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4/07 09:31:46
Name 황태윤
Subject 스타 중계에 리플레이를 도입한다면?
오늘 온게임넷과 MBC게임의 스타크래프트 경기를 보다가 문득 눈치챈게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게임 중간에 리플레이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만일 게임중에 프로토스나 저그가 마인대박을 터트린다거나 템플러의 대박 스톰이 터진다거나 마인으로 다수의 프로토스나 저그의 유닛들을 잡아낸다거나 할때의 순간의 멋진 장면들을 약간 게임진행이 급박하지 않을때 방송중에 다시 한번 틀어준다면 게임의 재미가 더 늘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로 농구나 축구 야구등의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리플레이 장면을 빼놓고는 중계가 허전할 정도로 멋진 장면들을 잡아내서 다시 보여주곤 합니다.
시청자들 역시 다시 보는 것이지만 그 장면에 찬사를 보내고 그 리플레이 장면이 경기에 대한 몰입도를 높여줍니다.
그러나 역시 스포츠 종목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타크래프트나 다른 e-스포츠 종목들은 게임 중간에 리플레이를 거의 본 적이 없는 듯 합니다.
아니 여태까지 제가 본 경기중에 리플레이를 본 적이 없습니다. 스타 크래프트도 한 경기에 30분 에서 한시간 이상 경기를 하는 경우가 많고 게임 중간에 약간 호흡이 느려지는 경우도 많을 겁니다.
그 사이 사이 시간에 긴박한 순간이나 멋진 플레이를 다시 조금씩 보여주는 것이 스타크래프트 -여타 다른 e- 스포츠 종목도 포함해서-중계에 더 재미를 붙여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생각해보니 바둑에서도 중간 중간에 복기하는 시간이 있군요.
그리보면 스포츠 종목중에 중간에 리플레이가 없는건 육상이나 빙상빼고는 없는것 같네요.

게임 방송중에 리플레이를 삽입하는 것은 다른 분들도 한번쯤 생각해보지 않으셨을까 생각됩니다. 기술적으로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각 방송 관계자분들도 시청자의 흥미를 더 증폭시키기 위해 이런 방법도 한번쯤 생각해주셨으면 하네요..    

ps- 자유게시판에 올리는 첫번째 글입니다..15줄 채우기가 이리 힘들줄은 몰랐네요.허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니쏠
06/04/07 09:40
수정 아이콘
저도 찬성이긴하지만 스타크래프트는 축구같은 스포츠와달리 진행이 빠른편이라 좀 산만해지지않을까 걱정되네요. 옵저버는 그레이트스파이어를 찍어주고있었는데 하필 그때 리플레이가 재생되는바람에 시청자분들은 깜짝가디언을 봐야한다거나 하는..
풍운재기
06/04/07 09:47
수정 아이콘
리플레이 삽입 좋네요..담당 PD가 적절하게 타이밍을 잡고 한번씩 내보내주는 그런식으로....적절하게 타이밍 잡는게 문제긴 하겠지만요;;
중계기술이나 노하우가 쌓일수록 나아지겠죠?
T1팬_이상윤
06/04/07 09:48
수정 아이콘
그게 가능하다면 온게임넷이 잘할것 같은데......(리플레이후 엄청난 반전 ㅡㅡ;)
ExarMatiO
06/04/07 09:51
수정 아이콘
스타는 중간중간 쉬는 타이밍 없이 계속 치고박는 스포츠라서...축구나 야구, 농구 모두 경기가 중단되는 시간에 리플레이를 보여주는 건데 스타는 그런 끊어지는 곳이 별로 없다고 생각이 드네요
지금 옵저버들이 경기상황 짚어내는대도 바쁜데 그렇게 중간에 화면을 딴데로 돌리는 여유가 있는지 의문이네요
뭣보다 스포츠의 리플레이는 대부분 리버스앵글...그러니까 다른 화면으로 한 장면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은데 스타는 그게 불가능하니...
1a2a3a4a5a
06/04/07 09:53
수정 아이콘
이번 24강전 보니까 선수들이 게임준비할때 남는 시간을 이용해
중요 장면 리플을 보여주더군요. 그정돈 할수있을꺼같네요
그리고 윗님들 말씀처럼 스타는 1초 1초가 중요하니까 게임도중 리플레이는 좀 불가할꺼같네요
Hyp3r1on
06/04/07 09:54
수정 아이콘
WWE를 본다면 가능할 거 같기도 한데요 안되나 -_-;
황태윤
06/04/07 09:59
수정 아이콘
야구나 축구도 경기중에 리플레이 보여주지 않나요?? 그런걸 보면 가능할거 같기도 한데요.. 리플레이 장면이 10초 정도라고 가정한다면 크게 문제될거 같지 않기도 한데요.. 아닐까요?? ^^;
06/04/07 10:29
수정 아이콘
워낙 스피디하게 진행되고 유닛하나하나의 변수가 큰 스타기 때문에 경기중간에는 불가능할꺼 같습니다.. 단, 경기이후 경기를 정리하면서 리플레이를 해주는 것 정도는 가능할 듯 합니다만, 제작진이 피마를꺼 같네요..
AkaNe♡
06/04/07 10:39
수정 아이콘
좋은 생각인 것 같아요..^^
06/04/07 10:55
수정 아이콘
리플레이 틀어줄때 밑에 조그마한 화면으로 현재 게임화면 보여주면 어떨까요?
아니면 거꾸로 바꿔도 되구요
나두미키
06/04/07 10:56
수정 아이콘
게임 도중에는 힘들 듯 하지 않을까요? 게임이 진행되는 순간과 시청자의 호흡이 일치하는게 스타의 매력이기도 한데..그 호흡이 끊길 것 같아요.. gg후에 바로 중요순간을 보여주는 것은 굉장히 좋을 것 같긴 하네요....
열씨미
06/04/07 11:44
수정 아이콘
황태윤님 // 스타에서 10초 공백이면 정말 크죠 ;; 전면전 큰 규모싸움이 시작되서 왠만큼 종료되기까지에도 충분한 시간인데. 드랍이라던지, 맵 여기저기서의 소규모 국지전은 말할것도 없구요.
터치터치
06/04/07 11:50
수정 아이콘
나두미키님 의견에 찬성합니다. 게임도중은 힘들 것 같고 선수 세팅전에 해설과 캐스터님이 시간 보내기 힘들어하는 모습 보일때 주요장면 보내주면 좋을 듯 합니다.
ExarMatiO
06/04/07 11:57
수정 아이콘
아아...guy209님 생각은 좋을듯 싶네요. 우측하단에 조그만 화면으로 방금전 리플레이...
CrazyFanta
06/04/07 14:02
수정 아이콘
와 정말 좋은 아이디어네요!!! 우측 화면 하단에 살짝 보여주든지 아님 마치 플레이어의 화면 보여주듯 잠시 몇초간 리플레이 보여주는식으로..
좋은데요!
AIR_Carter[15]
06/04/07 15:24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기에 리플레이의 매력은 방금 봤던 장면을 다시 보기 위함도 있겠습니다만 그 장면을 다른 각도에서 다시 볼 수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걸 위해서 여러대의 카메라를 동원해 다각도에서 찍는거겠죠. 그게 스타에서는 불가능 하기때문에 리플레이 방식을 잘 안쓰는것 같습니다. 또 세팅시간도중 보는 방식도 주요 장면만을 편집하는게 불가능하고 처음부터 속도를 빠르게 올려서 스킵해야하는등의 불편한점이 많기때문에 잘 안쓰이는게 아닐까 싶네요. 이런 리플레이 방식은 분명 방송사에서도 생각해봤을텐테 잘 안쓰는걸 보면 실현되기 힘든면이 많은가 봅니다.
어머니사랑해
06/04/07 19:49
수정 아이콘
좋은 아이디어임에는 분명합니다만...
리플레이의 가장 큰 단점은.....중간부터 보는 기능이 없다는...
즉, 보고싶은 부분만 볼 수가 없다는 점이죠...ㅠ_ㅠ
iSterion
06/04/07 22:00
수정 아이콘
게임중간중간 보다는..
예전엠겜에서했던거처럼 크리티컬스트라이크 던가요..
전 개인적으로 너무좋더군요..
그런
율리우스 카이
06/04/08 01:06
수정 아이콘
어머니 사랑해요 // ..

그 리플레이가 아닌거 같은데요 ^^;;
06/04/08 14:48
수정 아이콘
게임끝나고 보여주는것도 좋을것 같은데~
06/04/10 10:16
수정 아이콘
실현되기 힘든 면은 아마도 비용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추가적인 편집 인력이 고정적으로 배치되어야하는데 리플레이를 방영한다고 해서 특별히 시청률이 올라가지 않는다면 굳이 돈 쓸 이유가 없죠. '올라갈겁니다'라는 막연한 기대만으로는 곤란하죠. 이걸 해낼 수 있는 인력을 고용하는데 1년에 4천만원이 든다고 하면 이 4천만원으로 우승 상금을 올리는게(또 다른 것도 있겠죠) 더 효과적인 투자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스타크래프트의 리플레이를 중간부터 못보기 때문에'는 이유가 아닙니다. 방송했던 화면 녹화한 걸로 편집하는거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345 꿈이 없다는 글에 대한 답변글에 악플을 단 이유. [86] 3864 06/04/10 3864 0
22344 프리즌 브레이크를 아시나요? (후반부 스포일러포함) [15] stardom3726 06/04/10 3726 0
22343 [잡담] 방송하는 재미.... [9] estrolls3613 06/04/10 3613 0
22342 저테전 커널-울트라의 활용 가능성... [14] 한인4466 06/04/10 4466 0
22341 스타 프로게이머의 시대구분 [14] SAI-MAX3929 06/04/10 3929 0
22340 [P vs T] FD테란 초반에 뚫어버리기 [6] 안타리아3713 06/04/10 3713 0
22339 그냥 한 마디 적어봅니다.. [10] 칼릭3570 06/04/10 3570 0
22337 [쉬어가기]시대별로 프로게임계를 지배한 게임단들. [15] T1팬_이상윤4057 06/04/10 4057 0
22336 스타의 언밸런스! 그 도전에 응전해 보자! [16] 낭만토스4160 06/04/10 4160 0
22335 스타초보자를 위한 각종족 프로게이머들에 관하여-(1)프로토스-1세대 게이머. [38] legend5009 06/04/10 5009 0
22334 2006 신한은행 1st 스타리그 일정 예상해보기(듀얼 일정 예상 포함)(수정) [29] SKY925044 06/04/09 5044 0
22333 스타리그 주간 MVP (2006년 4월 둘째주) [34] 일택3651 06/04/09 3651 0
22332 [이상윤의 플래시백 8탄] '99 PKO 4강 B조 2차전 최진우:김태목 [9] T1팬_이상윤4332 06/04/09 4332 0
22331 기업에게 팀 창단을 너무 강조하진 말아야 합니다. [45] 루크레티아5639 06/04/09 5639 0
22330 PGR21식구 여러분 상담 좀 부탁드립니다(개인적인 일). [26] 박서날다4112 06/04/09 4112 0
22329 은행이야기.. [31] 바람이3575 06/04/09 3575 0
22328 파리 바게트 와 빵 굽는 마을 [43] 하늘 사랑5276 06/04/09 5276 0
22327 신한은행이 스타리그를 후원하면서 궁금해지는 것 중 하나 이러다 혹시? [39] 에휘루스6675 06/04/09 6675 0
22326 ★★ [공지] 댓글 수정 기능 추가 ★★ [45] 메딕아빠3878 06/04/08 3878 0
22324 차기 스타리그 스폰서가 결정되었네요. [100] 지포스7672 06/04/09 7672 0
22321 H2 - 그들은 그 후에 맺어졌을까? [44] 네로울프6280 06/04/09 6280 0
22320 한국산 만화영화 노래 얼마나 기억하십니까의 정답 [15] 강철의누이들5947 06/04/08 5947 0
22319 봄맞이 새로나온 괜찬은 음반~ [30] 은경이에게3561 06/04/08 356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