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7/29 18:09
비리비리 영상 게시자가 남긴 댓글이 참고가 될 것 같아서 가져와봅니다
**레드 진영 럼블(Rumble)**은 실제로 피해량 손실 문제가 존재합니다. 이 문제는 레드 진영 럼블을 사용하는 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경기의 흐름과 승패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저는 어느 경기에서든 이 버그만 없었으면 반드시 이겼다고 말한 적 없습니다. 항상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퍼가실 때 “가능성”이라는 단어를 임의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 오해를 주지 말아주세요. 저는 faker나 T1을 겨냥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faker는 국제 대회(롤드컵 토너먼트, MSI 4강/결승)에서 해당 게임에서 팀원이 레드 럼블을 썼다가 최종적으로 경기 전체를 진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faker가 영향받았던 주요 경기들은 Bo5 시리즈에서 대부분 승리했습니다. 단, S5 MSI 결승만 예외입니다. 예시로: S5 결승 2세트: Marin이 레드 럼블을 쓰고 KOO를 이김 S5 MSI 4강 SKT vs FNC: 양팀 모두 레드 럼블 사용 → SKT 승리 S7 MSI 결승 4세트: Huni가 레드 럼블로 G2 승리 2023년 EWC 4세트: Zeus가 레드 럼블로 TES 승리 S14 8강 T1 vs TES: 1·2세트 모두 버그 영향 있음 → T1 3:0 승리 유일하게 진 것은 S5 MSI 결승 2세트였고, 이 경기는 Easyhoon이 출전했습니다. T1은 조별리그나 LCK에서는 레드 럼블을 사용하고 패배한 사례가 있지만, 국제대회 토너먼트에서 faker가 있는 라인업은 해당 버그에 영향을 받아도 졌던 적이 없습니다. 이건 우연이 아니라 T1, 특히 faker 팀의 실력이 워낙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저는 faker를 매우 존경합니다. 저는 LPL을 편드는 것도 아닙니다. IG, FPX, EDG, DWG, DRX가 우승했던 해는 토너먼트에서 레드 럼블이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S5 결승, S11 MSI 결승 등 LPL이 LCK를 이긴 중요한 경기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이전 영상 제목에 작년 결승을 쓴 이유는, 해당 경기가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가장 영향력 크고 시청자 수가 가장 많았던 경기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중대한 경기에서 선수들이 버그로 인해 제대로 된 경기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고, 많은 이들이 이 버그와 e스포츠의 공정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길 바라는 마음이었습니다. 제가 줄곧 주장한 것은 단 하나입니다: 이 버그는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됩니다. 버그 때문에 피해 본 무고한 선수들에게는 라이엇이 책임이 있습니다. 승패를 떠나, 이 버그는 모든 팀, 선수, 일반 유저에게도 큰 영향과 상처를 줬습니다. 라이엇이 하루빨리 이 버그를 수정해주기를 바랍니다.
+ 25/07/29 19:10
이정도면 럼블 완전 갈아엎어야 할수준인거 같은데... 강제 리워크 당할듯
당장 내일부터 어찌할지.... 지금 CL은 럼블나오고있고 크크
+ 25/07/29 19:38
럼블도 유명한 렝가덩어리죠
그 옛날 화방 5틱짜린데 무려 2틱이나 더 들어가던 버그가 아직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럼블 해 본적도 없는데 골라서 탑가고 리븐한테 두번 솔킬당했는데 바로 화방으로 긁다보니 솔킬을 역으로 따버리더라니까요?!
+ 25/07/29 22:06
아니 이게 설마
레드 챔피언 한벌 블루 챔피언 한벌 코드가 같은게 두벌있는데 한쪽 수치만 수정이 안되어있는... 뭐 그딴식으로 개발되어있는건가...?
+ 25/07/29 22:13
레드 럼블이 안좋다는게 옛날부터 유명했는데 그게 궁까는게 어렵다같은 이유로 안좋다고 하는거였는데 진짜로 버그가 있어서였다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