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10/02 20:43:05
Name 변종석
Subject 내가 생각하는 맵과 선수 그리고 방송리그...
안녕하세요... 맵 디자이너 Rose.of.Dream. 변종석입니다...

무언가 대단한 이야기를 꺼내려는 건 아닙니다. 그렇다고 무언가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하려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프리미엄 리그의 맵 선정 결과와 그 결과를 보고 여러 분들이 내놓으신 의견을 있기에 제 생각을 몇 글자 적어보려고 하는 것뿐입니다. 프리미엄 리그는 온게임넷 스타리그나 겜티비 스타리그 혹은 WCG처럼 제가 직접적으로 관여해서 맵을 제작하거나 선정한 것은 아닙니다. 리그의 성격 상 양 방송사가 동시에 진행하고, 두 방송사간의 의견 조율이 필요했기 때문에 사실 상 제가 관여할 수 있는 공간이 전혀 없었죠. 말씀드렸듯이 저는 100% '프리'이고, 겜티비 스타리그 4차 시즌을 준비하면서 겜티비와의 접촉만 있었을 뿐 엠겜과는 전혀 일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이 번 리그는 겜티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야기를 듣고 맵 선정에 의견을 내놓았을 뿐입니다.

프리미엄 리그 자체의 비하인드 스토리 많겠지만, 사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은 생략하고 수면 위로 올라온 내용을 빗대어 이야기를 풀어 보면, 리그가 어느 정도 틀이 잡히고 나서 맵 선정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가 나왔는데, 엠겜과 겜티비의 맵을 동시에 사용하고 겜티비는 4차 시즌 준비 맵 중에 하나 정도를 사용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진 적이 있었습니다. 지난번에도 댓글을 통해 밝힌 적이 있지만 저는 프리미엄리그가 뭔지 잘 몰랐기 때문에 특별한 의견을 내놓은 적은 없지만, 창선이형(존칭은 생략하겠습니다.)을 통해서 새로운 맵으로 갔으면 한다는 이야기를 했고, 창선이형 역시 새로운 맵이 당연히 사용되어야 한다고 이야기를 했었죠. 하지만 창선이형 역시 프리미엄 리그에 직접적인 의견을 내놓을 수 있는 건 아니었기 때문에 저와 마찬가지로 간접적으로 의견을 내놓을 수 있는 상태였습니다. 리그가 준비되는 동안 겜티비 스타리그를 담당하시는 박중언PD님하고 가끔 통화를 했고, 맵 선정에 대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요. 어느 시점에서 겜티비에서 하나의 맵을 내놓는 걸로 결정이 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겜티비 로템과 함께 새로운 맵이 하나 들어가는 건지 아니면 그냥 새로운 맵만 하나 들어가는 건지 잘 알지는 못 했지만 어쨌든 새로운 맵이 하나 들어갈 건데 4차 시즌 준비맵 중에 하나 추천한다면 추천할 만한 맵이 있냐고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추천하는 것이 곧 선정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저는 당연히 있다고 말씀을 드렸고, 하나의 맵이 새롭게 사용되나 보다 생각했습니다. 겜티비 스타리그 준비맵은 모두 다섯 개였는데 하나를 뽑아보라면 뒤도 안 돌아보고 추천할 만한 맵이 하나있었죠. 그 맵은 '체 게바라'라는 맵이고, 체 게바라를 추천한다는 이야기는 창선이형에게 직접 해 드린 적이 있었죠.

사적인 이야기를 하려고 글을 쓴 건 아니고, 프리미엄 리그 역시 새로운 맵 도입을 어느 정도 염두 해두고 있었다는 이야기를 드리고 싶었던 거였습니다. 그런데 가장 아쉬웠던 점은 맵이 도입되지 않은 '이유'에 있습니다. 박중언PD님은 새롭게 사용되는 맵의 종족밸런스에 대해서 굉장히 민감하게 여쭈어 보셨는데요. 사실 맵을 테스트해서 밸런스를 맞추는 것에는 정말 한계가 있습니다. 공식전이 아닌 테스트 게임에서는 선수들이 맵 자체에 대해 정확한 분석이 있는 상태에서 경기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맵에서만 통할 수 있는 전략이나 전술을 사용할 수는 없죠, 테스트 게임을 해보면 새로운 맵에서 대부분의 선수들은 그것과 유사한 맵에서의 경기진행을 하고 정말로 바꿨으면 하는 부분만 이야기를 해줍니다. 다시 말해서 '이 맵 저그가 정말 할 게 없네요' 이런 식이 아니라, '입구만 조금 넓혀주면 할 만 하겠네요.' 이 정도로 의견만 오갈 뿐이죠. 저 역시 새로운 맵을 준비하면 '이 맵 밸런스 정말 좋다' 이런 느낌으로 최종 버전을 만들지는 않습니다. 다만 모든 종족이 "해 볼 만하게' 만드는 것이 제 테스트의 끝이죠. 해 볼 만하게 해주면 나머지는 선수들의 몫이고, 선수들의 전략과 전술을 통해 밸런스는 무너질 수도 있고 잘 맞을 수도 있는 겁니다. 그리고 나서 시즌이 끝나면 잘 맞지 않는 측면이 있으면 수정을 해주고, 수정을 통해서도 도저히 답이 안나오면 사용을 중지하는 것이 공식맵의 운명이라면 운명일 수가 있죠.

이 번 프리미엄 리그에 새로운 맵이 도입되지 않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스폰서의 초청에 의해 선수들이 선발되었기 때문에 선수들의 부담을 줄인다는 측면도 있고, 새로운 맵의 밸런스를 우려해서 도입을 시도하지 않은 측면도 있습니다. 전자에 대해서도 비판할 수 있는 거리는 있겠지만 저 역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이유이기는 하죠. 하지만 후자는 새맵에 대해서 리그 자체가 너무 회의적이지 않았나 싶어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밸런스가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입하기가 힘들다는 이유는 새맵 자체를 거부하는 격이 되기 때문이죠. 새로운 맵을 어떻게 밸런스 검증을 할 수가 있겠습니까? 새맵은 새맵일 뿐이죠... ^^

선수들이 새맵을 꺼리는 것은 당연한 거라고 생각됩니다. 여러 리그를 참가하고 각 리그에는 다른 공식맵들이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맵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은 정말 부담이 크죠. 맵을 알고 있다는 것과 분석을 한다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들 배틀넷에서 게임을 할 때, '노스텔지어에서 할까요?' '그 맵 잘 모르는데...' '그럼 개마고원에서 할까요?' '그 맵은 알아요' 라고 이야기하면서 '안다'는 개념은 그저 맵을 파악하고 있는 것에 그치는 겁니다. 다시 말해서 앞마당 멀티가 어디에 붙어있고, 어디는 언덕이고 어디는 다리이고... 이런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는 것에 머무를 뿐입니다. 하지만 프로선수들은 다르죠. 맵 자체를 분석하고 그 맵에서 전략을 짜내 상대선수를 이겨야 합니다. 즉, 맵을 완벽하게 분석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거죠. 프로이기 때문에 그런 '의무'를 갖는 것이고, 그런 의무는 선수들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렇게나 만들어 놓고 '너네 여기서 경기해~' 이런 식으로 맵을 제작하지는 않습니다. 맵 제작이나 선정 역시 '프로'의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여러 차례의 테스트 게임을 통해 맵을 검토하고 수정해서 어느 정도 선에 이르면 선수들에게 맵을 넘기게 되죠. 저 역시 선수들이 경기를 유연하게 소화해 낼 수 있도록 맵을 제작해야 하는 '의무'를 지녔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관계는 서로 보완해 주고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지, 절대로 서로 악영향을 갖는 관계는 아닙니다. ㅡ.ㅡ; 물론 선수들 중에 저를 무진장 싫어하는 분들이 계실지는 모르겠지만, 새로운 맵이 프로게임리그를 역행시킨다고 생각하는 선수들은 없을 겁니다. 새로운 맵이 나오면 고생스럽겠지만, 선수들은 새로운 전략과 전술을 만들어 내서 치열한 경기를 하고, 저는 그 경기를 보면서 또 다른 맵을 구상하게 되고 그 새로운 구상에 따라 새로운 맵을 만들고... 이런 식의 관계가 지속되는 것이죠. 실제로 올림푸스를 준비하면서 걱정도 엄청 많이 했습니다. 경기 자체가 가능할까에 대한 우려였죠. 처음에는 제 맵에 적응하지 못하고 특정 맵에서 전진 투 배럭스 후 치즈 러쉬나 질럿 캐논 러쉬 등 도박적인 전략과 전술도 많이 나왔지만, 선수들이 맵에 적응하고 나서는 이 맵에서의 전략과 전술이 상당히 안정화되었다고 생각됐습니다. 마이큐브 조지명식 때 조용호 선수가 '새로운 섬맵이 변수가 되겠지만, 나머지 맵들은 잘 알고 있는 맵이기 때문에 부담은 없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요. 이렇듯 새로운 맵과 선수들과의 관계는 서로에게 부담을 주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리그 자체를 발전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이유가 된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시 프리미엄 리그로 돌아가서 이야기를 풀어보면, 새로운 맵이 도입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저는 누구보다도 더 안타까운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무조건 새로운 맵을 넣어서 선수들에게 부담을 주자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리그를 준비하면서 여러 개의 맵을 소화해 내야하는 선수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각 방송국 별로 기존에 사용되던 맵 하나와 새로운 맵 하나 그것도 부담이 된다면 총 네 개의 맵 중에 로템 하나, 기존에 사용되던 맵 하나, 기존에 사용되던 맵을 수정한 맵 하나, 새로운 맵 하나... 이 정도 선에서 맵을 선정했으면 좋았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새로운 맵을 도입하지 않은 주된 이유가 선수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새로운 맵에서의 변수를 없애기 위해서인데요. 리그에 참가하는 선수들이라면 최소한 이 정도의 부담은 가져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하나 정도의 변수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고요. 리그가 짧은 시간동안 진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선수들은 맵에 적응할 것이고 리그의 중반부를 넘어서면 새맵은 더 이상 새맵이 아닌 게 되어버리죠. (패러독스를 예로 들으려고 했으나, 패러독스는 워낙 특이한 맵이기 때문에 예로 들기가 조금 무리가 있지만 어쨌든 어떤 뉘앙스로 이야기를 하려는 건지는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저는 게임방송리그를 세 가지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게임'적인 측면, 다른 하나는 '방송'적인 측면 그리고 나머지 하는 '리그'적인 측면인데요. 역순으로 설명을 해보면, 먼저 리그적인 측면은 말 그대로 리그의 형태나 진행방식과 관련한 측면입니다. 예를 들면 온게임넷의 노동환 방식 풀리그와 엠겜의 더블엘리미네이션 방식이 될 수도 있고, 크게 보면 온게임넷의 챌린지리그와 듀얼토너먼트 스타리그의 진행방식과 엠겜의 메이저리그와 마이너리그 방식 이런 측면을 말하는 것이죠. 다음으로 방송적인 측면은 순전히 PD의 역량을 말하려는 겁니다. 예를 들면 오프닝 화면을 만들고 선수들 소개를 어떤 식으로 하고 어떤 음악이 들어가고 하는 것들과 어느 시점에서 선수를 화면에 잡고 개인화면을 집어넣고 하는 것들을 말하는 거죠. 마지막으로 게임적인 측면은 크게 보면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가장 중요한 선수이고, 두 번째는 중계진(방송적인 측면에서 해석이 가능할 것 같네요), 세 번째는 옵저버 그리고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바로 맵입니다. 프리미엄리그는 리그의 진행방식을 보면 연승제도나 심판제도, 맵추첨 등 타 리그와 달리 독특한 진행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방송적인 측면은 아직 리그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말할 단계는 아닌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게임적인 측면은 현재 진행중인 엠겜 리그와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똑같은 선수가 똑같은 중계진과 함께 똑같은 맵에서 경기를 하는 격이 되기 때문에 게임적인 측면에서 리그의 의미를 찾기는 힘들지 않나 싶네요. 이 측면이 바로 제가 가장 아쉽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절대로 제 맵이 사용되지 않았다고 투덜대는 것이 아닙니다. (저도 나름대로 새로운 맵을 도입시키는 것에 대해 엄청난 부담을 갖는 사람이기에 맵 도입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죠~ ^^) 엠겜의 맵 제작자이신 정용군이나 혹은 새로운 맵 디자이너를 도입시켜서라도 새로운 맵이 하나 정도는 들어가야지 리그 자체의 의미가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선수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새로운 맵의 변수가 없는 이벤트성 리그라는 것을 저 역시 충분히 이해합니다. 어쩌면 정말 매니아 급이 아니고 일정 수준의 시청자들은 맵을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로템에서의 공식전을 환영하는 분들도 꽤 될 거라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맵이 도입되지 않은 것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아쉬운 기분만 전하는 것이죠. 지금에 와서 새로운 맵이 도입된다는 것은 말이 안되고, 리그 중간에 새로운 맵이 들어간다는 것은 더더욱 말이 안 되기 때문에 새로운 의견은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온게임넷에 대한 이야기로 정리를 하겠습니다. 온게임넷을 옹호하거나 다른 방송 리그를 비난하기 위해서 언급하는 것은 아니고, 새로운 맵에 대한 방송리그의 자세를 온게임넷을 통해서 이해해 보려고 합니다. 지난 3월에 온게임넷 프로리그가 출범을 앞두고 개인전맵과 팀플전맵을 모두 새롭게 가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 공식맵을 프로리그에서 마저 사용하는 것은 프로리그의 의미도 떨어지고 재미도 덜 할 거라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온게임넷에만 출연하는 선수들이 아니기 때문에 한 방송국이 너무 많은 맵을 내놓는 것은 선수들에게 부담이 굉장히 크고, 프로리그의 선수기용 방식 자체가 완전히 새로운 맵보다는 어느 정도 밸런스나 전술이 노출된 맵이 좋을 거라는 의견이 강력하게 제기되었기 때문에 프로리그에서 역시 스타리그 공식맵을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지금에 와서 보면 잘 된 선택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프로리그 2차 시즌은 조금 다른 의미에서 해석이 되었습니다. 일단 '무조건' 스타리그 맵을 쓴다는 개념을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개인전맵에 대한 회의를 다시 하게 되었고, 스타리그에서 새롭게 도입한 '패러독스'는 프로리그의 진행방식과 맞지 않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제외하고 새로운 맵을 도입하는 쪽으로 결론을 냈죠. 제가 생각해도 '패러독스'는 노동환 방식에 의해 맵이 정해져서 선수들의 준비를 강요하는 형태에는 어울릴 수 있지만, 선수기용이 자유로운 프로리그에서는 어느 정도 한계를 드러낼 수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새롭게 제작된 맵이 프로리그 개인전을 통해서 선보이게 됩니다. 참고적으로 말씀드리면 오늘 완전히 프로텍터까지 설치가 된 '공개용 맵'이 도형이형에게 전해졌고, 아마도 지금쯤이면 각 선수단에게 제공이 되었을 것 같네요. 새롭게 도입되는 맵은 'Another Day'라는 맵으로 (물론 롯데리아배 여성최강전에서는 있었지만) 스타리그나 프로리그를 통해서는 한 번도 선보인 적이 없는 '3인용 지상맵'입니다. 자세한 건 11일에 개막하는 프로리그를 기대해 주셨으면 하고, 이왕 말씀드리는 김에 하나도 말씀드리면 팀플맵은 네오 정글 스토리가 빠지고, 네오 버티고가 팀플 전용으로 수정되어서 사용됩니다. 버티고 플러스라는 맵이고, 아시겠지만 버티고는 재경이형이 제작한 맵인데 큰 수정이 있었던 것이 아니고 네오 버티고가 팀플레이에 어울리게끔 조정을 해준 것이기 때문에 제가 수정을 했죠. 이 맵 역시 기대해 주셨으면 하네요.

쓰다 보니, 꽤 긴 글이 되어버렸는데요. 커다란 의미를 찾기 위해서 쓴 글은 아닙니다. 다만 프리미엄 리그의 맵 선정에 대해서 이야기하시는 분도 있고, 제 자신이 새로운 맵 도입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싶은 욕심이 있어서 이런 글을 써본 겁니다. 정리가 잘 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어하는 지는 이해가 되실 거라 기대해 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이만...


Rose.of.Drea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layers jotang
03/10/02 21:09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네오버티고 플러스..상당히 기대가 되네요..
서창희
03/10/02 21:10
수정 아이콘
동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밑에 제가 쓴 글과도 내용이 비슷하네요. 맵에 관련한 아쉬운 점들이 많긴 하지만 '최고'를 문구로 삼는 KT, KTF 프리미어리그가 모쪼록 잘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가라앉은사원
03/10/02 21:11
수정 아이콘
하긴 프로리그에서 패러독스 쓰면 패러독스에선 저그 유저를 거의 못볼 가능성이 크겠군요.
프로리그 2차 시즌도 정말 많이 기대하고 있습니다. 애쓰시는 모든 분들 화이팅입니다.^^
03/10/02 21:12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 맵 정말 기대됍니다!
DeaDBirD
03/10/02 21:15
수정 아이콘
그랬군요.. 계속되는 맵의 발전은 스타크래프트의 또다른 확장판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단지 종족간 밸런스만 생각했었는데. 선수-방송사-타 방송사-스폰서 등 수많은 변수가 있었군요.. (그래도 로템이 좀 아쉽기는 합니다만..)
[R.O.D]님 등 맵디자이너님들의 숨은 수고 덕에 아직도 스타를 즐길 수 있습니다.. 그 노가다(-.-)에 지치지 않으시길..

p.s. 그나저나 맵디자이너님들에게 충분한 댓가가 지불되는지 궁금..
03/10/02 21:17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이 댓글이 개인적으로는 PGR 첫글이군요^^)
맵을 직접 제작하시는 분이시라서 아마도 맵에 대한 아쉬움이 더욱 크신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의 겨우는 그들의 현란한 손짓, 발짓, 칼짓, 총짓(?)을 커다란 마당에 올려놓고 다시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대만족입니다.
'주연'인 선수들의 일거수 일투족에 빠져있기에, '배경'인 맵에 대한 아쉬움이 저에게는 상당히^^;; 미미합니다.
- 맵의 중요성은 무시하는 것으로 오해하지 않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

(실제로 저희집엔 엠겜은 물론 겜티비도 나오지 않으니 발표된 맵중 로템을 제외한 맵도 생소합니다-.-;; 그러나 저는 VOD화면은 좋아하질 않는
편인데. 우리집에 안나오는 엠겜, 겜티비.....이 점이 저에겐 무척이나 아쉽습니다.^^;;)
피투니
03/10/02 21:21
수정 아이콘
와.. 어렵습니다-_- // 버티고 플러스와 3인용 지상맵. 기대 됩니다.^^!
불꽃남자
03/10/02 21:51
수정 아이콘
역시 이제는 스타를 전략/전술뿐만 아니라 어느맵에서 하는지도 재미죠..
03/10/02 21:52
수정 아이콘
맵이 사실상 패치라는 말도 있죠.
As Jonathan
03/10/02 22:11
수정 아이콘
버티고 플러스와 3인용 지상맵,,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팀플맵은 무엇이 될지,, 참 궁금합니다^^ 계속 헌트리스가 쓰이나요?
有馬總一郞
03/10/02 22:27
수정 아이콘
롯데리아배 여성최강 스타리그 3인용 맵...아라크네와 미네랄11덩이인가 있던 wheels of war개량맵...그때 플레이했던 이현주 선수 기억이 새록새록~
케타로
03/10/02 22:30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는 스타를 만들었고,
PC방은 스타를 대중화시켰고,
게임방송사는 스타에 보는 재미를 주었고,
프로게이머들은 스타를 발전시켰다면.

맵 제작자들은 스타에 끝없는 생명력을 주었죠.
As Jonathan
03/10/02 22:32
수정 아이콘
그리고 팬들은 그 생명력을 뒷받침하는 원천을 제공하고 있죠..^^
케타로님의 말씀이 참 가슴에 와 닿네요..^^
세츠나
03/10/02 22:37
수정 아이콘
아니...어째서 버티고-改가 아니란 말입니까!
버티고 플러스라니 실망...ㅠㅠ [?!]

(이해하신다면 PGR 유머란 죽돌이[...])
03/10/02 22:41
수정 아이콘
이번 리그의 성격으로 볼때 맵선택은 아주 적절했다고 봅니다. 만에 하나 있을 조금이라도 도박적인 실패요인이 될수 있는 것을 쓸수 있는 상황이 아닌거 같습니다.
카나타
03/10/02 22:49
수정 아이콘
세츠나님 때문에 한참 웃었습니다ㅜ_ㅜ
우후후우후
03/10/02 23:05
수정 아이콘
"아쉽긴 하지만 어쩔수는 없었겠다" 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그리고 새맵 기대됩니다 ^.^
안전제일
03/10/02 23:42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의 새로운 맵과 버티고 플러스 덕분에 두근두근-해버렸습니다!!!
(버티고를 얼마나 좋아하는지..^_^)
11일 개막될 프로리그가 정말 기다려 집니다!(그러나..그날 엠겜 팀리그 결승은 어쩌나...둘다볼수는..ㅠ.ㅠ)
프리미어 리그에 대해서는 아쉬움만...그래도 잘되기를 바라고 기대하는 중입니다.
프리징
03/10/03 00:53
수정 아이콘
저도 새로운맵 나오면 좀 싫어했었다는...항상 로템같은 맵만 좋아라 했었는뎅... 오늘 맵의 중요성을 새롭게 느끼게 되네요 ㅡ.ㅡ;;음... 3인용맵+_+ 버티고 다시볼수있게 되구... 프로리그 기대 만땅 !!!!!
물빛노을
03/10/03 06:40
수정 아이콘
미네랄 11덩이짜리 맵은 아마 Mark of Santuary(스펠링 맞나ㅡㅡ)일 겁니다^^
有馬總一郞
03/10/03 13:30
수정 아이콘
물빛노을님// 빙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592 "아제의 스타일기" 2003. 10. 3 <허무...눈물...> [11] 박아제™2062 03/10/03 2062
13589 게임스타일과 apm. [16] rimester2801 03/10/02 2801
13588 겜비씨와 엠비씨 게임 [8] Neos3335 03/10/02 3335
13587 정말 스타하기 싫어지는 날입니다 TT;;; [8] 코우2216 03/10/02 2216
13585 프로토스란 종족은! [10] 코코둘라2606 03/10/02 2606
13584 내가 생각하는 맵과 선수 그리고 방송리그... [21] 변종석3548 03/10/02 3548
13583 엠비씨게임. 충격의 프로토스 전멸... [15] Godvoice4869 03/10/02 4869
13582 mbcgame MSL 경기 문자중계 해주세요~ [25] 박서의꿈2792 03/10/02 2792
13581 제가 10년째 삼성 팬입니다... [12] 나도 플토할래~1802 03/10/02 1802
13580 [속보] 이승엽선수 홈런! [45] 막군2493 03/10/02 2493
13579 [잡담]대략 긴장됩니다...;;; [8] 박아제™1583 03/10/02 1583
13577 인터넷으로 일간스포츠 홈피를 보다보니.. [1] 한빛짱2375 03/10/02 2375
13574 지금 KBS SPORTS 에서.... [4] quawa2009 03/10/02 2009
13572 프리미어리그 이야기. [5] DeRosa3718 03/10/02 3718
13570 [잡담] 보스턴 거의 가망없습니다. [29] 초보랜덤2735 03/10/02 2735
13569 [정보] 동양 오리온 팀명공모 [23] gam3953 03/10/02 3953
13568 [감격] 떳다떳다 비행기 ㅠ_ㅠ [16] 리정호1914 03/10/02 1914
13567 이럴수가... 조정현 선수 이름을 팔아먹는 사기꾼 아닌가요? [9] acepoker3743 03/10/02 3743
13566 [잡담]정말 말도 안되는 컨트롤들...(펌) [23] 토수4172 03/10/02 4172
13565 이승엽 선수와 홈런...개인적인 바람 하나... [9] eyedye4u1643 03/10/02 1643
13562 프로리그 팀플전 [8] 키드팝2445 03/10/02 2445
13561 형광등과 초 [1] 오크히어로2284 03/10/02 2284
13560 한국 프로게임계의 2막 1장 프리미어 리그. [6] clonrainbow2961 03/10/02 29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