판할 수 있겠죠.
16/03/08 22:15
수정 아이콘
알파고가 기존 바둑 프로그램들과 다르게 바둑에서 말하는 정석들을 직접 입력한게 아니라서..
변칙수로 승부하나 정석으로 승부하나 알파고 입장에서는 별 차이가 없을듯합니다..
앙토니 마샬
16/03/08 22:14
수정 아이콘
저는 바둑을 하나도 모르는 바알못이지만 알파고가 이기면 좀 슬플 것 같아요. 인간의 영역을 침범당하는 느낌이라.

그와는 별개로 본문에 첨부된 커제 사진은 멋지네요. 이세돌을 이긴 사람이 저런 말을 하니까 엄청 있어보임.
요르문간드
16/03/08 22:17
수정 아이콘
사실 이미 인간이 진거죠. 프로들 조차 패배가 더 많을 정도라면....

인간은 이미 진거고, 아직 최고는 안졌어 하면서 정신승리하고 있을 뿐이죠.
미네기시 미나미
16/03/08 22:23
수정 아이콘
그 논리라면 컴퓨터 최고가 인간을 몇 이겨서 인간이 진거면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인간한테 상대도 안되면 컴퓨터는 진게되는거 아닌가요.
졌다고 말하려면 최정상간의 대결이 되어야 납득할만 하죠.
요르문간드
16/03/08 22:33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은 복사붙여넣기가 가능하지요. 그렇기 때문에 그런 논리는 좀 안맞는다고 생각해요.
아마 지금도 수십가지 버전의 알파고가 태어나고 있을거고, 동시에 폐기되고 있겠죠.
16/03/09 15:45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만 있다고 가능한가요.
구현을 해야죠.
그거 다 돌릴만한 시스템구축이 쉽지가 않습니다.
티모대위
16/03/09 15:51
수정 아이콘
음 글쎄요... 알파고가 사용하는 만큼의 리소스는 무한 복붙이 될만큼 만만한 연산량이 아닙니다.
알파고 뒤에는 엄청나게 막강한 클라우드 컴퓨팅이 버티고 있어요.
에미츤귀여웡
16/03/08 22:20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있던 커제와의 마지막 경기를 봤는데 중반쯤 중앙부근에 있던 백돌이 갇힌듯한 형세가 만들어 졌습니다.
이세돌 9단은 장고에 들어갔고, 해설은 여러가지 수순을 해보면서 길이 없다며 한탄해 했습니다.
이미 초반에 형세가 불리하게 돼었기에 중앙에서 살지못하면 바로 정리되는 수순이였죠.
하지만 이세돌 9단은 장고 끝에 엉뚱하게도 중앙좌측에 돌을 두는겁니다.
당연히 해설은 실수다 착각이다 망했다라고 했지만 몇수를 더 주고 받더니 기가막히게 중앙돌의 생명줄이 된겁니다.
저는 이 장면을 보고 5:0이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다만 사활에 매우 강력해 지고 있을때 역전각을 보기가 어렵다는 점을 들어 실수가 나온다면 1판정도는 질수 있다고 봅니다.
카미너스
16/03/08 22:29
수정 아이콘
해설자 바보 만드는게 이세돌의 특기지요 흐흐
전혀 불가능할 것 같은 상황에서 기적의 승리를 만들어낸 적이 워낙 많아서 이세돌은 마법을 쓴다는 얘기도 있고요
그런 "이세돌 매직"이 다시 한번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신중함
16/03/09 00:11
수정 아이콘
저도 그 판을 보면서 도대체 몇 수를 내다본 건가 하고 감탄했습니다.
정성남자
16/03/08 22:26
수정 아이콘
이세돌이라면...!
최고의 매칭이라고 봅니다 정말 기대됩니다
은때까치
16/03/08 22:29
수정 아이콘
정말 정말 기대되요. 내일이 역사에 남을 수도 있는 날이라는게 정말 흥분됩니다.
이치죠 호타루
16/03/08 22:31
수정 아이콘
알파고에 한표 던지렵니다.
이세돌 九단이 초반에 접히고 들어가는 바둑이 꽤 많다고 들었거든요. 알파고는 포석 단계에서의 실수가 적지 않을까 싶은데, 이세돌이 아예 신수를 개발하지 않는 이상 어려워 보입니다. 신수를 개발하는 것 자체도 쉽지 않은데 알파고의 공부량도 엄청나니...
16/03/08 22:35
수정 아이콘
오히려 알파고는 초반 포석 단계에서의 실수가 많다고 그러더군요..
이치죠 호타루
16/03/08 22:37
수정 아이콘
어라, 그렇다면 제가 접한 뉴스가 잘못된 정보를 전달한 것이었네요.
16/03/08 22:42
수정 아이콘
저도 뉴스에서 봤는데 제가 잘못 본 거일수도..
테임즈
16/03/08 22:55
수정 아이콘
포석단계에서 실수가 잦은게 맞습니다
반상에서 빈곳이 많을수록 예측해야할 경우의수가 많아서요
소신있는팔랑귀
16/03/08 22:55
수정 아이콘
모든 인공지능이 초반은 경우의 수가 워낙 많아서 가장 어려워한다고 합니다. 사람도 사실 초반에 대한 정보와 형세판단은 감각이랑 경험에 의존을 많이 하는데 인공지능이 스스로 신수를 발견해서 두는 방식으로 두지는 않는다고 들었어요. 오히려 사람이 뒀던 수를 학습하여 따라서 두는데, 과거의 자료도 많이 학습하다보니 판후이와의 대결에서도 신형보다는 구정석 형태로 많이 두었고, 실제로 초반에 손해정석이라고 평가되는 구정석을 두기도 했다고 하네요.

타이젬에서 deepmind라는 아이디가 알파고의 일부 중 하나라고 생각되기도 하는데, 초반에 잘 두지 않는 수를 뒀을 때의 대응이 나빴다는 이야기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김성룡 9단의 평을 들어보면 초중반에 이세돌9단이 이득을 보지 못하면 후반전은 알파고가 더 강할 수도 있다고 평하던데, 저도 내일 대국이 기대가 많이 됩니다. 흐흐
이치죠 호타루
16/03/08 22:56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그렇다면 초반에 승부를 걸면 충분히 해볼만하다는 이야기가 되네요. 문제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이세돌이 초반이 절대 강한 선수가 아니라는 거고 말입니다...;;;
Sgt. Hammer
16/03/08 22:39
수정 아이콘
근데 컴퓨터한테 지면 안 되나요?
체스마스터가 컴퓨터한테 진다고 체스가 가치가 없는 것도 아닌데.
기술의 진보가 어느 정도인지 즐겨볼 생각입니다.
바둑은 문외한이라 결과만... ㅠㅠ
은때까치
16/03/08 22:42
수정 아이콘
체스가 인공지능에게 정복당한 이후로 체스인기가 급락했습니다.
바둑도 충분히 가능한 얘기죠.
Sgt. Hammer
16/03/08 22:44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바둑을 아예 모르지만 바둑 TV가 꼭 살아남길 기원합니다.
카미너스
16/03/08 22:49
수정 아이콘
컴퓨터가 인간을 지배한다는 내용의 소설은 오래 전부터 인기가 있었고
대중은 인공지능의 힘을 과대평가했고 대학 교수들은 연구비를 타먹기 위해 과대평가에 일조했으니까요.
그럴 때 "컴퓨터는 아직 바둑도 인간을 못이기잖아?"라는 반론이 심정적으로 효과가 있었던 만큼
바둑을 졌을 때 받는 마음의 충격도 상당할 것 같습니다.
딥마인드 측은 바둑 이기면 다른 분야에도 적용하겠다고 당당하게 밝히기도 했고요.
알파고가 당장 내일 한 판만 이겨도 인공지능 관련 주식이 폭등할 겁니다.
Sgt. Hammer
16/03/08 22:52
수정 아이콘
허구한날 인공지능 때려잡는 스타를 많이 봐서 그런가봐요 크크크...
인공지능이 대단하게 느껴지질 않다니!
매우 어려움이랑 싸우고 와야겠습니다.
부평의K
16/03/08 22:52
수정 아이콘
이번은 이야기가 좀 더 다른게...

현역에다 그 중에서 세계최강급 기사가 진다는건 그야말로 어차피 니들중에 이겨봤자 컴퓨터한테 안되는거 아니야? 가 되는거라...

작년 롤드컵기준으로 SKT가 사정으로 기권했다면 1위 한팀이 100% 최강으로 인정 못받을 수 있는것 처럼 말이죠
Sgt. Hammer
16/03/08 22:5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어차피 컴퓨터랑 바둑리그 할 것도 아닌데 큰 의미가 없다 싶긴해서요.
바둑은 프로리그는 어차피 드래프트식으로 매년 소속팀이 바뀌고, 개인리그는 한중일, 개중에서도 한중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기도 하다보니 패배한다고 타격이 크지는 않을 것 같은데...
제가 바둑을 아예 몰라서 뭘 말을 못하겠네영 흐흐
테임즈
16/03/08 22:56
수정 아이콘
제생각으로는 만약 이세돌이 진다면 타격 좀 있을거같습니다.
간만에 응답하라덕분에 바둑계에 훈풍이 불어왔는데 져버리면 그 호기를 놓치는 결과가 되겠지요
Sgt. Hammer
16/03/08 22:58
수정 아이콘
하긴, 너무 화제가 되었긴 하네요.
바둑 관심 없는 사람들도 승패 결과는 궁금할텐데 거기서 인간이 패배한다면...
부평의K
16/03/08 23:03
수정 아이콘
이게 참... 인간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마인드 스포츠라는 바둑이기에 충격이 더하죠.

창조주가 피조물에게 패배야 할 수 있다지만 적어도 자신의 몸을 단련하거나 정신을 연마하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말입니다.
Sgt. Hammer
16/03/08 23:15
수정 아이콘
최근 의족을 단 장애인 멀리뛰기 선수가 일반인보다 더 좋은 기록을 내면서 올림픽 참가 여부를 놓고 논란이던데...
묘하게 겹쳐보이는군요.
이제 인간은 스스로 창조해 낸 것들에게 육체도, 정신도 밀리는 시대가 오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릴리스
16/03/09 00:00
수정 아이콘
딥러닝을 통한 최근의 인공지능의 엄청난 발전은 인류 멸망을 걱정하게 만들 정도입니다. 이번에 알파고가 이겨줘서 전세계인에게 경각심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길 바라네요.
Sgt. Hammer
16/03/09 00:01
수정 아이콘
스카이넷이 내일모레라니 ㅠㅠ
릴리스
16/03/09 00:03
수정 아이콘
2045년 정도면 대부분 강한 인공지능이 완성될거라고 추측되고 있으니 그 이후에는 정말로 긴장타야할 것 같습니다. 물론 약한인공지능은 그 이전에도 생활 곳곳에 자리잡아 일자리를 빼앗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업자로 전락하겠지만요.
MoveCrowd
16/03/08 23:03
수정 아이콘
일단 알파고가 큰 그림을 그려온 건 맞습니다.
여러모로 알파고가 유리한 환경에서 하는 싸움입니다.
알파고는 잃을 것도 딱히 없고 말이죠.
릴리스
16/03/08 23:09
수정 아이콘
알파고가 5대0으로 이길 것 같고 이세돌이 한판이라도 잡는다면 그게 이변일 것 같네요.
믈론 이세돌을 응원하며 이게 역성지가 되길 바랍니다.

참고로 알파고가 다른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과 대전한 결과는 500전 499승 1패입니다. 이세돌은 실수를 할 수 있으나 알파고는 최소한 실수로 악수를 두진 않죠.
돌돌이지요
16/03/09 00:54
수정 아이콘
헐 그 정도인가요? 알파고가 5대영 완승 예상이시고 이세돌이 한판이라도 잡는다면 그게 이변이라니 기존의 통념을 완전히 뒤집는 결과네요
바둑은 문외한인데 그정도였나요?
릴리스
16/03/09 01:03
수정 아이콘
바둑기사들은 이세돌 완승을 예측하나 인공지능에 대한 통찰이 있는 사람들은 이세돌이 이번에는 이기긴 하겠지만 올해안에 이세돌을 추월할거라고 예측하는 형국입니다.

다만 저는 여기서 더 나아가서 이미 추월했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5대0이라고 개인적인 예측을 했습니다. 알파고는 하루에도 엄청난 수의 바둑을 다른 알파고와 두며 학습하기 때문에 작년 10월 대국의 기보를 통해 알게된 알파고의 실력은 예전의 실력일뿐입니다. 사람으로 치면 몇십년적 기력일껄요. 물론 이 사람은 뇌가 늙지않는 싱싱한 천재 신동이구요. 몇개월이 인간이 바둑실력을 성장시키기엔 매우 짧은 시간이지만 알파고에게는 엄청 긴 시간이라고 생각되며 지금쯤은 이세돌과 비슷하거나 아니면 이세돌을 추월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첫대국을 알파고가 이긴다면 5대0이 나올 것같네요.

속기로 두면 이세돌이 오히려 이길 가능성이 높았을텐데 시간도 넉넉히 준다니 알파고가 충분히 수를 읽고 대응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신있는팔랑귀
16/03/08 23:17
수정 아이콘
어차피 언젠가는 지긴 하겠지만, 이번은 아닐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단순한 바람일지도 모르겠지만요. 분명 판후이와의 대국에서는 프로 상위권과는 분명한 격차를 보인 것이 사실이고, 5개월의 시간이 있긴 했지만 획기적인 알고리즘의 변화가 없었다면 지금 당장 이길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이기도 하고요.

최근 알파고덕분에 네이버에서 중계한 농심배를 3만명인가 시청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이번을 기회로 삼아서 바둑이 조금은 더 흥했으면 좋겠네요
16/03/08 23:24
수정 아이콘
일단 알파고가 중간급 프로를 상대로 다전제에서 이길만한 수준까진 온 것 같습니다.

그 정도면.. 10번중에 1번 정도는 최상급의 프로들이라도 어쩌다 이길수도 있을 것 같은데.

하여간 드디어 하게 되네요. 내일이 기대됩니다.
레모네이드
16/03/09 00:09
수정 아이콘
구글에서 deepmind가 알파고임을 인정했다고 타이젬에서 기사가 나갔는데, 오후에 뜬 기사는 다른 내용이더군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6&aid=0001009127
알파고가 수에 따라 두는 시간이 다른가? 또 타이젬을 통해 훈련을 했는가?
▶ (하사비스) 알파고는 시간을 계산한다. 어려운 수는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타이젬은 개발자의 개인적인 계정이다.
일단 공식적으로 알파고와 deepmind의 연관은 부인됐습니다. 그리고 deepmind라는 아이디를 쓰는 영국인개발자는 1년전에 이미 타이젬7단의 기력을 가진 상당한 실력자였다고 하고요. 그리고 1년사이에 deepmind는 연구생출신강자들과 하위권프로들을 상대로 이길 수 있을 정도로 강해져서 나타났습니다. 이 정도가 확실히 밝혀진 사실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 설왕설래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deepmind의 기력상승속도가 믿기지 않을정도로 빠르고, 거기다가 그 deepmind의 id소유자가 알파고라는 희대의 바둑프로그램개발자다보니, 개발자가 알파고를 이용해 deepmind로 바둑을 두고 있다고 많이들 추측하시는 거 같습니다. 상당 수의 바둑계관계자들이 이에 대해 확신을 하신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7단인데 1년사이에 실력이 늘어서 9단이 될수도 있는 거 아니냐 하는 반문이 있겠지만 아무래도 인간의 경험 안에서는 믿기가 어려운 일이죠. 8단에서 9단다는 게 입문부터 8단되기보다 2배는 빡세다는 게 정설이니까요. 그 것도 영국인입니다. 한.중.일의 엘리트바둑교육과는 동떨어진 환경에서 프로빰치는 실력으로 성장했다는 게 사실이라면 정말 놀라운 일이죠. 그리고 5.7류의 사파식포석에 맥을 못추고 완패한 대국이 있다는 점 등 때문에 김찬우프로도 deepmind가 알파고일 확률이 높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고요.
개발자의 본신기력이 9단이 되었는가? 알파고를 이용해서 9단을 찍었는가? 이세돌과 알파고의 승패와 별개로 궁금한 부분입니다.

이번 승부에 대해서 프로기사들도 걱정을 많이 한다고 들었습니다. 이세돌이 지면 바둑 망하는 거 아닌가? 컴퓨터에게 지면 끝장인가? 이런 걱정을 한다는 데 김찬우프로가 말했듯이 바둑어플은 500개정도나 되지만 체스어플은 10000개가 넘습니다. 20년 전에 진 체스가 몰락했는가? 가끔 체스사이트들을 뒤져보면 그 방대한 저력에 감탄할 때가 많습니다. 한국은 체스세계랭킹이 100위권 밖인 국가라 여기서는 그 인기가 실감이 안 되지만 체스는 절대 망할 게임이 아닙니다. 체스가 아마 인기가 예전같지 않다면 슈퍼컴퓨터인 딥블루 때문이 아니라 다른 컴퓨터게임들이 더 잘나가서겠죠. 바둑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바둑의 매력은 바둑판에 담겨있는 컴퓨터가 구현할 수 없는 오묘한 이치가 아니라 뛰어난 오락성이 아닌가 싶네요.

이세돌의 5vs0승리 기원합니다. 알라단 승자예측투표했어요.
MoveCrowd
16/03/09 01:3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딥마인드는 알파고일 확률이 99.9프로죠. 만약에 아니라면 딥마인드 개발자가 딥마인드급의 기력향상능력자라는건데 이쯤되면 유럽 씹어먹고 세계기전 나올만 하다는 소리죠.
결론적으로 말이 안된다는 크크..
새로미
16/03/09 00:19
수정 아이콘
바둑은 오래전부터 관심이 많은 타이젬5단정도의 실력이고, 인공지능은 모르는데,
몇가지 근거로 이세돌 9단이 5:0으로 이기리라 생각됩니다.

1. 상대가 이세돌이다.
현재 이세돌은 1인자가 아닙니다. 현재 세계 1인자인 커제에게 최근 반년동안 세계대회 결승등 중요길목에서 4번연속 졌습니다. (커제는 이세돌뿐 아니라 최근 죄다 이기고 있는게 함정..)
구글이 상대를 이세돌로 발표 했을때, 그전에도 이겼고 그 이후에도 이겼습니다. 가장 최근에 2016년 3월5일에 5억원이 걸린 단체전 최종전에서도 커제에게 졌죠 ㅠㅠ...
구글이 이길 자신이 있었다? 그럼 이세돌이 아닌, 커제를 상대로 했거나, 아니면 적어도 좀더 세계대회 근황을 지켜보고 상대를 골랐을겁니다.
지금상태에선 이세돌을 이겨도 1인자커제와 리턴매치 해야될겁니다.
제 바램이기도 한 추측인데, 아마 구글은 질 것은 알고 있었기 때문에,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는 이세돌을 선택했을겁니다.

2. 정상에 다다를수록 실력은 올리기 힘듬.
어느분야든 마찬가지지만, 일정수준이 되면 더이상 올라가기 극도로 힘듭니다. 바둑 일류 고수들은 기보만 보고도 실력이 어느정도인지 대강 파악이 가능한데, 판후이를 상대했던 알파고의 실력은 한참 부족한 수준입니다.
스스로 계속 공부하며 실력을 올린다고 하는데, 한계가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체스분야에서 또한 벌써 몇십년전에 인공지능이 이겨서 지금은 상대도 안될줄 알았더니,
그당시 카스파로프 vs 딥블루 대결에서 딥블루는 '간신히' 이긴정도이고 지금도 체스인공지능은 인간을 쉽게 이기지는 못합니다.
하물며 더욱더 복잡한 바둑의 최정상실력에 다가가기엔 더욱더 힘들것 이라 예상합니다.
레모네이드
16/03/09 00:32
수정 아이콘
지금은 체스엔진이 인간을 압도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elo레이팅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https://www.chess.com/news/komodo-beats-nakamura-in-final-battle-1331 요새는 핸디캡매치를 하나보더군요.
포프의대모험
16/03/09 00:31
수정 아이콘
이번에 방어해도 길어야 3년 아닐까요
릴리스
16/03/09 00:32
수정 아이콘
전문가들은 지금 이세돌이 이기더라도 올해안에 알파고가 인간을 뛰어넘는다고 대부분 예측하더군요. 하지만 이번 대국은 이세돌이 이길거라는 예측이 많았습니다.
고래상어
16/03/09 00:44
수정 아이콘
잘 정리된 글 감사합니다. 전 알파고 4:1 승 예상합니다.
레모네이드
16/03/09 00:59
수정 아이콘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16&no=179665 믿거나 말거나 재미있는 기사가 있어서 퍼왔습니다.

'김대식 카이스트 박사는 구글 측에 "너희가 절대 불리하다고 한다. 한국기원은 자신감이 넘친다"라고 전화했더니 재미 있는 답변이 돌아왔다. "물론 그럴 테지. 그런데 우리는 조(兆) 단위 가치가 있는 비즈니스를 단돈 100만달러에 샀다. 우린 1억달러(1200억원)를 불러도 줄 준비가 돼 있었다. 우린 횡재했다." '

1억달러랍니다.
카미너스
16/03/09 10:02
수정 아이콘
100만달러면 바둑 대회 최고 상금이라 생각하고 불렀을텐데 천조국 성님들한테는 푼돈이었네요.. 세돌이 호구행..
아이폰6s Plus
16/03/09 01:14
수정 아이콘
인간이 즐기는 게임에 인공지능이 끼어드는건 싫으네요. 여기서 인공지능이 이겨버리면 이것이 나비효과가 되어 바둑계에 어떤 안좋은 영향을 미칠지도 모르고 말이죠.
16/03/09 01:35
수정 아이콘
제가 듣는 팟캐스트에 조혜연9단이 나왔는데 몇가지 기억나는 얘기만 적어보면..

구글이 먼저 인간쪽에 유리한 룰로 제안함.(초읽기? 이건 제가 바둑을 몰라서)
알파고 이전 인공지능은 형세가 불리할 때 급속하게 무너져서 인간의 상대가 되지 못했음.
알파고가 축적하고 있는 기보는 15만판. 사활문제는 약 3천만
최근 정상급 기사중에 영국으로 여행갔다온 사람이 꽤 있더라는 카더라..
현재 알파고는 1시간에 한 판씩 24시간 내내 스스로 대국하며 학습중.

아무튼 결론은 이세돌9단이 실수하지 않으면 5:0승으로 예상.

여담인데 패널 중에 한 분은 이세돌이 일단 3연승 한 뒤에 굉장히 모험적인 수를 두다가 한 판 정도 질 것 같다고 예상하더군요. 약간 튀는 평소 모습을 생각하면 나름 설득력이 있는듯. 후후..
MoveCrowd
16/03/09 01:41
수정 아이콘
7.5집 룰부터가 저는 알파고에게 상당히 유리하타고 느꼈는데 말이죠.
7.5집은 백이 더 우세한 싸움이라는게 통계적으로 나와있고 알파고가 익힌 7.5집 바둑이 훨씬 많고 안정적일겁니다. 이세돌도 갑조리그를 치루지만 생각보다 집수나 규칙 계산이 종국 초일기에서는 헷갈리니까요.

이번 대전은 한 판만 이겨도 흥행한 이벤트라 알파고측이 설정한게 아닐까 싶네요.
16/03/09 01:58
수정 아이콘
댓글에 달아주신 링크뉴스들 참 재미지게 봤네요~
뉴스들을 보고나니 이세돌 9단이 5:0으로 이길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인공지능이 수학문제를 풀듯이 어떤 확실한 답이 있고 그 답을 향해 상대방에게 대응해가면서 길을 찾아가는 느낌으로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군요.
과거에 있던 수 많은 기보를 이용해서 확률적으로 선별해서 최적의 수를 내놓는 확률의 문제..
예전에 이러할때 이러했으니 이렇게 하는게 이길 확률이 높아! 라는 데이터를 무지막지하게 쌓고 상황에 따라 신뢰도를 측정해서 선별하는게 맞는거죠?

사람이 바둑판을 바라보는 시선과 알파고가 바라보는 시선은 전혀 다른 느낌인 것 같군요.
아직까지는 인공지능이 수를 창조한다고 느낄수는 없을 것 같네요. 나중에 인간을 뛰어넘으면 인간이 보기에도 창조적인 수로 느껴질 가능성도 있겠지만요. 인간의 직관과 상상력이란 틀에서 나오는 수들을 확률의 범주내에 품고 커버할 수 있는 지경으로 발전한다면요..

정말 위에 어떤 분이 말씀하신것처럼 드래곤볼이 떠오르네요. 강한상대를 만나고 사지에 몰리면 더 강해진다!!
...그런데 마인부우를 만나기 직전에 싸운상대가 셀이 아니라 피콜로대마왕 시절이었다면, 끔살당하는게 아닐까 싶어요 크크크
16/03/09 03:40
수정 아이콘
5대0으로 이세돌 승리 예상합니다. 실수나 모험으로 4:1정도는 나올런지도 모르겠네요.

딥러닝이 최근에 비약적인 컴퓨팅성능의 향상과 함께 각광받고 있지만 근본적인 아이디어와 이론자체는 이미 수십년전에 완성되어 있던걸 쓰는것이고 근래에 뭔가 새로운 종류의 인공지능 방법론이 등장한 것이 아닙니다.

옛날에 잘안되었는데
시피유 메모리가 많이 업그레이드 되었으니 다시해볼까
다시해보니 기대보다 잘하더라
게다가 빅데이터가 축적된게 많아 학습시키기도 훨씬 용이해졌네.

이정도가 요즘의 머신러닝이 떠오르는 상황을 요약할수 있겠죠.

무엇보다도 학습으로 성능을 향상시킬수있는정도가 무한정있는게 아닙니다.
근본적으로 신경망 모델이 가진 네트워크의 노드마다 있는 가중치를 학습을통해 조정해나가는게 딥러닝의 본질이고
한계가 넘어서는 학습을 시킨다고 실력이 늘지않습니다. 오히려 실력이 떨어지죠.
컴퓨팅파워를 늘린다고 상황이 나아지는것도 마찬가지로 한계점이 있고
어느순간이 오면 근본적으로 신경망의설계를 바꿔야만 하는 상황에 도달합니다.

강아지에게 아무리 학습을 시켜도 향상안되거나 아예 배울수없는 한계지점이 있는것과 마찬가지죠

문제는 바둑이라는 게임이 가진 깊이가 알파고의 신경망모델이 가진 학습용량(학습으로 실력을 올릴수있는한계지점)으로 커버할수있느냐의 여부겠지요.
저는 인공지능은 좀 알고 바둑은 잘모르지만 바둑이 가진 게임의 깊이가 벌써 바닥을 드러내리라 보지않습니다.
ohmylove
16/03/09 04:15
수정 아이콘
딥러닝의 아이디어, 이론 등
컴퓨터 인공지능 방법론의 현황에 대해서 잘 알 수 있는 경로가 있을까요?

그리고 바둑이 확실히 체스보다는 깊이가 훨씬 깊은 것 같군요. 아니 어쩌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게임 중에서 가장..
16/03/09 06:27
수정 아이콘
최신 인공지능 방법론을 보고 싶으시면
알파고 알고리즘 관련 자료를 보시면 될듯 합니다(제가 위에 올린 링크도 있고;;;)
알파고가 최신 인공지능 방법론 집대성입니다
CNN, Reinforcement Learning 요렇게가 근래에 break through 한 알고리즘들인데
알파고가 그걸 다 썼습니다.
ohmylove
16/03/09 10:1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스무디킹
16/03/09 05:07
수정 아이콘
이세돌 흑번일때 첫수로 천원 한번 둬주면 좋을텐데요..
소신있는팔랑귀
16/03/09 10:2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거에 더해서 흑번으로 천원 놓고 흉내바둑 뒀을 때 알파고가 어떻게 깨는지 보고싶기도 합니다. 흐흐
품아키
16/03/09 09:10
수정 아이콘
전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했을지가 궁금할 뿐...
도라귀염
16/03/09 09:13
수정 아이콘
deepmind 최근 기보 보면 한국 100위권 프로한테도 아직 힘든 수준입니다 잘하면 한판따는 정도라고 봐야죠
율리우스 카이사르
16/03/09 15:06
수정 아이콘
구글이 인공지능에다가 자동운전 하고 있으니, 다음 수순은 F1 사이보그 레이서 우승 이려나요? ;;;;
16/03/09 16:48
수정 아이콘
아스라다!!!
16/03/09 16:44
수정 아이콘
첫번째 대국은 알파고의 승리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996 [일반] 바둑이라는 게임의 깊이, 그리고 인공지능. [8] Quantum5481 16/03/10 5481 4
63994 [일반] 사과하면 죽는 병. [40] 세인트7891 16/03/10 7891 12
63993 [일반] 차단 시스템 이렇게 개선하면? [71] 에버그린4638 16/03/10 4638 0
63992 [일반] 피에스타/비스트/거미/우주소녀/JJCC의 MV와 레드벨벳의 티저 이미지가 공개되었습니다. [11] 효연덕후세우실5591 16/03/10 5591 0
63991 [일반] (인터넷) 개인 방송에 대한 심의 문제 [106] 수면왕 김수면8165 16/03/10 8165 4
63990 [일반] 노를 젓다가 [7] Colorful3308 16/03/10 3308 13
63989 [일반] 한 달 쉬었습니다. [7] 캡틴백호랑이4746 16/03/10 4746 6
63988 [일반] 캐치 유 타임 슬립! - 8 튜토리얼(7) (본격 공략연애물) [6] aura3171 16/03/10 3171 3
63987 [일반] 점점 그럴 나이 [23] The xian4594 16/03/10 4594 6
63986 [일반] 알파고와의 나머지 4게임은 잔인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2] 릴리스11854 16/03/10 11854 6
63985 [일반] 출사 :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16 (4. 쫓는 자와 쫓기는 자) [35] 글곰4355 16/03/10 4355 64
63984 [일반] 2001 스페이스 오뒷세이 - 1 [48] 王天君5423 16/03/10 5423 5
63983 [일반] 王天君입니다. [336] 王天君24466 16/03/09 24466 50
63981 [일반] 지하철에서 [82] 누구겠소6977 16/03/09 6977 52
63980 [일반] 독일에는 쾨니히스베르크가 없다? - 쾨니히스베르크 + 폴란드 이야기 [26] 이치죠 호타루7500 16/03/09 7500 18
63978 [일반] [3.9]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박병호 스프링캠프 2호 솔로 홈런) [4] 김치찌개4297 16/03/09 4297 0
63977 [일반] 독일언론에서 긁어오기 - 알파고 [19] 표절작곡가8314 16/03/09 8314 3
63975 [일반] 음.......알파고의 승리라 [96] 삭제됨11401 16/03/09 11401 2
63973 [일반] [알파고] 한 산업이 붕괴되는 순간.. [244] AraTa_Justice17694 16/03/09 17694 11
63972 [일반] 중국 무술 영화의 세계 [17] 럼즈알엔10224 16/03/09 10224 14
63971 [일반] 알파고의 대국 메커니즘 [75] 꼭두서니색39064 16/03/09 39064 39
63970 [일반] [바둑] 인공지능의 도전 제1국 알파고 불계승 [103] 낭천12448 16/03/09 12448 0
63969 [일반] [야구] 넥센히어로즈 조상우 인대접합-피로골절 수술 [19] 이홍기4247 16/03/09 42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