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7/30 15:46:19
Name 예쁘게말하는사람
Subject [질문] 연금저축펀드 질문입니다
우선 ? 뭘 이런 걸 물어보냐 바보임? 하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는 점 주의해주세요 크흠크흠

토스에서 kodex 미국 S&P를 조금씩 무지성으로 적립식 구매만 하고 있었는데요. 이제서야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려고 토스 통해서 한투에 계좌를 개설했습니다

자동 이체를 하나 일단 걸어두긴 했는데, 이것도 원래 구매하던 것과 같은 ETF로 했습니다. 그럼 이럴 땐 기존 S&P 구매했던 걸 다 팔고 연금저축펀드 600만원을 맞추는 게 좋은 건가요?

달마다 청년계좌에 70 넣고 월세등 기타 고정 비용 생각하면 기존 S&P를 정리해야 올 해 안에 600을 맞춰서 연금저축펀드에 넣을 수 있는데요. 16.5% 올랐다고 돼있으니 다 팔면 일단 금액상으론 이득이겠는데, 이건 그냥 이거대로 유지하고 연금저축펀드는 600을 못 채우더라도 따로 금액을 넣는 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까진 우선순위를 생각 안 했던 게 아쉽지만ㅜㅜ IRP나 ISA까지 할 여유는 지금 안 돼서 일단 청년계좌랑 연금저축펀드만 해보려고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은때까치
25/07/30 16: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연저펀의 장/단점은 잘 아신다는 전제하에..... 말씀하신 상황에서는 기존 S&P 다 팔고 연저펀 600을 맞추시는게 우선일 것 같습니다.

몇가지 첨언드리면,
1. 연저펀 최초 개설은 각 증권사마다 이벤트 혜택을 주는데도 있고 안 주는데도 있습니다. 한번 비교해 보시고, 유리한 증권사를 선택하시면 많게는 30~40만원까지도 이득볼 수 있습니다. (보통은 이벤트 페이지 통해서 신청한 후에 개설해야 페이백이나 수수료 할인 등 인센티브를 줍니다. 그냥 만들면 아무것도 없었던 경우가 많았던거 같은...)

2. 기존에 가지고 계셨던 "절세계좌가 아닌 계좌에서 가지고 있던 한국증시상장 S&P ETF"는 1초라도 빠르게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선택지 (절세계좌, 직투)에 비해 장점이 전혀 없습니다. 나중에 정리하면 할수록 세금 손해가 커집니다.

3. 25년 7월 시점, 절세 최적화 루트는 (가능한 경우) 청년도약계좌 월 70 > 연저펀 연 600 (세액공제로 확정이득) > 직투 2000~3000 (수익의 250까지 비과세) > IRP 300 (세액공제 but 상품제한있음) > ISA 연 2000 (양도소득세 절감) > 그 후 알아서 입니다.

4. 적립식 지수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각종 수수료 절감이고, 환전수수료가 그 중 굉장히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환전수수료도 증권사마다 굉장히 다르니, 어차피 옮기시기로 마음먹으셨다면 이것도 각잡고 비교해보시면 꽤 큰 금액을 아낄 수 있을 겁니다.
이쥴레이
25/07/30 16:30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때문에 연저펀 연 600 은 깔고 가는데... 멍청하게 작년에 600 넣고 구입처리한게 하나도 없었네요. 하하.. 자동 매입한다는걸.. ㅠㅠ
로즈엘
25/07/30 16:32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펀드가 이득인데 계속 묶어있는 돈이니 현재 자금 여유와 계획을 고려하여 선택하시면 되겠네요.
마술사
25/07/31 08:24
수정 아이콘
네 말씀하신대로하는게 세금면에서는 이득입니다
다만 연저펀에 넣었다가 혹시라도 급하게 돈 뺄 일이 생기면 세금혜택 다 토해내야해서, 여유자금만 넣으시는게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1510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4556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4301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7483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9297
181305 [질문] 마사지나 침이 근육 뭉침에 크게 도움이 되나요? 모찌피치모찌피치440 25/08/01 440
181304 [질문] 상처 부위 드레싱이 떨어진 경우 근처 의원에서 드레싱만 새로 받는거 되나요? wersdfhr758 25/07/31 758
181303 [질문] 좀비딸 보신 분들 질문드려요 (초4 여아 관람 여부 질문) [3] 싸우지마세요1129 25/07/31 1129
181302 [질문] 직장내 괴롭힘으로 퇴사 해보신 분 있나요? [2] 그때가언제라도1452 25/07/31 1452
181301 [질문] 초등저학년들이 좋아할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3] #341213 25/07/31 1213
181300 [질문] 오토바이 비상 깜빡이 키고 다니는거요 [10] 좋구먼970 25/07/31 970
181299 [질문] 대한민국 타임머신 [12] 존내도1100 25/07/31 1100
181298 [질문] 쿠첸 전기밥솥 스텐 내솥 써보신 분들 어떠세요? [2] 콩순이548 25/07/31 548
181297 [질문] 사무용 PC를 맞추려먼 어떤 루트가 좋을까요? [3] 835 25/07/31 835
181296 [질문] 컴퓨터 사무용 본체 어떤 걸 사야 할까요 [2] 콩돌이707 25/07/31 707
181295 [질문] 레이저 제모 질문드립니다 [16] 안희정1142 25/07/31 1142
181294 [질문] 삼성케어플러스 예약을 하고 가야하나요? [4] 마인부우979 25/07/31 979
181293 [질문] 연금저축펀드 질문입니다 [4] 예쁘게말하는사람2405 25/07/30 2405
181292 [질문] 도와주세요 옆자리 직장 동료의 코훌쩍소리 소음 스트레스 [10] 미카2938 25/07/30 2938
181291 [질문] 야구티켓 pin거래 문의드려요 [3] 비카리오2342 25/07/30 2342
181290 [질문] 탈모 질문입니다. [4] 까만고양이2334 25/07/30 2334
181289 [질문] 임차권등기 관련 질문입니다. [5] 찬양자3033 25/07/30 3033
181288 [질문] 논문 쓸 때 AI 툴을 어디까지 이용하시나요? [4] 장마의이름2418 25/07/29 24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