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08/11 08:49:49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991906
Subject 지리산은 왜 智異山으로 쓰고 지리산으로 읽을까? - 상고한어의 흔적
한민족의 영산 지리산. 신라, 고려, 조선 역대 왕조에서 모두 제사를 지낸 산이자, 대한민국에서도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한 산입니다.

그런데 이 산의 이름은 한자로는 '지이산'(智異山)으로 쓰고 '지리산'으로 읽습니다. 왜 그럴까요?

우선, 지리산은 한자로 地理山이라고도 쓰는데, 이건 '지리산'으로 읽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표기가 있는데, '리' 부분을 異 외에도 而, 利, 理로도 씁니다. 음이 '이'인 한자도 있고 '리'인 한자도 있습니다. 한국지명학회에 따르면 '지루하다'의 옛말인 '지리하다'에서 산의 이름이 나왔다고 하니 원래 이름은 '지리산'이 맞을 겁니다.

대개는 이 지리산의 한자 표기는 '활음조 현상'으로 설명합니다. 어투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리을이 첨가되어 지이산에서 지리산으로 바뀌었다는 것이지요. 물론 원래 산 이름 자체는 지리산인 것을 감안하면, 한자로 표기할 때 음이 '리'인 한자 외에 '이'인 한자도 '리'를 표기하기 위해 쓰일 수 있다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지리산이란 이름이 매우 오래된 것을 감안하면, 어쩌면 한국 한자음의 기준이 되는 중고 한자음 이전의 상고 한자음의 영향일 수도 있다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중국어의 음운 체계는 서양 음운학이 들어오기 전에 이미 연구가 되어 있었는데, 한국어로 따져보면 초성 자음에 해당하는 성모와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운모로 소리를 나누어 분석합니다. 한국어의 초성 자음은 24개지만 중국어의 성모는 현재는 21개인데, 처음으로 성모와 운모를 구분해 중국어 음운학이 발생한 시대인 중고한어의 성모 수는 대략 37 ~ 51개로 학설에 따라 다릅니다. 그 성모 중의 하나가 써 이(以)자를 쓰는 이모(以母)입니다.

以母는 지금은 영성모, 즉 소리 없는 성모로 봅니다. 그래서 以의 한자음이 모음만 있는 '이'죠. 우리말에서 이 영성모를 표기하는 한글이 바로 초성 이응입니다.
그러나 중세 한국어 자료에서는 以母 한자의 초성을 리을이나 니은으로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화할 융(融)을 '륭', 제사 융(肜)을 '륭', 물깊고넓을 융(瀜)을 '륭', 팔 육(鬻)을 '륙', 초나라서울 영(郢)을 '녕'이나 '령'으로 쓰는 것이지요. 마침 학자들은 以母의 상고음에는 유음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는데, 한국어에서 유음은 리을로 표기합니다. 그래서 以母 한자들의 초성에 리을이나 니은이 들어가는 것을 상고음의 잔재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리산의 異 역시 以母입니다.

즉, 智異山은 원래는 '지이산'으로 읽어야 하는 게 아니라, 쓸 때부터 원래 상고음의 영향으로 '지리산'으로 읽던 표기였을 것입니다. 나중에 以母가 영성모로 바뀌고 한국어에 중고한어가 들어오면서 한자 음이 체계적으로 중고한어를 따르도록 바뀌었지만, 전부터 쓰던 상고음이 남아 있었고 특히 지명은 보수적이므로 '지리산'에서는 옛 음이 그대로 보전되어 지금까지 내려왔을 것입니다.

그 외에도 한국의 고대 국명인 가야(加耶, 伽倻) 역시 가라(加羅), 가락(駕駱)이라는 다른 표기에서 둘째 음절의 초성이 리을로 나타납니다. 지금의 한자 표기 伽倻는 불교 성지 부다가야의 영향으로 고정된 것입니다. 그런데 耶 역시 以母이고, 따라서 원래 상고음으로는 '가라'에 가까운 소리였을 겁니다. 지리산과는 달리 가라가 가야로 바뀐 것은 중고한어를 바탕으로 번역된 불경의 영향으로 耶나 倻 역시 상고한어에서 중고한어로 음이 완전히 바뀐 탓일 겁니다. 가야가 불교의 성지이기도 하니 더더욱 그 영향이 강했겠지요.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으로 표시한 한자 변이음 중에서는 이처럼 한국 한자음의 기준이 되는 중고한어가 아닌 상고한어나 근고한어의 흔적이 남아 있는 한자들을 몇몇 더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지(只)는 이두에서는 '기'로 읽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면 이성계가 상대한 한 왜장을 고려인들이 부른 이름 아기바투(阿只拔都)에서도 이런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只가 속한 章母를 상고한어에서는 *krj-, *khrj-, *grg-로 추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근고한어에서는 한국어로 따지면 몇몇 예삿소리가 거센소리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는데(이를 전탁청화라 합니다), 한국에서는 어떤 경우에는 옛 중국어 방식으로 예삿소리를 유지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중국어의 변화를 받아들여 거센소리로 바뀌기도 했습니다.

예삿소리를 유지한 예로는 창자 장(腸), 돈 전(錢), 엿 당(糖)이 있습니다. 그러나 거센소리도 어느 정도 유입됐는데, 창자(腸子), 사천(私錢), 사탕(砂糖) 등에서는 이 한자를 거센소리로 읽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거센소리로 바뀐 예로는 가죽 피(皮), 주사위 투(骰), 통 통(筒)이 있는데, 예삿소리가 유지된 경우로 녹비(鹿皮), 두자(骰子), 동개(筒介) 등이 있습니다.

이 글은 신우선, 〈한국한자어에 반영된 이른 시기 중국어 운모 층위 고찰〉, 《중국언어연구》 101집, 35~56쪽의 논문을 바탕으로 합니다. 링크를 걸어 놓습니다만 애석하게도 유료 논문이네요. 학술논문은 아니고 신우선의 논문보다 논지 전개가 좀 어설픈 감은 있지만, 그보다 좀 더 이른 자료는 아카이브뉴스의 다음 기사가 있습니다. https://archivesnews.com/client/article/viw.asp?cate=C03&nNewsNumb=20150216643

초성이 많이 나오는 글이라 만우절 때 쓰는 게 더 좋았지만, 최근에 읽은 논문이고 다음 만우절은 꽤나 먼지라 그냥 올립니다.

* 아야나미레이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5-07-22 16:1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디쿠아스점안액
24/08/11 09:25
수정 아이콘
지리산 한자 표기가 저랬군요...
계층방정
24/08/12 20:12
수정 아이콘
특이하죠. 좀 더 편하게 읽을 수 있는 표기도 있는데 저게 굳어진 게 신기합니다.
24/08/11 09:51
수정 아이콘
잘 배우고 갑니다.

고대어 음운을 재구성하는걸 볼 때마다 궁금해지는데..
1. 과거에는 지금처럼 표준어 규정이 없었을겁니다. 그래서 누구는 이리 쓰고 누구는 저리 쓰는게 심했겠죠.
특히 신문방송이 없었으니 사투리가 더욱 두드러졌을거고.
2. 분석의 대상이 되는 자료가 동 시대별로 엄청난 양이 있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게 시대에 따른 언어의 변화인지, 아니면 개인 또는 지역에 따른 표기의 차이인지 어떻게 구별할까요?
계층방정
24/08/12 20:17
수정 아이콘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한자는 자체적으로는 표음 기능이 없기 때문에 난감한데요, 여기에서 많은 힌트를 제공하는 게 시와 같은 운문학입니다. 소리를 바탕으로 만드는 작품이기 때문에 소리를 추정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고대에도 지역적인 사투리 차이를 극복하고 소통하기 위한 링구아 프랑카가 있었기 때문에 대개는 이런 고대의 대세 언어를 연구합니다. 이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상고한어의 소리를 추정할 때에는 《시경》이 중요합니다. 시이고, 고대 중국의 외교에서는 서로 자신의 뜻을 담은 《시경》의 시를 읋어서 의사를 전달했으니까요.
24/08/13 08:36
수정 아이콘
가르쳐 주셔서 고맙습니다.
중국은 그런데, 고대 한어의 자료도 많이 있나요?
계층방정
24/08/13 20:49
수정 아이콘
고대 한국어라면 안타깝게도 정말 자료가 없어도 너무 없다고 들었습니다.
24/08/14 11:49
수정 아이콘
가르쳐 주셔서 고맙습니다
사부작
24/08/11 10:08
수정 아이콘
아하!
계층방정
24/08/12 20:1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4/08/11 10:46
수정 아이콘
(필기도구인) '먹'과 '붓'도 상고한어란 이야기를 처음 듣고 신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한참 뒤에 유입된 '묵', '필'과 비교하면 한자어의 느낌이 전혀 들지 않네요.
계층방정
24/08/12 20:17
수정 아이콘
저도 그거 들었을 때 마찬가지로 신기했어요.
24/08/11 15:30
수정 아이콘
오 잘 읽었습니다 크크
계층방정
24/08/12 20:18
수정 아이콘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크크
가을의빛
24/08/11 15:49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계층방정
24/08/12 20:1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을 쓸 수 있게 노력할게요.
24/08/14 02:02
수정 아이콘
지금 지리산에 워크숍 왔는데 지리산 관련글을 보니 더 재밌게 읽었습니다. 혹시 계곡 놀러오실분은  ’느티나무 산장‘ 괜찮은것 같습니다, 세미나실도 있구요!
어제는 지리산 바위에 한자글도 발견되었다고 하는 소식입니다.
https://m.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408131321001/amp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6] 노틸러스 23/06/01 32864
3915 대리운전, 투잡 or 알바로서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소소한 팁 [43] 청운지몽2555 24/08/14 2555
3914 지리산은 왜 智異山으로 쓰고 지리산으로 읽을까? - 상고한어의 흔적 [16] 계층방정2415 24/08/11 2415
3913 유럽사는 딱 3가지만 알면 됩니다 |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세계사 [32] Fig.12415 24/08/06 2415
3912 외박 복귀 D-4시간, 기차 타고 가면서 써보는 잡썰 [36] No.99 AaronJudge2282 24/08/04 2282
3911 MP3의 추억. iAUDIO G3 세척? 수리?기 [24] 우스타3453 24/07/28 3453
3910 뉴욕타임스 6.24. 일자 기사 번역(지하 미생물은 지구를 변화시킨다.) [9] 오후2시12123 24/07/28 12123
3909 내가 알고싶지 않은 바보들의 소식까지 알아야되는 세상 [33] 고무닦이12451 24/07/26 12451
3908 영어 원서를 읽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몇가지 팁 [46] 마구스11900 24/07/23 11900
3907 양극성 장애(조울증)을 치료하며 위로가 되었던 노래들 - 上편 [14] 욱상이11633 24/07/22 11633
3906 안락사에 대하여(부제: 요양원 방문 진료를 다녀본 경험을 바탕으로) [64] 아기호랑이10519 24/07/20 10519
3905 인류 역사의 99%를 알아보자: 서울에 200명도 안살던 시절 [12] 식별16047 24/07/16 16047
3904 ‘삼체’를 소설로 읽어야 하는 이유 [36] Schol15873 24/07/14 15873
3903 아이를 LG트윈스의 팬으로 만든 죄책감에 대하여 [43] likepa14952 24/07/10 14952
3902 2024년 방콕 광역권 지도 업데이트 [13] 쿠릭14709 24/07/04 14709
3901 장롱면허 레이 운전 분투기(3시간) [82] 사람되고싶다16804 24/06/16 16804
3900 [에세이] 군대에서 광신자가 되는 방법 [9] 두괴즐17652 24/07/03 17652
3899 전통주 회사 전직자의 주관적인 전통주 추천 [69] Fig.117977 24/06/11 17977
3898 공군의 F-4E 팬텀 퇴역식을 담아봤습니다. [17] 한국화약주식회사17345 24/06/07 17345
3897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25] 식별18944 24/06/19 18944
3896 2024년 방콕 중심지 지도 업데이트 [30] 쿠릭17283 24/06/18 17283
3895 구직을 마무리하며 - 많은 분들에게 감사했던 시간 [33] Kaestro12802 24/06/06 12802
3894 돈과 시간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57] 모찌피치모찌피치12270 24/06/01 122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