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4/20 21:56:18
Name 8figures
Subject [일반] 이재명이 당선되면 서울 부동산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저는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이 99%의 확률로 당선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보수쪽이 더 이득인 저조차도 이번엔 국민의힘 후보를 절대 뽑지 않을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이재명이 대통령이 된다고 치면 그에 따라 각자가 재테크 측면에서 대응을 잘 해야 할 거 같은데요.
(보수쪽이 대통령이 되더라도 동일하겠죠 당연히)

문재인 때 대한민국 부동산, 특히 서울 부동산이 폭등한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번에 똑같은 민주당인 이재명이 대통령이 된다고 가정하면 서울 부동산이 어떻게 될지가 궁금합니다.


저는 문재인의 정책이 대한민국 부동산, 특히 서울 부동산의 폭등에 영향을 끼친 큰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이재명도 같은 민주당이니 이재명이 되면 서울 부동산이 더 오르는 정책을 펴서 서울 부동산이 또다시 폭등하게 될지,

아니면 문재인이 특이했을 뿐 이재명이 되더라도 그냥 예년과 비슷하게 오르게 될지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선거게시판에 계시면서 재테크에도 관심이 많으신 분들의 고견을 듣고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웅산
25/04/20 22:18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 이건 이재명 본인도 모를 거 같군요.. 거시적인 경제의 향방이 결국 좌우할 거라서.. 물론 문정부 때처럼 이상한 정책이 계속된다면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같은 실정을 세번을 할까요? (세번..??)
카이바라 신
25/04/20 22:24
수정 아이콘
이재명이 삼프로인가 거기 나와서 말하길 부동산 정책 안건드린다 라고 말해서...근데 다른데서 어찌 말했는지 모르겠지만.
TWICE NC
25/04/20 22:31
수정 아이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1514421573096
주택금융공사에서 이상한 정책을 먼저 만들고 있네요
이게 진행된다면 집값 부양 되고 상승기로 가겠네요
집값 오른다면? 차기 정부 탓 하겠네요
지구돌기
25/04/20 22:33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크게는 사이클을 따라가는 거라고 봅니다.
노태우 폭등 - 김영삼, 김대중 침체 - 노무현 폭등 - 이명박, 박근혜 침체 - 문재인 폭등 - 윤석열 침체
식의 사이클이 돌고 있다고 보이고요.

그럼 다음턴까진 침체이긴 한데...
뭐 과거 사이클이 같은 주기로 반복된다는 보장도 없고, 사이클 주기가 짧아지는 느낌도 들어서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왠지 이재명 후반기에는 폭등 사이클이 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윈터울프
25/04/21 01:07
수정 아이콘
박근혜 중반부터 폭등입니다. 박근혜때 대출을 급격하게 풀면서 로켓탄을 쏘아올렸고, 문재인때는 호기롭게 브레이크 밟다가 브레이크가 터져
나간겁니다.
25/04/20 22: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견해입니다만
결과론적인 부동산가격은 결국 미국 기준금리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갈리는데
정책에 따라 연착륙이냐 경착륙이냐만 달라지는거 같습니다

문재인 때 폭등하긴 했습니다만
저금리 양적완화 등등해서 안오를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어찌보면 덜 오르게 하려고 온몸비틀기한거 같은데
입을 잘못 털어서 업보스택 많이 쌓은거라 생각합니다
시장 상황보다 더 오른건지 덜 오른건지는 각자 생각이 다를거고
전문성 있는 분 의견이 더 맞을거라 생각해서 언급할 수는 없구요

그래서 결론은 미국이 어떨것이냐에 달렸는데
트럼프가 혼돈 파괴 망가 상태라 모르겠다 아닐까요
외로운사자솔구
25/04/20 22:55
수정 아이콘
부동산 가격이 미국 기준금리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내지는 통계가 있을까요?
25/04/20 22:58
수정 아이콘
통계보다도 부동산 투전판에 뛰어본 경험이 그렇습니다

어차피 부동산이라는게 내 돈으로 사기는 힘들어서
미래의 나와 힘을 합쳐서 사는건데
미래의 나를 불러내는 마법의 주문은 은행이 걸어주거든요

그런데 그 주문 값은 기준금리가 정하고 기준금리는 미국 금리 따라가지 않으면 경제가 파탄나니까요

부동산 불황 터진건 미국 기준금리 올라간 이후 시점입니다
25/04/20 22:55
수정 아이콘
혼돈 파괴 마가 라고 쓰려고 했는데 습관이 이렇게 무섭네요
국힙원탑뉴진스
25/04/20 22:57
수정 아이콘
모르겠는데 되게 불안하긴 합니다. 탄핵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찍기 꺼림찍한 부분이에요. 준석이나 찍어야하나.
25/04/20 23:27
수정 아이콘
경제 책사로 최배근 임명하던 그전과 지금의 경제관이 바뀌지 않았다고 생각해서 손해는 안 볼거라 생각합니다.
다람쥐룰루
25/04/20 23:46
수정 아이콘
코로나 직후 비정상적인 집값상승은 전세계적인 금리인하에 맞춰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하했다는게 가장 큰 원인중 하나입니다.
이번에 한은이 금리 동결했고 부동산 억제를 위해 한동안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것을 언급했죠
만약에 차기 정부에서 금리를 인하할 예정이 있다면 부동산 억제정책과 병행해야 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구돌기
25/04/20 23:53
수정 아이콘
일단 한은도 추가 금리 인하를 시사했기 때문에 5월에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습니다.
슬래쉬
25/04/21 00:01
수정 아이콘
이재명의 부동산 정책이 아니고
민주당의 부동산 정책이라고 하는게 맞는거라 생각하고
그렇기 때문에 문재인 정부때 일어났던 일이 다시 반복될거라 생각합니다.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가 다시 반복될거라 예상
25/04/21 00:07
수정 아이콘
당분간은 현 시세대로 홀드될것 같긴한데
오르면 전세나 월세 사는 사람들 비명이 나오고
내리면 집주인들이 비명이 나오겠죠
즉 제일 좋은건 그냥 지금 시세에서 큰변화가 없는 상황을 만드는게 정치적으로는 좋겠고 굳이 욕먹는거 좋아하는것이 이잼명 성격이 아니라면 그렇게 할것 같긴합니다.
25/04/21 00:22
수정 아이콘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정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영향을 끼친것은 전세법 정도가 있겠다 생각하고 이게 없었어도 세계 정세상 양적 완화로 인하여 부동산 가격 상승은 어쩔수 없는 수순이었다 봅니다. 결국 수요와 공급으로 인하여 결정되는게 부동산인데 양적완화하면서 그 돈들이 부동산과 주식투자등으로 간 돈이 꽤나 있었습니다. 이건 미국등 세계가 거의 동일했고요. 문재인정부가 어느정도 기여를 했다는 것은 사실이긴 한데 부동산이 다 문재인 정부탓이다 라고 하기는 어렵죠.
25/04/21 00:25
수정 아이콘
공식아닌가요, 민주당집권은 부동산폭등. 
오컬트
25/04/21 00:27
수정 아이콘
결국 서울집값과 수도권이 관건이라고 보는데, 부동산은 금리가 가장 크게 영향을 주긴하지만,
공약으로 내건 수도이전이 성공한다면 어떤 영향을 줄지는 가늠이 안되네요.
디오자네
25/04/21 00:50
수정 아이콘
금리가 저금리로 가는 추세가 된다면 누가 집권하든 부동산은 폭등 하게 될 거구요, 반대로 금리가 오르거나 현추세가 된다면 집값은 보합하거나 떨어질거라고 봅니다
25/04/21 01:44
수정 아이콘
이재명을 신념형 정치인이라고 보진 않는지라
지지율을 생각하면 집값이 내려가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봅니다.
밀하는 정책들을 봐도 인플레이션 관점에서
우려되는 지점들이 믾기도 하고..
종합백과
25/04/21 01:55
수정 아이콘
민주당이 집값을 잡기 싫어서라기 보다는 민주당의 이념상 쓰는 정책들이 집값을 부추길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수요억제 중심의 규제 강화가 공급 위축으로 이어지고, 다주택자가 주택 처분 대신 임대료를 올려서 전월세 시장 불안이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는 등...

그렇다고 이러한 접근이 잘못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공급을 확 푸는 건 국힘이 할만한 정책이라 규제로 집값을 잡고 불평등을 축소시키는 그런 효과를 태생적으로 추구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서...
뿌엉이
25/04/21 05: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민주당 정책특성상 집값 하락은 힘들건데 상승하기에는 경기가 나쁜데다 아직 금리도 높죠
자연스럽게 놔둔다면 우하향 해야 하지만 이재명대표가 자기가 집권하면 경기부양하는 방법이 있다는데
가장 손쉬운게 부동산 부양이죠 문재인 정부의 실책은 김수현 김현미 같은 무능한 사람을
임명한데다 교체도 한참 늦었죠 문재인 본인이 실제 부동산 상승을 인정 안했으니
대책이 나와도 구멍이 뚫린 땜질식 처방만 연발 했습니다 김현미 교체 수개월 전에도 대처 잘하고 있다고
칭찬을 하는 촌극을 연출했죠 결국 4년차때 인정했지만 이미 다 오른후였습니다
지구 최후의 밤
25/04/21 07:22
수정 아이콘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있고 정책은 방향성을 거스르진 못하고 폭만 어느 정도 가감하는 정도라고 생각해서 크게 상승할까 싶긴 합니다.
수돌이
25/04/21 07: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냥 유동성과 성장 따라 가죠. 정책으로 인한 집값 오름 내림이 어느정도 있겠지만 제한적입니다. 결국 거시경제가 좋거나 유동성이 풍푸한 상황이 필요합니다. 민주당 시기 집값 오를 때 주식도 같이 다 올라갔었습니다. 김대중 시기 IMF로 인한 기저 효과로 주가 상승, 노무현 시기는 사상 최초 2000돌파등 주식값 3~4배정도상승, 문재인 시기 주가 3000 돌파등 한국 주식의 최고점 기록등, 민주당 시기가 따져보면 주가가 엄청 좋았죠. 경기가 팽창할 때입니다. 민주당이 뭐 정책으로 주가를 부양했었나요? 그리고 민주당시기가 미국 집값도 상승기 였죠. 김대중,노무현시기 미국은 서브프라임 사태직전일정도로 집값이 계속 올랐었죠. 문재인시기 미국 집값 상승률은 문재인시기보다도 더 높습니다. 결국 노무현 대신 이회창이 됐어도 집값은 올랐고 문재인 대신 유승민이 됐어도 집값은 올랐을 것입니다. 물론 정책으로 인한 약간의 차이는 있었을지 모르지만요. 그리고 한국은 미국이 부양할때는 그래도 돈을 쓸 수 있지만 반대일때는 자채로 돈으로 부양하기 힘든 나라입니다. 우리나라가 기축통화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부양을 하면 국채를 발행해야 하고 수출으로 번 달러나 외국인 투자가 적은 상태에서 미국이 돈풀지 않아서 달러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한정된 수요를 가진 한국 국채가 갑자기 공급이 많아지면 국채 공급을 감당하지 못해 국채금리가 폭등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국채금리가 폭등하면 국채보다 안정성이 떨어지는 은행채등의 금리도 폭등해서 시중 금리도 폭등합니다. 결국 정부돈 풀어서 집값 상승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결론으로 이재명 시기 코스피 4000 넘을 거 같으면 집 사세요. 근데 아닐거 같으면 집살 필요 없습니다. 민주당때 집값 오를때는 코스피도 사상 최고치 경신할때가 많았습니다.
25/04/21 09:0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정책으로 부동산 가격을 예측하는 건 굉장히 위험한 방법이라 봅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미국 기준금리를 참고하는게 훨씬 타율이 높을거에요
마술의 결백증명
25/04/21 09:30
수정 아이콘
문재인 정부에서 느꼈습니다
그냥 어떤 발악을 해도 거시적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구나하고요
탄산수중독
25/04/21 09:45
수정 아이콘
돈을 엄청 풀텐데(기본소득이다 뭐다) 그러면 돈 값어치는 내려갈테고, 실물경제인 부동산이 안 오르기 어렵다고 봅니다..
덴드로븀
25/04/21 10:00
수정 아이콘
https://blog.naver.com/richkang7979/223695020190
(그래프 참고)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44140
[2024 KB 부동산 보고서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4-03-03

<정권 주요 가격 변동률 (연간, 서울 기준 추정) 주요 특징>
노태우 +50% 부근 급등 후 급락하여 0% 하회 / 규제 강화, 200만호 건설, 급등 후 안정화 시도
김영삼 0% 내외 안정세 유지 후 외환위기 시 -15% 부근 급락 / 규제 완화 기조, 외환위기 발생 및 가격 급락
김대중 외환위기 저점(-15% 부근)에서 회복하여 +30% 부근 급등 / 외환위기 극복, 규제 완화 후 급등 및 규제 시작
노무현 +25% 부근까지 상승 후 높은 변동성 보이며 +5% 이상 유지 / 강력한 규제 정책 시행, 높은 가격 상승률 유지
이명박 금융위기 영향(-5% 부근)으로 하락 후 회복 더디고 침체 / 규제 완화 기조, 글로벌 금융위기, 가격 하락/침체
박근혜 침체(-5% 부근)에서 벗어나 +5% 부근까지 점진적 회복 / 규제 완화 및 부양책, 점진적 가격 회복
문재인 +5% 부근에서 +20% 초과 수준까지 가파른 상승 / 강력한 규제 강화에도 불구, 역대급 가격 급등
윤석열 +20% 이상 고점에서 -10% 이하로 급락 후 조정 / 규제 완화 기조, 금리 인상 등 영향, 급락 후 조정

그래프만 바로 보이게 첨부되면 딱 좋은데 방법이 이것뿐이네요.

문정부시절 고점 찍고 윤정부시절 하락세를 겪다 반등중인 상황이니
이재명 정부가 별일없이 5년을 정상적으로 마무리한다고 가정하면 임기중 외부충격에 의한 하락은 나와도 결국 꾸준한 아파트값 상승 쪽이 높다고 예측해볼수는 있죠.

그런데 말입니다...

트럼프가 이런식으로 관세가지고 미친짓을 할거라고 제대로 예상한 사람이 있던가요?
저게 블러핑이라 진정이 된다면 모를까 대공황급 경제위기의 트리거가 될 가능성이 0% 라고 예상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죠.
결론은 서울 아파트값은 우리나라 내부의 상황에 의해서만 정해질수가 없기 때문에 그냥 예측불가라고 생각하는게 편하죠.
25/04/21 10:17
수정 아이콘
심플하게 봅니다. 부동산을 건드려야만 지지도가 버텨내느냐, 아니냐.

건드려야 하면 상승장의 가능성이 1그람쯤, 건드리지 않아도 되고 그대로 두면서 시장에 맡겨두고 보면 오르기는 쉽지 않은 상황..
마카롱
25/04/21 11:53
수정 아이콘
오르든 내리든 언론에서 물어뜯는다에 한 표 겁니다.
영혼의 귀천
25/04/21 13:02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한표. 심지어 횡보해도 까일겁니다.
25/04/21 12:38
수정 아이콘
25년 3월 17일 발표된 민주당 민생연석회 주요 정책 의제 20개 중 '10년 전세' 포함 및 해당 민생연석회의의 구성과 방향을 보면 많이 예상되는 방향이라고 봅니다.

- 임대차 관련 규제 확대(전세기간 확대 및 전월세 신고제)
- 재개발 및 재건축 규제 확장(소형주택 의무화 폐지 복원 및 재건축 임대주택 공급 의무)
- 정부주도 공공주택 공급 확대

문정부 시기 김현미 전장관의 후임장관인 변창흠 교수도 포함된 민생연석회의 주거위원회 구성명단 및 기 발표된 전세 10년 등 내용을 고려할 때, 큰 틀에서 문정부의 방향(임대차 규제 강화, 재개발과 재건축 통제 강화, 공공주도 선언)과 유사하지 않을까 싶네요.

전체 부동산은 거시변수로서 기준금리 및 통화량이 가장 영향을 크게 주는 것은 분명하나 서울 및 도심지역에 한정하면 민간 공급 억제 및 임대차 허들을 높이는건 핵심지 자가 보유자에게 비교적 긍정적인 소식이 될 것 같습니다.



'24년 11월 민생연석회의(의장 이재명) 출범
https://theminjoo.kr/main/sub/news/view.php?brd=11&post=1208083&search=%EB%AF%BC%EC%83%9D%EC%97%B0%EC%84%9D%ED%9A%8C%EC%9D%98

민생연석회의 주거위원회 구성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504150952593160392
https://news.nate.com/view/20250415n34404?mid=n0100

민생연석회의 주거위원회 정책방향
https://www.fnnews.com/news/202504181041475723
치킨너겟은사랑
25/04/21 12:42
수정 아이콘
금리에 따라 갈리겠죠... 금리의 중요성은 윤정부때도 느껴지지 않던가요. 아무리 부양책을 써봤자 금리 앞에선..
시린비
25/04/21 12:46
수정 아이콘
어떻게 굴러가도 '이게 다 이재명 때문이다' 될거같긴 한데 이젠 그 미래까지 미리 데려와서 탓하는 경우도 이래저래 있는듯도 하고
내우편함안에
25/04/21 12:56
수정 아이콘
실패한다 개판된다고 하는 사람들 이전글들 떠올리면
실상 제발 올라라 올라라 박살나라 기도하고 있는게 보이죠
Pelicans
25/04/21 14:00
수정 아이콘
작성자님을 디스하려는건 아니지만, 정권이 교체되면 가장 먼저 부동산이 어떻게 될지에 관심이 모이는 현실이 좀 안타깝네요
신천지는누구꺼
25/04/21 14:45
수정 아이콘
오를가능성

1.약달러
2.확장재정으로인한 통화량증가
3.인플레로 인한 기존의 공급공백으로인한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
4.똥볼정책 (이건 모르겠습니다 전세10년보장같은걸 진짜로 하냐 안하냐에 따라)

내릴가능성

1.미 경기둔화에 의한 스태그플레이션
제노스브리드
25/04/21 15:19
수정 아이콘
곧 지방 광역시권에 집을 구해야 하는 입장에서, 느낀점을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신규 건축되는 집들은 지방이라도 여전히 비싸다. 인 것 같습니다. 물론 수도권에 비할 바이겠습니까만, 젊은 사람들이 사기엔 여전히 부담스러운건 사실입니다. 같은 25평형대라도, 뭐 프리미엄이니 뭐니 하면서 신축이 3억 아래인 집은 본 적이 거의 없네요. 이제 갓 사회생활 시작하거나, 저연차 사람들은 무조건 빚 내서 구해라 이건데, 그렇게 산 집 가격이 지방은 오른다는 장담을 못 하니... 결국 저도 전세로 눈을 돌리게 되더라구요. 그렇다고 구축은 싸냐? 한 80년대에 지어진 집들도 입지만 좋다면 1억은 무조건 넘어갑니다. 저걸 과연 매매로 사서 들어갈 베짱이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나중에 안 팔리면 어쩌려고?? 그리고 적당한 혼자나 둘이서 살만한 15~20평대 집은 매물 자체가 별로 없고 값이 솔직히 25평짜리랑 크게 다르지가 않습니다.
25/04/21 15:20
수정 아이콘
그동안 말을 꺼내온 기본소득 패키지들 전부 다 하면 무조건 오를거같구요. 경기 외곽도 오를수도 있을거같네요
마샬스피커
25/04/21 16:12
수정 아이콘
문정부에서 문제는 당시 집값이 오르는건 어쩔 수 없는 면이 있었는데도 이걸 억지로 뭔가 해보려다가 완전히 망쳐버렸다는데 있는거죠. 즉 문재인과 민주당이 뭘 안했어도 집값은 올랐을겁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더 부추기게 되었고 당연히 골도 깊었죠.

어떤 형태로든 상승에 가까울 것인데 이재명 정책 대부분이 통화량 증가에 집중되어 있어서 기본적으론 오르리라고 보네요. 캉티용 효과를 생각해야죠. 어차피 부동산은 부동산 자체만으로 판단되는게 아니라 전체 통화량, 인플레이션, 거기에 지위재로서의 속성과 교육, 직장과 주거의 형태 같은게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거라 그냥 한국에선 오르는게 맞다고 봐야합니다. 별개로 인구구조 어쩌고 때문에 무너진다 이런건 서울 경기권에 미칠 여파가 아직 한참 멀었다고 봐야죠.
지구 최후의 밤
25/04/21 16:30
수정 아이콘
추가적으로 고민해보자면 현실과 지표의 괴리가 심해지리라고 봅니다.
서울 핵심지역은 계속 오르고, 광역시 이하 지방의 집값은 계속 하향할거라 모두가 서울 아파트를 바라보는 현실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지표가 계속될고라고 봅니다.
자칭법조인사당군
25/04/21 16:48
수정 아이콘
집값에 제일 민감하고 오르길 바라는 사람들이 집값올랐다고 문재인정부 때리는거 같습니다.
집값은 올랐지만 세금까지 올려서 때리는거 같아요
윤석열 정부도 하는거 보면 집값 잡을려고 잡은게 아니라 어케든 올리려고 했다고 보구요
거시경제 덕분에 집값을 잡을려고 한게 아닌데 안오른거 같습니다.
결론은 집값은 올려줬으면 좋겠고 부동산 관련 세금은 줄여줬으면 좋겠고
그래서 강남3구의 압도적 윤석열 및 국힘 지지율이 나왔다고 봅니다.
여기에 언론도 한 역할 했구요
문재인때는 오르면 '폭등' '벼락거지' 신조어 써가며 무주택자 불안감 자극하다가
윤석열때는 강남 부동산 '들썩' 이죠
여기에 '부읽남'으로 대표되는 영끌오적 유튜버들도 한 몫했구요
피지알에서도 문재인때는 신고가 하나뜨면 온갖 호들갑에
어디 은행 하나 대출 막힐때마다 건건히 글이 올라왔었는데
딱 윤석열 정권 들어서고 나니까 원래부터 부동산따위엔 관심이 없었던 것처럼
글 자체가 안올라오더라고여 참 재미있습니다.
지구 최후의 밤
25/04/21 17:04
수정 아이콘
지금 보면 부끄러울 글이 아직도 저 아래 한다스씩 있습니다 크크
오라메디알보칠
25/04/21 19:24
수정 아이콘
글 제목에 문재인 검색하면 글 제일 많이 쓰던 사람들이 윤석열 관련 글 하나도 안 쓰는거 보고 참으로 역겹습니다.
혹여나 이재명이 당선 되면 또 미친 듯이 키보드를 두들길거라 생각합니다.
치킨너겟은사랑
25/04/21 21:31
수정 아이콘
뻔할뻔자죠
니드호그
25/04/21 17:28
수정 아이콘
신경 쓰이는 문제이긴 합니다.
당시 문정부 정책 중 마음에 안드는 걸로 따지자면 세손가락 안에 들었을겁니다. 집값이 정책 의도와는 다르게 올라간다는 것 까진 그래도 괜찮지만, 정부 발표들을 보면 이게 지금 그런 상황이 아닐텐데? 라는 생각이 자꾸 들었지요.
개인적인 예상으론, 문정부 당시 부동산 정책을 크든 작든, 다시 추진하지 않을까 싶긴합니다. 다만, 세계경제가 당시와는 다르기에, 당시처럼 가격이 오를지는 솔직히 모르겠네요….
25/04/21 17:49
수정 아이콘
주변에서 역시 부동산 얘기를 많이 합니다만 항상 결론은 오르는걸 안다 쳐도 저걸 어떻게 사 이거더라구요 크크
엑스밴드
25/04/21 19:59
수정 아이콘
경기가 가라앉아있어서 부양은 해야하니 오를 거 같긴 합니다. 돈 걸라면 못 걸겠지만요.
25/04/21 21:21
수정 아이콘
글 제목 보고 좀 냉정하게 정치적 경제적 흐름에 따라서 어떻게 될지 식견있는 분들의 예측을 듣고 싶었는데 댓글은 거의 다 문재인 얘기네요...
25/04/21 21:34
수정 아이콘
가격이 오를지 안오를지 모르겠지만 한가지 확실한건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 오르면 부동산 못잡는다고 욕할거고 부동산 가격이 안오르면 부동산 경기 활황이 안된다고 욕할겁니다.
부동산 내려가면 부동산폭락해서 house poor들 다죽는다고 또 욕할거구요.
25/04/21 23:06
수정 아이콘
금리하고 대출 정책으로 돈줄 조이면 해결된다고 이야기했는데 조롱받은 건 아직도 기억나네요. 오히려 오른다고 하시던 분들도 봤었는데...
탑클라우드
+ 25/04/22 01:02
수정 아이콘
문정부 당시, 제 느낌은 부동산 카르텔(?)이 정권에 정면 도전했고, 결국 승리한 그림이었습니다.

실상 당시 부동산 정책을 추진하던 정부 측 인사들 중에서도 자신의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는 걸 원치 않았던 사람들이 많아 보였고,
고가 부동산을 다수 보유한 계층의 사회적 영향력의 총합이 문정부의 그것보다 컸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부동산이라는 것도 현상과 정책을 어떻게 해석하고 여론을 구축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언론사들과 고위층 인사, 사회적 영향력이 큰 계층이 합심해서 여론을 만들어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는 관습헌법이라는 초유의 개념까지 동원해 막았던 수도 이전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때 생각했습니다.
아, 이 나라의 기득권들은 부동산 앞에서는 단숨에 하나가 될 수 있고,
심지어 정부와도 맞설 수 있구나... 또 승리할 수도.
시장에 유동성 빠지고 부동산 떨어질 것 같으면, 주식 시장 망쳐서라도 유동성을 가져가려 들겠구나...

그래서 그때부터 미장 시작했는데,
몇년간은 꿀 좀 빠는가 했더니, 이제 또 미국에서 트럼프가 나타나서 길길이 날뛰네요 허허허
피아칼라이
+ 25/04/22 04: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냥 문정부=부동산폭등 인거죠. 이재명이 뭘 어떻게 하든 온몸을 비틀든 상관없습니다.

부동산 오르면 집값 올라서 젊은세대 다 죽는다고 프레임 짜면 되고요.
부동산 떨어지면 집값 떨어져서 서민자산 다 작살난다고 프레임 짜면 됩니다.
언론으로 선동하면 다 되죠. 지금까지 그랬듯이.

역으로 국힘쪽이 집권하면 귀신같이 부동산으로는 입다물거나 오르면 서민자산증가, 내리면 쉬워지는 내집마련 이딴식으로 프레임짜는게 언론이죠.

아, 서울집값요? 어차피 지방은 다 죽을거고 서울만 남을테니 이재명이 되든 한덕수가 되든 죽은자가 되든 서울집값은 오를겁니다. 들고계십쇼 크크.
신천지는누구꺼
+ 25/04/22 08:29
수정 아이콘
그나마 세계적인 경기부양 때문이라는 사람은 상식적으로 좀 낫습니다. 무슨 언론세력탓이니 부동산세력 탓이니 기득권 세력탓이니 하는건.. 참 크크

15년전이 많이 떠오릅니다.

오히려 집값 바닥일때는 저세력들이 콘크리크로 싸게 공구리한걸 보수정권하고 손잡고 서민들한테 강매한다고 혹세무민 하더니만.. 물론 그 교주는 여전히 승승장구하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1621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3] jjohny=쿠마 25/04/04 1208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5292
6528 [일반] 홍준표 후보, 경선 토론회 백브리핑 영상 [16] 빼사스1287 25/04/22 1287
6527 [일반] 尹 "계엄은 법적 수단 불과…칼 썼다고 무조건 살인 아냐" [23] 덴드로븀2793 25/04/21 2793
6526 [일반] 한덕수 권항대행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 [22] a-ha2998 25/04/21 2998
6525 [일반] 갈수록 태산. 많이 봤던 것 같은 트럼프 행정부 상황 [19] 군령술사3111 25/04/21 3111
6524 [일반] 이재명이 당선되면 서울 부동산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54] 8figures5249 25/04/20 5249
6523 [일반] 국민의힘 1차경선 토론회 영상 [30] Croove4982 25/04/20 4982
6522 [일반] 국민의힘 비상!!! - 전광훈 목사 출마 선언. [56] 강동원6381 25/04/19 6381
6521 [일반] MBC 100분토론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자 토론회 [13] Croove4048 25/04/19 4048
6520 [일반] 일간 나경원 [33] 동굴곰5144 25/04/18 5144
6519 [일반] 문형배, 이미선 헌법재판관 퇴임식 영상 [7] Croove2862 25/04/18 2862
6518 [일반] 이재명 "세종에 국회·대통령 집무실" / 국민의힘 "용산에선 나가야겠지만.." [35] Davi4ever4769 25/04/18 4769
6517 [일반] [한국갤럽] 이재명 38%, 홍준표·한덕수·김문수 7%, 한동훈 6%, 이준석 2% [26] 철판닭갈비3651 25/04/18 3651
6516 [일반] 윤석열 관련 위주 뉴스모음 [21] Croove2846 25/04/18 2846
6515 [일반] 국힘 의원들이 윤심을 무시 못하는 이유(22대 총선 결과) [17] 아우구스투스4923 25/04/17 4923
6514 [일반] 문재인 정권당시 통계조작 관련 감사결과가 나왔습니다. [46] Restar5364 25/04/17 5364
6512 [일반] 현재 국민의힘 분위기 [67] a-ha7440 25/04/17 7440
6511 [일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 라인업 [11] Davi4ever2613 25/04/17 2613
6510 [일반] 윤석열, "다 이기고 돌아왔다"에 전한길 '예수'같아 [42] 린버크4669 25/04/16 4669
6509 [일반] 헌재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 효력정지 가처분 인용 [33] a-ha5821 25/04/16 5821
6508 [일반] 어제~오늘 뉴스 모음 [42] Croove4717 25/04/16 47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