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7/03 14:05:48
Name 及時雨
Subject [콘솔] 블래스터 마스터 제로, 클래식한 메트로배니아의 재미 (수정됨)





메트로배니아라는 단어는 흔치 않게 2개의 게임 이름이 합쳐서 아예 장르를 나타나게 된 단어입니다.
정해진 던전 안에서 맵을 보며 탐험한다는 기본적인 틀을 잡아준 메트로이드와 캐슬배니아에게 빚을 지고 있는거죠.
정작 이 두 시리즈는 메인스트림에서는 밀려나버렸습니다만, 장르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재미는 여전히 빛을 잃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21세기 들어 액션 게임에서는 메트로배니아 장르의 게임들이 자주 나타나고 있을 정도니까요.



오늘 소개해보려 하는 게임인 블래스터 마스터 제로 또한 이런 메트로배니아 스타일의 게임입니다.
다만 좀 거슬러 올라가 기원을 따져보면, 이 게임 또한 메트로배니아계의 조상님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이 게임은 1988년 발매된 초혹성전기 메타파이트라는 게임의 리메이크 겸 후속작이거든요.
고전 명작들을 다수 제작했던 썬소프트의 작품이었는데, 메트로이드와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는 망하고 북미 지역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북미 발매명이 바로 블래스터 마스터였고, 이후 북미 시장을 겨냥해서 후속작이 몇 작품 더 나오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는 해도 한물 간 게임이 20년 넘게 지나서 갑자기 도트 그래픽 그대로 리메이크가 되었는데...
이게 생각보다 엄청 재밌네요.
기본적으로 원작 블래스터 마스터의 게임성 그대로, 탱크를 타고 맵을 탐험하는 게임입니다.
그러다 던전을 찾으면 파일럿만 내려서 전투를 하기도 하고, 탱크를 타고 거대 보스와 싸우게 되기도 하고요.
스토리도 대단히 심플하고, 게임 플레이 또한 전형적인 메트로배니아에서 벗어나질 않습니다.
그런데도 탱크와 파일럿을 오가며 다양한 무기들로 적을 상대하다보면, 메트로배니아가 가지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매력이 무엇인지 새삼 느끼게 되더라고요.
뮤턴트와 싸우며 다양한 맵을 탐험하고, 하나씩 장비를 갖추며 강해지고 끝내는 세상을 구하는 이 과정 자체가 하나하나 다 즐겁습니다.



1, 2편 모두 만원 남짓한 가격에 불과한데, 두 게임 모두 엔딩까지 정말 즐겁게 플레이했습니다.
플레이 타임은 두 작품 모두 10시간 정도 나왔네요.
원래 1편은 닌텐도 3DS로 나왔었는데, 이후 스팀 / 스위치 / PS4까지 대부분의 플랫폼에 이식되었습니다.
정가도 만원으로 저렴한데, 지금 스팀에서는 30% 세일 중이라 2편 다 사도 만 오천원이면 되네요.
한국어 지원이 없는게 아쉽기는 해도 메트로배니아와 패미컴 스타일 그래픽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아마 충분히 만족하실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너무 좋아서 2편 깨자마자 탱크 소피아 비즈까지 만들었습니다.
2편 엔딩에서 3편 암시를 강하게 넣었던데 부디 잘 팔려서 3편도 재밌는 게임으로 돌아오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ghtBringer
20/07/03 14:39
수정 아이콘
스샷의 킹오파 98 장패드가 더 눈에 가는군요...
及時雨
20/07/03 15:20
수정 아이콘
보는거 좋아합니다 크크
티모대위
20/07/03 15:07
수정 아이콘
비즈 정말 이쁘네요.
저도 스위치 처음 살때부터 눈독들이던 게임입니다. 지금도 위시리스트에 있는데, 세일 좀 쎄게 들어가면 바로 사려고요. 아직까지는 이거 할 여유가 없어서 기다리고 있지만..
及時雨
20/07/03 15:21
수정 아이콘
저는 1편 3DS에서도 사고 스위치에서도 샀는데 2번 해도 재미있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03553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74081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41266 13
81092 [LOL] 하이프 인터뷰에서 느끼는 CL과 LCK의 차이 [1] 쿨럭2102 25/04/12 2102 0
81091 [LOL] 5월 7일에 출시된다는 페이커 코인 [14] 윌슨 블레이드3483 25/04/11 3483 0
81090 [스타2] 스타크래프트 2, EWC 2025 정식 종목 참가 [3] 及時雨2625 25/04/11 2625 4
81089 [LOL] 오늘 T1의 선발 원딜은 Smash 입니다 [285] EnergyFlow16515 25/04/10 16515 4
81088 [기타] 역사상 최고의 게임, 마인크래프트 [58] 하이퍼나이프12126 25/04/09 12126 7
81087 [기타] 마비노기 찍먹겸 뉴비입장에서 써보는 직업 추천 [37] 겨울삼각형11818 25/04/08 11818 0
81086 [LOL] LCK 프랜차이즈 가입비 33% 감면 [43] newness13404 25/04/08 13404 0
81085 [스타1] [스타1vs스타2] 4/12(토) 팀배틀 참가자 모집 HLSJ7212 25/04/08 7212 0
81084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3주 3일차 경기 요약 [6] 일렉트5767 25/04/07 5767 0
81083 [콘솔] 게임패스로 떠난 작은 여행 [4] 초모완3867 25/04/07 3867 5
81082 [스타1] ASL 시즌19 16강 조지명식이 완료되었네요. [14] JILLSTUART2795 25/04/07 2795 2
81081 [라스트오리진] 라스트오리진의 미스오르카 소식 [2] 용자마스터2357 25/04/07 2357 3
81080 [발로란트] 잘하지만 항상 조연으로 남는 팀, M80 [1] 일렉트2186 25/04/07 2186 0
81079 [기타] 마비노기 주말 던컨섭 상황 [27] 겨울삼각형4484 25/04/07 4484 1
81078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3주 2일차 경기 요약 [4] 일렉트2302 25/04/07 2302 0
81077 [LOL] 젠지 승?천! [139] 김삼관10491 25/04/06 10491 8
81076 [발로란트] 젠지 부!활!(?) [1] 김삼관3904 25/04/06 3904 2
81075 [LOL] 2025 LCK 개인적인 흥미 포인트 [18] 기다림...그리6585 25/04/06 6585 3
81074 [기타] BAFTA,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게임 TOP 21 공개…1위는 '쉔무' [52] 카미트리아5950 25/04/05 5950 1
81073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3주 1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2508 25/04/05 250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