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20 13:13:55
Name 메딕아빠
Subject @@ 컴터를 새로 주문했더니 ... 꼭 애인이 한명 생긴 기분이네요 ^^
방금 질렀습니다^^

P4 640 (3.2GHz) Prescott 64Bit
Cache 2M
Intel 915G Chip
1024M
200G
Ge-force 6600
DVD-RW
19" LCD ...

가지고 있던 노트북이 버벅거려서 ... 그냥 확~

지금까지 제가 썼던 최고 사양의 컴터가 지금 회사에서 쓰고 있는 컴인데 ...
그 넘보다 더 좋은 사양이라서 ...
무지하게 기분 업~ 되어 있는 상황^^

Ge-force 6600 에 19" LCD 화면은 대체 어떻게 나오는지 ...
무지하게 궁금하네요^^
노트북으로 스타를 시작했는데 ...
이제 컴터 바꿨으니 스타 실력도 쬐금 늘겠죠 ...?^^

그냥 컴터 주문하고 기분 좋아서 끄적거립니다 ...
대놓고 자랑이냐 ... 라고 뭐라 그러지 마세요 ... 홍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kiss the tears
05/10/20 13:15
수정 아이콘
전 노트북으로 하는게 더 잘 되던데...^^

손이 작아서 그런지 가끔씩 친구들이랑

물고기방(?)가면 키보드가 커서 단축키 쓸때 불편하거든요...

그나저나 그 좋은 컴으로 스타를...

농담이구요...좋은 애인 장만하신거 축하합니다...
김경송
05/10/20 13:17
수정 아이콘
와~~ 컴터 새로 사신걸 축하드려요 +_+

너무 컴터만 편애하심 안됩니다~ ^^;;
05/10/20 13:23
수정 아이콘
하드가 안달려있군요...
똑같은거 두개로 레이드 구성하세요 빠른 S-ATA II 하드로 레이드
구성하면 정말 빠르더군요~!!!
The Drizzle
05/10/20 13:24
수정 아이콘
허어...완전 수퍼컴퓨터군요-0-
05/10/20 13:26
수정 아이콘
이!! 이런 염장글이!!!
크로캅하이킥
05/10/20 13:28
수정 아이콘
전 컴터쪽은 완전 무식이라 그런데 저정도 사양이면 가격이 얼마나 하는거죠? 컴터 한대 사고 싶은데 아직 돈도 없고 ㅠ.ㅠ
05/10/20 13:34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_-bb 염장글 확실하네요....
휀 라디엔트
05/10/20 13:35
수정 아이콘
저도 최근에 비슷한 사양으로 질렀는데 저는 AMD로 질렀습니다.
조립비까지 해서 본체만 70만원대 후반 들었으니
저정도면 한 80대 중반(모니터 제외)정도 할겁니다.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용산에서 컴을 맞출때는 최저가 미리 뽑아서
나는 다 알고있다는 듯한 자세를 유지하며 상담하면 알아서 적정가에 맞추어줍니다.
물론 어느정도 더 붙기는 하지만 그정도도 인정 안하면 상도에 어긋나죠...
제가 알기론 연산속도는 AMD, 부가능력은 인텔이 낫다고 알고있는데 맞는건지 모르겠군요.
참고로 저도 컴터 바꾼뒤로 아직까지 한계를 못 느끼고 있답니다.
이제 FM2005만 구입하여 굴리기만 하면!!(연산능력이 중요한 게임이죠 허허....)
05/10/20 13:36
수정 아이콘
뭔가 골뱅이에서부터 느껴지는 염장글의 포쓰가.. ^^/
카르디아
05/10/20 13:40
수정 아이콘
휀 라디엔트// 하하 나는 다 알고 있다.. 웃기네요 ~
정테란
05/10/20 13:54
수정 아이콘
저는 게임은 안하니까?
셀러론으로 조립하면 아마 40이내에서 가능할 듯 하군요.
근데 현재 사용하는 걸로도 5년은 버틸듯...
모니터만 두솔 20인치 lcd로 바꾸었습니다.
본체보다 모니터를 더 중시하기에...
Heidelloon
05/10/20 13:54
수정 아이콘
후.. 인텔껄 사셨네요 ^^; 그런데..
솔직히 인텔은 KIN텔이랍니다 ㅡㅡ; 인텔의 모토가 클럭만 조낸높이는거다! 이라서..
클럭이 높다->발열소음이 끝내줘요~~랍니다
개인적으로 AMD쪽을 추천해 드리고 싶은데 뭐 인텔도 쓸만은 하지만 AMD가 가격대 성능비(솔직히 동클럭이면 KIN텔은 상대도 안되죠)가 좋아서요
음 램은 Dual채널 구성으로 하신거 같은데.. 돈좀만 더쓰서셔 콜세어(전 이렇게 부르는데 딴사람은 어떤지는 잘 ㅡㅡ;;)램으로 듀얼 하시는게 좋습니다
가격은 좀 비싸지만 램은 비쌀건 쓰면 그만큼 안전성이 좋아요.
그리고 그래픽 카드도 6600보통 보다는 6600GT로 하시는게 좋았을껀데.. 6600이랑 6600GT랑 가격차이는 얼마 안나지만 성능은 차이가 좀 있거든요 클럭에서 거의 1.5~2배차이가 나니깐요.
FPS게임을 안하신다거나 점수놀이에 관심이 없으시면 6600으로도 빵빵하게 잘돌아가겠네요
LCD는 잘구입하셔야 되는데 OEM은 별로 추천안해 드리구요 이름있는 회사 정품이 좋답니다. 개인적으로 Display는 소니가 좋은데 소니는 요새 죽쓰니깐.. 삼성도 좋아요 ^^;
에효 쓰다 보니깐 제가 사고 싶은것만 썼네요 ㅜㅜ
05/10/20 13:57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저런 컴퓨터는 한 5년뒤에나 구경해 볼 것 같군요. 스타 하실거면 펜3 800 만 대도 충분한거 같던대^^ .. 부러워요..
snookiex
05/10/20 13:58
수정 아이콘
후후 저도 염장을...
제 사양입니다.

AMD64 3200+ 윈체스터
2048RAM
x800GTO2@x850XT
Lunatic Love
05/10/20 14:05
수정 아이콘
(/-_-)/ pgr도 질러라~
달빛요정역전
05/10/20 14:12
수정 아이콘
스타 로딩 화면이 안보이는게 단점입니다..''
WizardMo진종
05/10/20 14:12
수정 아이콘
(2005-10-20 13:58:00)
후후 저도 염장을...
제 사양입니다.

Lg Xnote ls45- 1x4u3
Heidelloon
05/10/20 14:18
수정 아이콘
snookiex// 그래픽 카드만 7800GTX의 SLI모드면 제가 꿈꾸는 사양이네요
steady_go!
05/10/20 14:48
수정 아이콘
게임용으로는 암드, 멀티태스킹으로는 인텔...브가 카드는 요즘 뜨는 x800gto 또는 7800gtx. 곧 나올 x 1000 대도 기다리는 것도 좋구요...중저가대로는 6600gt가..LCD는 중소기업도 좋은 제품이 많고....대기업은 A/S나 무결점 선언 등에서 좋을 뿐...가격 대 성능비는 중소기업이 월등합니다. 초 고가대로는 에이조나 샤프 등등이 있겠지만....그림속의 떡이죠.
쥑이봐라 죽나
05/10/20 14:51
수정 아이콘
제가 컴을하나 사려 합니다..CG작업때문인데 컴을잘몰라서 그러는데 이 사양이면 가격이 얼말나 할까요??
P4 640 (3.4GHz)
ASUS PSGD2
PC-4300 1G x2
ATI X800 GTO
히로이치 350W 또는 스카이 디지털 400W 저소음
SEAGATE 7200RPM S-ATA 200G
삼성 싱크마스터 19인치 CRT 927DF

우선같은 설계실선배사양인데요 더 바꾸꺼나 해야할건없나요?
가격은 얼마정도??

부탁드려요^^;
TRUST_NO1
05/10/20 15:37
수정 아이콘
쥑이봐라 죽나//CG라면 3D작업 말씀하시는겁니까? 3D작업용으로 쓰신다면 그래픽카드는 nvidia로 바꾸시고(Open GL성능은 엔비디아가 월등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7200RPM 하드대신 10000RPM 36G 랩터로 바꾸시는게 더 나아보이네요..그냥 디자인 쪽이라면 매트록스 그래픽 카드 쓰시구요.. 인텔CPU는 그렇게 높은거 안쓰셔도 됩니다. 그냥 630쓰는게 더 좋아보이네요. 그리고 ASUS가 유명하긴 하지만 가격거품이 좀 셉니다. 가격대 성능비, 안정성이 좋은 ASRock으로 쓰셔도 무방하실듯..
Heidelloon
05/10/20 15:50
수정 아이콘
LCD는 제 경험상 중소나 OEM사면 후회합니다. 왜냐면 화질이 다르거든요. 노트북의 경우 SONY와 다른 회사 제품을 비교해보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SONY말고도 비싼 대기업(솔직히 삼성은 거품이 좀 많다고 생각됩니다만)제품은 그만큼의 화질이 좋답니다. 가격대성능비로 따진다면 당연히 중소기업을 하겠지만(동일 크기로 거의 30~40만 차이날때도 있으니깐요) 눈에 관계된 제품은 좋은것을 쓰는게 나중에 후회안합니다.

쥑이봐라// CG작업이라면 제가 안해 봐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멀티태스킹은 KIN텔이 일반용으론 AMD가 낫다는 말들이 많은데 그거야 점수놀이 랍니다. 실제로 점수 차이도 거의 느끼지 못할 수준입니다. 하지만 CG나 CAD쪽으로 전문용으로 쓸 경우에는 차이가 클 수도 있습니다.(잘몰라서 죄송 ㅜㅜ)DANAWA나 BOARDNARA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일단 제 생각에는 컴퓨터에 돈을 안 아끼신다면 CPU는 듀얼코어 or 64bit인데요 듀얼이 좀더 나은 성능을 발휘하지 않을까 합니다. KIN텔에서 Xeon이라는 듀얼 프로세서를 발표했습니다. 최고클럭의 가격은 999$입니다. 램이나 그래픽카드는 충분한것 같습니다. 하지만 돈을 아끼지 않으신다면 콜세어(전 이렇게 불러요..)로 하세요. 같은 클럭에 +10만정도 하더군요. 그래픽 카드는 Nvidia 의 GeForce 7800GTX 로 SLI모드로 쓰셔도...(가격은 40*2정도..)
그리고 파워 서플라이는 빵빵한게 좋습니다. 특히 64bit나 듀얼에 상급의 그래픽 카드를 쓰면 350정도로는 무리랍니다. 430w이상급을 추천해드립니다.(Antec True제품이 괜찮다고 합니다만.. 무지 비싸요 ㅜㅜ)
하드게이트도 부담없이 질러봅시다~~ S-ATA II에 10,000RPM짜리로 지르는 겁니다~~
그리고 모니터는 CRT와 LCD가 있는데 LCD가 공간 활용면이나 여타 다른걸로 따져도 LCD 추천입니다.
대충 저러면 본체 가격만 200정도. 모니터 50~100만.
총합300정도의 저렴한 가격에 최고의 PC를~~
Heidelloon
05/10/20 16:07
수정 아이콘
쥑이봐라 죽나//아 메인보드는 ABIT것이 가장 무난한 편입니다~~
근데 위에 써 놓은 것은 순전히 돈지X이구요...
적당히 AMD64 -X2씨리즈(가장싼 맨체스터 3800+가 38만선이군요)
메인보드는 ABIT나 ASUS.
램은 DDR Corsair 1G PC4400 TwinX 4400C25 (512x2) 23만원대..
좀더 쓰신다면 위에 모델*2하시구요
그래픽은 OPEN GL쪽은 3d fx흡수한 Nvidia 손을 들어 주고 싶으니
GeForce 6800Gt 이상 7800GTX추천 (SLI면 금상첨화)
파워는 Antec True480 이나 550모델 12만~17만정도
하드는 10,000rpm 짜리 S-ATA II 모델(뭔지 못찾았네요)
모니터는 lcd가 대세~
Heidelloon
05/10/20 16:08
수정 아이콘
듀얼코어면 싱글코어에 비해 1.4배~2배가량의 렌더링 속도 향상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steady_go!
05/10/20 16:10
수정 아이콘
안텍이 명품이긴 합니다만....탐스웨어 벤치마크 파동이 해결되었는지 모르겠군요. 또 라이트 유저가 사용하기엔 좀 비싼 면이 있구요...세븐팀이나 스파클이 좋은 평가를 받구요...LCD은 어차피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이나 같은 패널을 씁니다. 대체로 디자인 면이나 A/S면, 불량화소 측면에서 차이가 나긴 하지만 요즘은 중소기업 A/S도 칼같이 해줍니다. (일부 기업은 제외하고.) 두솔 XGATE가 물량이 없어서 못 팔정도 였구요.....굳이 대기업 쪽을 보자면 LG를 추천하고 싶네요.
정테란
05/10/20 16:14
수정 아이콘
lcd는 패널 선택을 잘해서 사면 as문제라면 몰라도 화질은 대기업 제품이라고 해서 좋을 것이 없죠.
단 디자인이나 버튼 터치감 같은 부분은 대기업 제품이 좋긴 합니다.
물론 그만큼 비싼게 사실이구요.
저도 이번에 lcd 모니터 사면서 파코즈 돌아다니고 엄청 고민했습니다.
대기업이냐 중소기업이냐로 고민하다가 두X의 홈페이지 운영 상태를 보고 두X로 질렀습니다.
ips 패널 20인치가 38만원이면 주조건 질러야 한다고 봅니다.
Heidelloon
05/10/20 16:21
수정 아이콘
lcd의 경우 같은 패널을 쓰더라도.. 그만큼 싸면 싼 이유가 있더군요. 중소기업 19인치 삼성패널 사용한 모니터와 삼성 점품 15인치를 비교해 보니 밝기나 선명도에서 삼성15인치짜리가 좀더 낫다고 느껴지더군요.(19인치는 dvi까지 했음에도 불구하고 15인치가 좀더 낫다라고 느꼈습니다.) 패널만 같다고 해서 모니터 성능이 같다고 할 수는 없는거 같더라구요 ^^ 뭐 제가 산게 8개월 정도 전의 일이니 지금은 어떻다고 딱잘라 말할 수는 없지만 전 확실히 다른걸 느꼈답니다 ^^
Heidelloon
05/10/20 16:29
수정 아이콘
하지만 돈이 되신다면 삼성쪽 보다는 SONY제품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삼성은 성능도 좋긴 하지만 브랜드 값이 너무 들어간 느낌이 들더라구요. SONY SDM-HS95P 쪽이 crt보다 화질이 좋다고 평가 하기도 합니다만.. OEM이 아닌 정품으로 구하기가 좀 힘들듯 하네요. 68만원선..
05/10/20 16:42
수정 아이콘
허허.. LCD를 소니로 추천하시는 분이 다 계시네요. 브라운관 시장에서 소니의 영광은 사라진지가 언젠데요. 소니가 삼성과 합작해서 LCD브랜드를 만드는 시댑니다.
05/10/20 16:46
수정 아이콘
그나마 S-LCD(삼성,소니 LCD합작회사)에서 나오는 물량만으로는 LCD TV시장에서의 물량조차 대지못해 여기저기 대만업체들의 패널까지 끌어다 쓰는 형국에...

CRT만 무리하게 고집한끝에 LCD,PDP등의 기술이 이미 우리네 삼성,LG보다 떨어지는 상태입니다. 이번에 TV사업부분 대규모 정리해고도 단행하는등 구조조정하는 판국입니다.
05/10/20 16:50
수정 아이콘
그리고 소니브랜드가 삼성보다 비싼데요. 정작 성능이 떨어지면서 브랜드네임으로 돈 올려 받는게 소니 아니었던가요. 예나 지금이나 대체 무얼 보고 이런 조언을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언급하신 모델은 LG가 제작해서 소니에게 ODM해주는 모델입니다. 더군다나 원산지는 중국이구요...
05/10/20 16:53
수정 아이콘
더군다나 1년전 모델에 케이스만 갈아서 나온 모델에 LG에 로얄티까지 무니 가격이 비쌀수밖에 없지요. 화잘이 선명해 보이는 이유는 코팅을 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네 삼성,LG패널도 코팅하면 그이상으로 화질 좋아지고요. 하다못해 시중에 파는 푸어 플레이트 같은것만 LCD에 붙여줘도 화질이 월등히 좋아집니다.

기술로 안되니 잔재주 부리는것 뿐인데...거기에 혹하시는 분들이 있을줄이야...
정테란
05/10/20 17:25
수정 아이콘
DJDOC님 그쪽에 몸담고 계시나요?
코팅해서 화질이 좋아진다면 다른 업체들은 왜 코팅을 안하죠.
코팅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나요?
피그베어
05/10/20 17:29
수정 아이콘
그래도 애인이 훨씬 좋습니다. 으하하.
05/10/20 17:32
수정 아이콘
물론 아무나 코팅할수 있는건 아닌 고등기술이라면 고등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삼성,LG는 대규모 패널 공급에 주 사업노선이 맞추어져 있으니 자잘한 기판기술이 필요한 부분을 신경을 상대적으로 덜 써주고 있다고나 할까요.. 중소기업들이 쉽게 할 수 있는 기술은 아닙니다. 기술에 대한 로얄티도 있고요. 그러나 삼성,LG등은 크로스 라이센싱등으로 로얄티를 받으면 받았지 일본기업에게 내지는 않습니다.적어도 반도체나 LCD의 부분에서는요.

소니의 이름값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잔기술이라는 소리죠. 원천기술 자체가 모자라니끼요. 이제와서 따라가긴 늦었고 브랜드 네임은 유지해야겠고 그래도 돈이 많이 드는 부가 디지털 기술의 보드채용이나 라이트 안밖처리, 코팅등에 신경을 쓰는거죠.
수달포스
05/10/20 20:01
수정 아이콘
지금 당장은 애인이 좋더라도 한 2년지나면 권태기가 찾아올겁니다.
Heidelloon
05/10/21 06:52
수정 아이콘
SONY의 잔기술이긴 해도..그만큼 보기에 확연히 다르더군요
데스크탑용 LCD는 직접 비교해 보지는 못했습니다만..
노트북이나 기타 PDA용 LCD(뭐 이것도 데스크탑과 다르다면 할말없지만요)패널들을 비교했을때 확연히 다르더군요.
솔직히 가격을 따진다면 중소기업쪽 제품이 훨씬 낫겠지요. 하지만 돈은 더 들더라도 화질이나 기타 다른것이 나은것을 택하는 저같은 타입은 삼성이나 lg보단 sony껄 택하겠습니다
sony에서 다른 사 제품의 패널들을 쓰더라도 같은 패널을 쓰는 것 보다 보기에 더 좋을걸 어쩌겠습니까?
DJDOC님 말씀대로 중소기업 제품에 코팅해서 sony보다 좋다면야 그제품을 선태하겠습니다만.. 혹시 그런 제품이 있다면 추천해주시지요 ^^
솔직히 저도 sony는 별로 안좋아합니다만 딱보면 확실히 다른데 어쩌겠습니까?
05/10/21 07:14
수정 아이콘
화질이 좋다고 하시는데....코팅된 LCD는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부분입니다. 극단적으로 얘기해서 노트북LCD나 기타 LCD모니터에 셀로판 테이프만 붙여도 화질이 나아보입니다. 소니가 주장하는 클리어 브라이언트 기술도 따지고 보면 이런 식의 잔재주에 불과할 뿐이고요.

빛반사등으로 시야각이 이상해진다거나 굴절등으로 싫다는 사람은 무지하게 싫어한다는 얘기죠.

우리네 삼성,LG가 기술이 없어서 안하는게 아니라 대규모 라인구성해서 완제품말고 패널만 대규모로 공급하는게 더 이익이 남으니까 안하는것 뿐입니다.

위에도 언급한 퓨어플레이트 요즈음 한 3,4만원 하더군요. 우리나라 패널에 붙여만 보십시요..그잘난 소니의 클리어브라이언트와 얼마나 차이나는지..
Heidelloon
05/10/21 09:26
수정 아이콘
DJDOC님은 아마 업계쪽에서 일하시는 분이신가 보군요.
취미로 하는저와는 비교도 안되게 지식이 많으십니다.
음 그런데 SONY쪽은 안좋은 일이 있으셨나 보네요. 상당히 싫어하시는게 딱 느껴지네요
그냥 제가 봤을때는 다른 것보다 SONY 화질이 뛰어나더군요.(빛반사나 시야각등 그런 문제는 못느꼈어요) 그래서 sony구나 하고 생각했구요(근데 들어보니 국내 패널 쓰인 제품도 많다고 해서 놀랐죠.)
음 그리고 패널만 대규모로 공급하는것은 이익은 남을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별로 이익이 안될거라고 전 생각합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완제품을 사지 패널만 사는 사람은 직접만드는 사람을 제외하고는 없는데 보통 브랜드 명을 보고 사지 여긴 무슨 패널을 쓰는구나 하고 사지는 않잖아요(뭐 같은 패널을 썼다고 해도 믿음도 안가더라만..)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SONY쪽의 인지도가 뛰어나더군요. 아에 전문가라면 모를까 저처럼 그냥 기초지식만 있는 사람이라면 SONY쪽이 더 낫다고 생각해 버리죠. 실제로 쓰인 패널은 국산인데 말입니다. (선무당이 사람잡는다고 어설프게 알면 잘 그러죠.) SONY의 잔재주라 할지라도 일반 소비자의 눈에는 더 뛰어나게 보이거든요
그렇다면 점점더 브랜드 네임 밸류는 SONY가 먹는거겠죠. 그만큼 패널에 대한 로열티를 준다고 해도 차라리 네임밸류를 높이는게 장래를 본다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중~상류층 이상의 집에 가면 가전제품대부분은 SONY입니다. 솔직히 휴대폰의 배터리나 이런 부분을 빼고는(배터리가 중요하긴 합니다만..) 우리 나라에서도 자체 기술로 충분히 생산가능하며 성능또한 좋으면 좋았지 떨어지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미국의 매장(제가 지금 미국에서 공부중이라서 자꾸 미국만 언급하네요. 하지만 미국도 꽤 큰시장이니.. 가장큰시장이라면 중국이겠지만..) 삼성제품은 한국인쪽이 많이 사가지 미국인 들에게는 그리 크게 팔리지는 않는거 같더라구요.(대형 마트에 진열된 것은 대부분 일제더군요..대체 얼마를 쓴거야..)
실제 가장 중요한 패널이지만 SONY이름을 달고 나와 버리면 전 제품이 SONY라고 생각되 버리는 것이지요.
음 말이 좀 꼬인거 같은데.. 결론은 국내 전자회사도 좀 더 마케팅에 신경을 쓰는 차원에서 패널을 완제품 형태로 출시하는게 어떨까 합니다. 아무리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딴놈이 버는 것 같아서 배아프더라구요.
LG나 삼성에서 그정도의 기술력이 없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데..
여기 애들한테도 인지도는 SONY... 가전은 거의다 장악해버렸더군요.쩝.
SONY나 기타 다른 일본 제품을 확 누를수 있는 완제나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퓨어 플레이트는 PDA나 노트북용이 대부분이네요. 데스크탑용은 못찾겠습니다. 어디서 나오는지 말씀해 주시면 한번 찾아서 시도해 보게요. 뭐 그런데 퓨어플레이트가 그냥액정보호필름정도의 개념인거 같은데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좋겠네요 ^^ 제가 잘 모르던 거라서 궁금해서요
steady_go!
05/10/21 14:39
수정 아이콘
이미 소니는 몰락하는 가전계의 왕입니다. 작년 매출도 엔터테인먼트 부분에서만 이익을 봤을 뿐 다른 부분에 적자를 봐, 한 때 구조조정 바람이 불었죠. 또 베가와 퀄리아를 포기하는 등의 일이 있었구요...다행히도 이번에 런칭한 브라비아는 미국에서 돌풍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다른 기업에 매출순위 면에서 밀려버린지가 오래입니다. (같은 일본 내에서는 마츠시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562 박서의 온겜넷 결승전 진출을 축하합니다. [124] 작고슬픈나무5951 05/10/21 5951 0
17560 박서를 이기는 방법.. [48] 블러디샤인4899 05/10/21 4899 0
17559 형..이제 천천히 달리자 [113] [GhOsT]No.15140 05/10/21 5140 0
17558 박서 vs 박죠 1경기 815맵 (스포일러 있습니다.) [267] 하늘하늘6279 05/10/21 6279 0
17557 (첫 글) 맨유 게시판에 한국인 사칭 일본인 덜미 [5] 영원불멸헬륨3385 05/10/21 3385 0
17555 논스톱 5가 끝났네요^^ [11] 요로리3562 05/10/21 3562 0
17554 집 말고 스타볼수 있을만한곳 없을까요?? 이번 4강전 넘 궁금합니다 [40] 길시언 파스크3552 05/10/21 3552 0
17552 여자가 스타를 좋아하면 이상한가요..? [90] 바라보다3711 05/10/21 3711 0
17551 박죠와 박서.... 캐나다에서도 기다립니다^^ [29] 게레로3526 05/10/21 3526 0
17550 대한민국이 이룬 쾌거 그리고... [8] psycho dynamic3566 05/10/21 3566 0
17549 임요환 VS 박지호 관전포인트 [27] 종합백과4630 05/10/21 4630 0
17547 처음으로 저그핵 당해보다~~ [24] coolcion3622 05/10/21 3622 0
17543 박서 대 박죠 승부의 향방은? [29] 제갈량군3318 05/10/21 3318 0
17542 D-DAY 황제 VS 스피릿 최고의 명승부를 기대하면서 [9] 초보랜덤3567 05/10/21 3567 0
17541 저는 이런 이유로 살고 있습니다. [7] zenith3522 05/10/21 3522 0
17539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3시간 [9] laviz3875 05/10/21 3875 0
17536 깨어질수 없는 기록은 없는가 봅니다. [10] 茶仰6512 05/10/21 6512 0
17534 산다는건 무엇일까요 ? [30] 낄낄3573 05/10/21 3573 0
17533 낼 온게임넷 4강 어쩌지... [26] 바람꽃3897 05/10/21 3897 0
17532 우울한 토스전 [14] 삭제됨3729 05/10/21 3729 0
17531 맵별 밸런스 분산 랭킹 - fourms님과 다른 방식 [13] 몽키매직3583 05/10/21 3583 0
17530 스물넷.. 이제 시작입니다.. [35] 여자예비역3574 05/10/20 3574 0
17529 친절하셨던 버스 기사님 [19] 아이드3982 05/10/20 398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