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9/06 14:46:22
Name 초콜릿
Subject [질문] 베란다 샷시 창틀로도 물이 샐 수 있나요?
아파트 밑의 집에서 누수가 의심된다고 숨고 업자 분이랑 같이 찾아왔는데요,
(이미 여러 번 누수 의심으로 밑의 집에서 업자랑 찾아와서 외벽 코킹도 보고 에어컨 실외기 구멍도 시멘트로 막은 상태입니다.)

그러더니 베란다 샷시 창틀 레일 쪽에 물을 가득 붓더니 (물 나가는 구멍은 방수 테이프를 붙였음)
폭우가 오는 날에는 샷시에 물 나가는 구멍이 있어도 역할을 다 못할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하면서,

베란다 샷시 창틀 레일에 물을 채워서 여기에서 원인 모를 누수가 있다면 밑의 집에 누수가 생기는 것이다라는 이야기를 했는데요.

한 1시간 쯤 후에 밑의 집 천장에서 물방울 한 두 방울 떨어지는 게 보여서,
베란다 샷시 창틀 레일에서 무언가 물이 샌 것 아니냐는 주장을 하셨는데요.

정말 그럴 수가 있나요? 샷시 창틀 레일이라는 게 금속이랑 플라스틱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샷시는 대기업 H사 제품입니다.)

당연히 누수가 있다면 윗집이 수리를 하는 건 맞는데,

(1) 업자 분께서 "이 기술은 대한민국에서 자기만 알고 있고 다른 업자들은 모르는 기술이다." 라고 몇 번을 강조하신 점이,
오히려 사짜 느낌이 나서 솔직히 의심스러웠고요. 어떻게든 누수를 주장해서 공사비를 받겠다는 느낌?

(2) 저희가 사는 동네에 어젯밤이랑 오늘 오전까지 비가 많이 왔습니다. (서울 영등포구)
오전까지 내린 비가 외벽에 준 영향도 배제하기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도 있는데... 아파트 층간 간격이 15cm은 될테고,
설령 베란다 샷시 창틀 레일에 물을 채워서 물이 샌다고 치더라도 1시간 사이에 물이 아랫집에 샌다는 게 과연 그런가 싶어서요.
(물론 비가 많이 와서 베란다 샷시에 물이 찬 것 같은 효과가 난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겠지만)

인테리어나 누수공사에 혹시 고견 있으신 분 계실까 해서 글 올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항정살
25/09/06 14:50
수정 아이콘
보통은 창틀 코킹아닌가요?
초콜릿
25/09/06 14:5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코킹도 다 되어 있고(저희 집은 풀 인테리어를 새로 한 지 3년밖에 안되었습니다. 샷시도 새로 다 갈았고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도 외벽 코킹도 검사를 했습니다.
슬래쉬
25/09/06 14:51
수정 아이콘
"이 기술은 대한민국에서 자기만 알고 있고 다른 업자들은 모르는 기술이다."
흠........... 크크크크
25/09/07 14:23
수정 아이콘
뭘 얼마나 해먹을려고 되도 안한 멘트를..
텔레토비
25/09/07 17:55
수정 아이콘
결국 업자가 주장하는 내용은 빗물로 인한 누수가 그 책임이 외벽의 노후화가 아니라 윗집의 샤시라는 말을 하고 싶은 모양인데 어차피 공사하고도 비가 새면 자기가 책임을 안지니까 그냥 막 말하는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텔레토비
25/09/07 18:01
수정 아이콘
설령 샤시 뜯어내고 새로 교체한다고 쳐도 또 비가 새면 그때는 샤시를 교체하면서 외벽에 뭔가 건든거(?) 아니냐 혹은 저번 때보다 누수가 더 심해졌다 등등 별별 말이 있을 수 있으니 그 원인이 샤시라는 확실한 증거가 없는 이상 책임소재를 따지기는 어려운 내용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609 [질문] 게이밍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220만원) [6] 잘생김용현2219 25/09/06 2219
181608 [질문] 역사소설 추천부탁드립니다 [8] 고구마장수1752 25/09/06 1752
181607 [질문] 베란다 샷시 창틀로도 물이 샐 수 있나요? [6] 초콜릿1918 25/09/06 1918
181606 [질문] 도저히 기억나지 않는 대전 격투 게임 이름 [5] 탑클라우드1959 25/09/06 1959
181605 [질문] 정비소에서 타이어 공기압을 높게 넣는 이유가 뭘까요? [6] 카페알파1994 25/09/06 1994
181604 [질문] 휴대폰 구입(사용) 문의드립니다. [2] 넙이아니854 25/09/06 854
181603 [질문] TAS 락이 아닌 캐리어도 상관 없을까요? [4] 회전목마1288 25/09/06 1288
181602 [질문] 유럽 신혼여행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9] 저무는오후1329 25/09/06 1329
181601 [질문] 상간현장을 바로 확인 시에 무엇을 해야할까요? [10] OcularImplants3118 25/09/05 3118
181600 [질문] 공포영화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0] 신성로마제국1858 25/09/05 1858
181599 [질문] 낚시 커뮤니티는 어디가 유명한가요? [2] 짧게짧게무새1505 25/09/05 1505
181598 [질문] 흰고봉 쌀밥 vs 흰큰밀빵 어느게 더 해롭나요? [7] 깐부1863 25/09/05 1863
181597 [질문] 부모님폰으로 아이폰 어떠할까요? [13] 기뉴121762 25/09/05 1762
181596 [질문] 어디서 여자 만나는 시도를 해보는게 좋을까요? [27] 고민시1970 25/09/05 1970
181595 [질문] 스트랩 너비가 작은 손목시계가 있을지요...? [2] nexon512 25/09/05 512
181594 [질문] 발리 풀빌라 가족여행을 가고 싶은데 패키지말고 방법이 있을까요? [8] Red Key1186 25/09/05 1186
181593 [질문] 라이브어라이브 리메이크, 지금 시대에 어떤가요? [7] 카오루3441 25/09/04 3441
181592 [질문] 한글2010 설치 후 한글문서 불러오기 깨짐 [5] 너이리와봐2984 25/09/04 2984
181591 [질문] 제가 모르는 사람이 저를 수취인으로 해서 물건을 구매중인데요 [26] nekorean5303 25/09/04 5303
181590 [질문] 에어컨 실외기 누전 어떻게 해야 될까요? [6] 모나크모나크3338 25/09/04 3338
181589 [질문] 2024년 연말정산을 지금 할 수 있나요? [4] 파이버드3546 25/09/04 3546
181588 [질문] 안 빨간 파무침 드셔본 적 있나요? [8] 밥과글1370 25/09/04 1370
181587 [질문] 은행 예금 네이버 이자계산 질문입니다 [4] BlueSKY--1320 25/09/04 13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