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1/16 03:57:42
Name amiGO
Subject 팀리그와 프로리그
현 리그가 과연 팀리그로 바뀔수 있을까요?
오늘 뒷담화에 나온 얘기중에 현 감독들이 대부분 지금 현리그방법에 대한 변화를 원한다던데 전혀 몰랐던 사실이어서요.
아무래도 예전 프로리그강자지만 지금은 아닌 KTF나 SK감독님들이 아닐까 싶네요.

만약 팀리그로 바뀌게 될가능성이 생겨서 바꿀수 있다면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제가 생각해본 점은 몇가지 있는거 같네요.
1.팀플의 유무
2.다양한 선수출전의 미보장
3. 흥미를 끌도록 하기위한 기타 방안
4. 만약 3번으로 인하여 경기가 복잡해지는 경우 해결방안


일단 제가 한번 생각해본 바로는,
1.팀플은 없어지지 못할것 같다.
-팀플이 어느정도 자리잡은 이상 팀플을 완전없애는 방법은 시도되기 힘들것 같습니다. 굳이 팀플을 넣어야 한다면 뒷담화에 나온 1세트를 주고 하는 방법도 좋은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경우 5전 3선승제에서 개인전은 2번만 이기면 되기때문에 이전의 팀리그방식과는 조금 달라지겠지요. 올킬의 명예도 조금 퇴색할테구요.
아니면 6전 4선승제로 하여 먼저 4점을 딴 팀이 이기는겁니다.(팀플1경기, 개인전 5경기) 만약 3:3이 된다면 무승부 처리를 하는거죠. 이방법으로 할경우에는 '무승부'라는 특성상 때때로 김빠지는 결과가 나올수도 있다는점을 들수 있습니다. 총경기시간도 증가할테구요.

2.경기수가 2배로 늘어났기 때문에 이전의 팀리그보다는 2배의 선수를 내보낼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전경기의 출전한 선수를 다음경기 출전하지 못하게 한다거나, 1승이상의 선수를 출전하지 못하게 한다거나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죠. 이럴경우 르까프같은 주전선수끼리의 실력차이가 많이 나는 팀은 다소 고전할수 있겠네요.

3.왜 항상 '올킬'만을 추구하는가?
예를 들면 프로리그와 비슷하게 승자팀도 다음세트에 새로운 선수를 출전하도록 구성하는 방법
1세트 팀플승자팀의 권한 -> 2세트에 나온 상대팀선수를 보고 맞춤선수를 내보낼수 있다.
2,3,4세트 개인승자팀의 권한 -> 패자팀에서 나온 다음선수를 보고 '원한다면' 자기팀선수를 바꿀 기회를 부여
---> 이경우에는 기존의 팀리그에서의 패자팀에게 주워졌던 상대맞춤대응이 승자쪽으로 넘어간경우로써 승자팀에게 오히려 승리를 유도하는 방법인데, 아무래도 상향평준화된 지금 리그에서 패자팀에게 권한을 강화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올킬이라는 특수성은 사라지겠네요.
사실 올킬이라는 시스템은 팀리그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수 있을 것입니다. 프로리그에서는 3:2경기가 나오면 가장 재미있다고 하지만, 팀리그에서는 3:2뿐만아니라 3:0도 가장 재미있는 경기가 될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간이 지난후에 두고두고 회자될수 있는 요소들을 제공하죠.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저는 가장 중요한것은 바로 4번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스타매니아뿐만 아니라 일반 시청자로 볼수 있게 하기 위해선 가장 중요한 점은
'복잡하지 않아야 한다'
이고 지금의 프로리그는 이점은 확실히 부합해 왔습니다.
복잡함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차라리 지금의 프로리그가 나을수도 있습니다.

현재 곰TV가 프로리그의 확대에 큰 기여를 했으며 이를 더큰 재미로써 부합시킬수 있다면 팀리그로 바꾸는것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짜피 협회관계자들이 팀매치를 줄이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프로리그는 명경기만 남지만, 팀리그는 명경기와 명선수를 모두 남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ynamicToss
07/11/16 04:33
수정 아이콘
아무리 외쳐도 협회가 물러가지 않는 이상 팀리그 다시 나타날리가 만무하죠
협회가 팀리그를 없앳고 프로리그를 통합했으니..
팀리그를 다시만들려면 일단 협회부터
07/11/16 05:22
수정 아이콘
복잡하지 않아야 한다 공감입니다.
信主NISSI
07/11/16 07:13
수정 아이콘
저는 팀리그 방식에 반대하는 편입니다. 토너먼트대회의 방식에 어울리는 제도죠.

개인적으로는 '포스트시즌'을 없애고, 가을에 0X-0X시즌 전기리그, 겨울에 케스파컵 팀배틀, 봄에 0X-0X시즌 후기리그, 여름에 그랜드파이널로 진행했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히 그랜드 파이널보다 '광안리에서의 우승'이 더 중요한것같아요. ^^;; 뭐 포스트시즌을 없애지 않더라도 현재의 주5회라면 충분히 소화가능한 일정이구요...(컵대회 기간을 좀 늘리는대신 조금은 타이트하게해야겠지만.)

이런식으로 '섞여 들어가는'방식의 팀배틀이 아니라면, 그다지 동의하지 않습니다. 1경기 팀플이후 팀배틀은 매우 안정적인 방식이지만, 소수에게 부담이 가중되는 점은 여전히 남습니다. 또 리그방식에 어울리지 않는이유가, 이길때 첫선수로 끝내면 더 나은 점수를 얻기 때문에 에이스들이 초반에 나올 가능성이 높아져서 많은 선수들을 볼 수 없는 점이 있죠. 토너먼트방식이라면 '승점'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기때문에 낫겠지만요.
07/11/16 08:37
수정 아이콘
信主NISSI님// 정말 광안리를 통합 우승으로 하는건 백배 공감합니다 -.- 그랜드 파이널이 열리는 시점은 스타 경기들이 쉬는 시점이라 살짝 뜬금없고, 광안리 우승을 해야 매스컴도 타고 진짜 뭔가 이룬 느낌이죠. 사람들도 날씨 적당해서 많이 오고요.
07/11/16 12:22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프로리그와 팀리그에 대해 생각해 오던 게 있었는데 댓글로 남겨봅니다.

프로리그와 팀리그를 둘 다 살릴 방법이야 간단하죠.
예전처럼 돌아가서 둘 다 같이 하면 됩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온겜에선 프로리그 방식대로 하고 엠겜에선 팀리그 방식으로 하면 되는거죠.
그냥 간단히 말해 양대리그를 하는거죠.
방송사도 2개니까 편하잖아요.

미국프로야구엔 네셔널리그와 아메리칸리그가 있고 일본프로야구에 퍼시픽 리그와 센트럴리그가 있듯이 프로리그에도 프로리그와 팀리그가 있다 생각하면 됩니다.
똑같은 야구를 하지만 리그마다 조금씩 다른 방법이죠.
네셔널리그에선 투수가 타자 역할을 하지만 아메리칸리그에선 지명타자제도를 쓰기 때문에 투수는 투구에만 열중하면 됩니다.

프로리그에선 팀플이 있는 가운데 선수당 한게임씩 하면서 에결은 중복 출전 가능하고 팀리그에선 올킬이 가능한 제도.
똑같은 스타크래프트 게임을 하지만 각 방송사(리그)마다 다른 방식을 통해 팬들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준다.^^



그럼 어떻게 두 리그를 운영하느냔데

현재정규리그는 12팀이 각 리그 때마다(전기, 후기) 서로 2게임씩 해서 성적이 좋은 상위 4팀이 포스트 시즌을 합니다.
양대리그로 하게되면 현재 방식과 경기수가 달라서 문제시 될 수가 있는데 결론적으로 말하면 경기수는 같습니다.


우선 앞에도 말했다 시피 각 리그별로 6팀씩 나눈다고 했습니다.
일단 각 리그에 포함되어 있는 6팀이 서로 한 게임씩 합니다. 이렇게 되면 각 리그에 속해 있는 팀당 1게임씩 하게 되는거죠.
그 다음은 인터리그에 들어가는 겁니다.
프로리그에 있는 팀이 팀리그가 있는 팀 쪽(히어로센터가 되겠죠?)에서 게임을 할 때는 팀리그 방식으로 하고
반대로 팀리그에 속해 있는 팀이 프로리그가 있는 팀 쪽에서 게임을 할 때는 프로리그 방식으로 합니다.
이렇게 되면 자기가 속해 있는 방속국에서 한 게임, 다른 방송국에서 한 게임씩 하니까 양대리그에 있는 팀들끼리 서로 2게임씩 하게 됩니다.
인터리그가 끝나면 다시 각 리그에 속해 있는 팀들끼리 마지막으로 한 게임씩 더하면 한 리그(전기나 후기)가 끝나게 되는겁니다.
지금과 경기수는 똑같습니다. 한 리그(전기, 후기)마다 서로 2게임씩 치루는건 똑같습니다.

다음으론 포스트 시즌 문제입니다.
각 리그 6팀중 상위 3팀을 정하던지 2팀을 정하던지 포스트시즌을 해서 각 리그 우승팀끼리 결승을 치루던지 아님 각 리그 1위끼리 결승을 치루던지는 뭐 사람들이 좋아하는 방향으로 하면 되겠지요.

문제는 결승전인데... 결승전을 어떤 리그의 방식으로 하느냐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프로리그 방식 1번 팀리그 방식 1번 이렇게 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에 인터리그를 통해서 결승전 방식을 정하는 겁니다.
인터리그를 통해 성적이 좋은 리그 쪽 방식으로 하는 겁니다. 간단히 말해 각 리그에 속해있는 팀들의 인터리그 동안에 거둔 승수를 비교해서 승수가 많은 리그 쪽의 방식으로 결승전을 치루는 거죠. 현장 방송 문제는...그것까지는 모르겠군요.

이래저래 글이 길지만 간단히 요약하면
1. 방송사별로 리그 방식을 달리한다
온겜-프로리그 엠겜-팀리그
2. 현재 12팀을 각 방송사별로 6팀씩 가른다.
방법은? 온겜과 엠겜이 일단 나누어지고 나서 각 팀들을 뽑는 방식이나 그냥 랜덤으로 돌리거나 협회에서 알아서 하세요.
3. 인터리그를 통해 서로 다른 리그를 경험(?)해 본다.
4. 인터리그 성적이 좋은 리그 방식으로 결승을 한다.

ps. 프로리그는 5판3선승제인데 팀리그는 7판 4선승제로 했으면 합니다. 팀리그는 5판보다는 7판이 훨씬 재미나고 좋더라구요.
Saturday
07/11/16 14:08
수정 아이콘
제일 좋은건 팀리그와 프로리그를 함께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두개다 좋아하고 각자 특성이 있는 리그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공존하는 방법에대해 하나 써보려고 합니다.

전기리그 후기리그 팀리그방식 프로리그방식
혹은 그 반대로 진행을 한다음
그랜드파이널을 전기 후기리그 우승자 매치업으로한다.

여기서 중요한 그랜드파이널 방식은
승점을 계산해 승점이 높은 팀이 이긴리그 방식으로 합니다.

혹은 야구처럼 시리즈를 둬서
첫날 프로리그 혹은 팀리그 5선3선승제
둘쨋날 팀리그 혹은 프로리그 5선3선승제
승부가 결정지어지지 않는다면 승점을 계산해 승점이 높은 팀이 이긴리그 방식으로 7선4선승제

팀리그에 팀플은 너무 억지로 끼워넣는다는게 대다수의 의견인것같고 그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팀플전담게이머들 배려를하는게 아니라 요즘 시스템은 팀플전담게이머들의 수명을 갉아먹는것 같습니다.
07/11/16 14:25
수정 아이콘
소위 말해 '감독의 역량'이란게 발휘되려면 지금 프로리그 체제는 바뀌어야죠. 지금 프로리그는 정말 재미 없습니다. 팀플은 전혀 안보기 때문에 없어졌으면 좋겠지만, 굳이 넣어야 한다면 그 기자분 말씀대로 1경기에 넣어서 약간의 어드벤티지 정도만 가질 수 있게 하는게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경기 시간은 5전 3선승이 적당할거라 생각하지만, 예전 7전 4선승제의 재미를 잊을 수가 없어서 망설여 지는군요. 8시에 시작하고 6,7차전 가면 10시~11시 가까이 되는데, 대부분 학생들은 자리를 뜨고, 남아있는 사람들도 안절부절 했던게 사실이죠.
07/11/16 15:27
수정 아이콘
advantage를 왜 줍니까? 똑같은 한경기인데 팀플에 더 비중을 두는 것은 어떠한 이유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1경기에 고정하고 그다음부터 팀배틀 했으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859 팀리그, 케스파컵에서 일단 제대로 해봐라 [4] amiGO3949 07/11/16 3949 0
32858 올드 맵과 올드 프로게이머?? [19] 우리는-ing4263 07/11/16 4263 0
32857 저그의 딜레마 - 운영과 공격사이의 줄타기 [7] Mr.쿠우의 절규4125 07/11/16 4125 1
32855 진영수선수 스나이퍼 답네요 [114] 태엽시계불태6430 07/11/16 6430 1
32853 프로리그의 1군 2군리그 병행하는 방법 제안합니다. [16] 초신성3971 07/11/16 3971 0
32852 진짜 팀배틀 방식으로 갑시다! [169] 리콜한방8571 07/11/16 8571 14
32851 팀리그에 팀플을 넣는 법 [35] 점쟁이4779 07/11/16 4779 0
32849 팀리그와 프로리그 [8] amiGO4138 07/11/16 4138 0
32848 왜 왕중왕전 마스터즈 대회가 이벤트전일까? [27] 레모네이드4617 07/11/16 4617 0
32847 서바이버 토너먼트 예선전 대진표 나왔습니다. [34] SKY925088 07/11/15 5088 0
32846 스타2 성공할 수 있을까요? [29] 태엽시계불태5350 07/11/15 5350 0
32844 @@ GOM TV MSL Season 3 ... 결승전 참고 데이터 ...! [14] 메딕아빠4080 07/11/15 4080 0
32842 지옥문 지옥으로 가라앉는중? [15] 프렐루드4766 07/11/15 4766 0
32840 한빛 한승엽 은퇴…MBC게임 해설가로 전향(엘리트 스쿨리그 투입) [56] 회전목마8763 07/11/15 8763 0
32839 게임방송의 한계와 msl의 승리 [33] TaCuro6152 07/11/15 6152 1
32838 김성제 선수와 박용욱 선수.. [5] 김동진6271 07/11/15 6271 1
32837 김성제 선수가 온라인 연습생으로 강등되었군요. [96] 켄신11897 07/11/15 11897 2
32836 11월 로스터 발표되었습니다. [23] 택용스칸39827 07/11/15 39827 0
32835 [명맵,명경기] 그 날의 감동을 다시 한번… #.5 롱기누스2 : 임요환vs조민준 [10] 점쟁이7485 07/11/15 7485 3
32833 ESPORTS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사건은? [69] 레모네이드8136 07/11/15 8136 0
32831 가끔씩 생각나는 혼자만의 생각 '스타리그는 드라마다' [13] amiGO4138 07/11/15 4138 0
32829 문준희선수의 실패원인-99병? [13] UZOO7051 07/11/14 7051 1
32828 개인적으로 바라는 몇가지 스타크래프트의 드림 업데이트.. [16] 드림씨어터4181 07/11/14 41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