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5/09 14:39:12
Name 완성형폭풍저그
Subject [질문] 바둑을 배울 때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전 바둑의 기본만 알고 있어요.
아다리 잡고 싸먹으면 둘러쌓인 돌들 제거한다.
그런데 어쩌다 딸아이가 바둑에 흥미를 갖게 되었는데요. 문제는 위에 말한 것처럼 제가 아는게 없다보니 가르칠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일단 자석 바둑판 사서 두고 있는데요. 둘다 모르니 그냥 개똥밭에서 뒹구는 느낌이네요.
어떻게 시작하면 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신군
25/05/09 14: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책을사서 읽어도 보고 아는 사람한테 배웠는데 저는 바둑을 못이해하더라고요.
배우는게 생각보다 어려운데 뭔가 배워서 자식에게 알려주기는 힘들고 그사이에 흥미도 잃을꺼 같아서
개인 소견으로는 애들 전문으로 가르치는 기원에 보내시는게 좋을것 같은데 그게 어려우면 GPT와 같은 AI랑 같이 둬보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15:09
수정 아이콘
바둑을 두는 것을 보고 계속 흥미를 느끼고 잘 배우면 기원을 보내볼까 싶기도 한데, 아직 기원을 보낼 정도는 아니거든요.
바둑 시작하는게 생각보다 어렵군요. ㅠㅠ
ai 도움을 한번 받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5/05/09 14:49
수정 아이콘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862520/_/?l=koreana
스팀에서 지원하는 바둑게임입니다.
한글도 지원하고 튜토리얼도 괜찮고 온라인 대국도 지원하니
어느정도의 찍먹부터 푹먹까지는 다 커버할 수 있을 겁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15:10
수정 아이콘
튜토리얼만 진행해도 바둑을 익힐 수 있을까요??
알려주신 링크에서 튜토리얼 같이 진행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등어자반
25/05/09 17:14
수정 아이콘
위에서 알려주신 게임 외에도 하나 더 추천드립니다. 복기 쪽에 조금 더 강점이 있으니, 취향에 맞는 쪽으로 고르시면 됩니다.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264970/The_Conquest_of_Go/
수리검
25/05/09 14:59
수정 아이콘
온라인 바둑 사이트 - 타이젬/피망 등 - 만 가셔도
기본적인 입문/개념/정석 등 강좌 및 두어보기 등 프로그램은
쉽게 접하실 수 있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15:11
수정 아이콘
바둑 사이트에 입문을 위한 강좌가 있군요!!
방문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수리검
25/05/09 15:56
수정 아이콘
입문 단계에서 기본적인 개념을 익히는 수준이라면
타이젬/피망/한게임/넷마블 어느 사이트를 가도
그 정도는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동영상 식의 강좌도 있고
정석이나 개념을 직접 두어 보며 익힐 수도 있어요
알파고같은 AI 와 비교할 바는 못되지만
초급 수준에서는 인공지능과 대국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입문 단계에서는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25/05/09 15:17
수정 아이콘
인터넷 바둑 사이트 가보면 입문자용 강의가 잘 되어 있습니다.
따님의 연령이 어느 정도인지 모르나 만약 따님이 제대로 배워보고 싶어 한다면 어린이 바둑학원에 보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15:22
수정 아이콘
6살이어서 아직 학원까지 생각하고 있진 않고, 둬보다가 계속 재밌어하고 더 배우고 싶어하면 학원을 보내볼까 하고 있습니다.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사이트가 있으실까요??
25/05/09 15:47
수정 아이콘
위에 써주신 타이젬도 있고, 개인적으론 한게임바둑이나 넷마블바둑도 바둑 두기엔 좋다고 하기 어려웠지만 강의 보고 배우기엔 나쁘지 않았습니다.
25/05/09 15:24
수정 아이콘
6살이면 만으론가요 아니면 pre-윤석열 나이인가요?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19:53
수정 아이콘
아.. 예전 나이에요. 20년생입니다.
우상향
25/05/09 15:33
수정 아이콘
제가 오목을 오래 두었더니 바둑의 선이 이어지고 끊어지는 걸 직관적으로 체득하는데 한참 헤맸습니다.
입문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초기 정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19:57
수정 아이콘
저도 먼저 배워서 알려주려했는데 영 감이 안잡히네요. ㅠㅠ
낭만조사
25/05/09 16:12
수정 아이콘
6살에 스스로 관심을 가질 정도면 재능러일지도..
학원 한번 보내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신진서 9단은 8살쯤에 동네 기원 1등먹었다더라구요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19:58
수정 아이콘
스스로는 아니고 영화를 보고서 관심을 갖더라고요.
방구차야
25/05/09 16:31
수정 아이콘
잘모르겠을땐 알까기를! 배워야한다는 압박보다 즐겁게 시간보내는게 좋죠

기초만 생각하면 바둑에서 아다리(단수)를 위해서는 중앙에선 4점, 변에선 3점, 모서리에선 2점만 필요하기 때문에
모서리를 우선 거점으로 확보하는 식으로 진행됩니다. 점 아홉게로 표시된게 포인트 지점이고요 (마치 빠른무한맵 같은..)

이 점을 기준으로 모서리를 우선 확보하는게 정석으로 몇가지 패턴이 있습니다. 턴에 따라 서로 먼저 모서리 점근처에 두는 사람이 유리한 식이되는거죠
방구차야
25/05/09 17:09
수정 아이콘
바둑포석기초 라는 키워드로 검색해보시면 몇가지 패턴들이 나올겁니다.
https://blog.naver.com/zlem1991/220089896307

포석이란 이런식으로 크게 밑그림을 그려나가는 작업이고
초보때는 마치 성벽쌓기하듯 바둑돌을 촘촘하게 이어나가는 경향이 있는데
내 돌이 몇칸 떨어져있어 상대가 그 사이를 끊어서 들어온다해도 대응하기 쉬운 진영을 짜는 것이죠.

바둑학원가면 이런 기초포석들 몇가지 알려주고 반복하는 식이라..
집에서 혼자 공부한다면 기초포석 패턴을 익히는 식이 되겠네요. 바둑게임도 많이 있을테니 난이도별로 해보는것도 좋을거고요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20:00
수정 아이콘
기초포석 반복해봐야겠네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19:59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초반 정석은 그냥 외워두는 것도 좋겠네요!!
25/05/09 16:32
수정 아이콘
초급상대로 하는 강의는 많지만 그걸 6살 수준에 맞춰서 하는 곳은 별로 없어서 그냥 기원 추천합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09 20:03
수정 아이콘
제가 먼저 보고 배워서 알려줘보겠습니다!!
한두번 해보고 관심이 사라질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
카페알파
25/05/09 16:42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바둑학원이나 바둑교실을 알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학원에 가 보셔서 상담도 받아 보시고 다니는 아이들 평균적인 연령도 알아 보셔서 괜찮겠다 싶으시면 보내 보시고요.

저는 9살 무렵 어린이 잡지 바둑강좌를 보고 기본적인 규칙을 배우고, 아버지께서 바둑을 좀 둘 줄 아셔서 같이 두면서 배웠습니다. 저는 여건이 안 되어서 기원에서 제대로 배우진 못 했는데, 지금같은 시스템이라면 제가 먼저 바둑교실이든 기원이든 다닌다고 했을 것 같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10 08:42
수정 아이콘
바둑교실이나 기원도 한번 알아보긴 해야겠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꿈트리
25/05/09 16:54
수정 아이콘
혼자 하는 것 보다는 학원 한 달이라도 다니는게 낫죠.
완성형폭풍저그
25/05/10 08:43
수정 아이콘
한달만 다녀도 의미가 있을까요.. ^^;;;
학원 문의 한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hrollo Lucilfer
25/05/09 17:51
수정 아이콘
지금정도 단계에서는 바둑학원, 바둑교실이 제일 나을 거 같습니다. 요즘에 애들도 없고 바둑인기도 없어서 애들이 별로 없을 서 같지만, 비슷한 나이 대 애들이랑도 같이 하면 좋구요.
완성형폭풍저그
25/05/10 08:43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이 학원을 추천하시는군요.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른취침
25/05/09 20:03
수정 아이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wonsiksnz&logNo=221440559488&referrerCode=0&searchKeyword=%ED%95%9C%EA%B5%AD%EA%B8%B0%EC%9B%90

아, 자녀분이라면 무조건 근처에 또래들이 좀 있는 기원부터 방문해보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제가 올린 링크에 가보시면 인공지능 프로그램도 접하실 수 있을 겁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5/05/10 08:44
수정 아이콘
또래들이랑 배우면서 ai로 대국두며 배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알려주신 링크 확인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군시대
25/05/09 21:41
수정 아이콘
바둑 강좌 사이트나 타이젬 등을 이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제일 좋은 건 고수와 두면서 배우는 것이지만, 그럴 여건이 못 되시는 듯 하니 인터넷을 이용하세요.
완성형폭풍저그
25/05/10 08:46
수정 아이콘
타이잼은 입문강좌가 재생이 안되더라고요.. ㅠㅠ
많은 분들이 알려주셔서 여기저기 살펴보다 입문책을 보고 있는데 의외로 이해가 되는 부분이 꽤 있네요.
제가 잘 이해하고 알려주면 좋을텐데 어렸을 때 안배워둔게 아쉽습니다. ㅠㅠ
석양속으로
25/05/10 08: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 따님을 바둑영재로 키우시고 싶다는 바램이 아니시라면 전 학원등록이나 바둑공부하는 건 비추합니다.
제가 초등학교 1학년때 외삼촌에게 딱 아다리와 마지막에 집계산하는 법 정도만 배우고 형이랑 주구장창 바둑만 뒀었는데요.
그래도 축, 환격, 행마, 전투, 수읽기, 사활, 수상전 정도는 둘다 어느정도 실력이 늘었습니다. 심지어 한집만 난 상대방 돌은 되따낼수 있다, 두집이 나면 완전히 살아있는 집이다, 패가 나면 다른 곳을 두고 다시 되따낼수 있다같은 규칙들은 누가 가르쳐준게 아니라 형이랑 수도 없이 두니 저절로 터득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나이가 들어서 바둑에 흥미가 생겨 포석, 형세판단, 끝내기 등을 책읽고 공부를 하니 형과 실력차이가 나서 형이랑은 바둑을 더 이상 못두겠더라구요.
목적이 따님과 바둑으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다고 하면 둘다 잘 모를때 그냥 막두는거부터 해도 충분히 즐겁고 어느정도 실력도 향상됩니다.
스타크래프트 빌드업, 유닛 상성, 전략, 전술 모르고 초보끼리 붙어도 충분히 즐거운 것 처럼요.

오히려 처음부터 학원다니고 강의 듣고 하면 6살 따님이 바둑에 흥미를 잃을 수 있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Chrollo Lucilfer
25/05/10 10:44
수정 아이콘
바둑학원이 막 연구생 목표로 입시학원 처럼 빡빡하게 하는 곳이 아닙니다. 형님이랑 즐겁게 즐기셨던 그걸 또래 친구 여럿이랑 같이 할 수 있는 곳이라 집에서 혼자 책보고 강의 보고 하는거보다 훨씬 좋게 작용할 수도 있어요.
완성형폭풍저그
+ 25/05/10 20:43
수정 아이콘
앗.. 그럴수도 있군요.
비둑영재로 키우려는 것은 아니니 인터넷을 활용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5/05/10 10:15
수정 아이콘
실례가 안된다면 혹시 무슨 영화 보셧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저도 아이가 6살이라 아것저것 관심사를 확장시켜주는 중이라 어떤 영화를 같이 보셧는지 궁금합니다.
완성형폭풍저그
+ 25/05/10 20:44
수정 아이콘
저희는 넷플에서 승부 라는 영화를 보았어요.
25/05/10 15:28
수정 아이콘
우리 어릴 때는 기원이나 바둑학원 있었는데 요새는 없나요?
저는 이창호 9단이 바둑으로 군대면제 되었다는 신문뉴스 보자마자 바로 기원으로 달려가서 무섭게 바둑공부를 했는데...
생각해보니 내가 성인이 될 때쯤이면 통일이 되지 않았을까? 이 생각에서 18급까지만 하다 그만 두었습니다....
사상최악
25/05/10 19:52
수정 아이콘
바둑을 제대로 시켜보고싶다 - 무조건 고수에게 배우거나 학원
바둑을 놀이로 간단히 즐겨보고싶다
-> 9x9 미니바둑을 추천합니다.
바둑의 재미는 느낄 수 있으면서 사이즈가 작아서 큰 부담이 없습니다. 게임 시간도 짧아서 질리지않고요.
상대방과 대전하면서 자연스럽게 플레이를 모방하며 귀의 사활을 배울 수 있습니다.
직접 바둑판에 두는 것도 좋지만 goquest 앱 추천합니다. 무료이고 비슷한 상대와 자동으로 매칭해줍니다.
아카데미
25/05/10 20:13
수정 아이콘
따님이 초등학생이면 방과후학교 바둑반이 있는지 알아보시는거도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9193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2088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1529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4523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6375
180565 [질문] 선게 댓글 모바일 질문 [4] 제논2369 25/05/10 2369
180564 [질문] 디딤돌대출 한 달 이상 걸리신 분 계실까요? [11] Aiurr3478 25/05/09 3478
180563 [질문] 바둑을 배울 때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41] 완성형폭풍저그4050 25/05/09 4050
180562 [질문] 선결제 후 폐업 (휴업?) 대처법 [8] 양상군자4636 25/05/09 4636
180561 [질문] 목포, 야간에 갈 만한 횟집 추천드립니다 [6] 고래가새우를3357 25/05/09 3357
180560 [질문] cpu 쿨러 추천 가능하실까요? [9] 월터화이트1690 25/05/09 1690
180559 [질문] 방송통신대학교 3학년 편입을 해보려합니다 [3] BlueSKY--1997 25/05/09 1997
180558 [질문] 33원정대 pc로 하는데 패드로 하려면 뭐사면 될까요?? [13] 본좌2075 25/05/08 2075
180555 [질문] 마카오와 홍콩 여행갑니다. 어디를 가서 무엇을 먹으면 좋을까요. [8] 사다드1465 25/05/08 1465
180554 [질문] 현역 병사 대선 투표는 신분증 외에 딱히 준비할 건 없을까요? [11] No.99 AaronJudge1301 25/05/08 1301
180553 [질문] 여기가 클릭이 안됩니다 (해결) [3] brpfebjfi940 25/05/08 940
180552 [질문] 캘린더+노트형으로 여행일정표를 만들고 공유하고 싶습니다. [5] 733 25/05/08 733
180551 [질문] GPT 특유의 말투를 좀 바꿀 수 없을까요? [14] 장마의이름1175 25/05/08 1175
180550 [질문] 신차 구입 견적 평가 부탁드립니다.(패밀리카, 세단, 소나타) [27] 잘생김용현954 25/05/08 954
180548 [질문] 사업자등록 간이과세vs일반과세 질문입니다. [12] 대고962 25/05/08 962
180547 [질문] 대만 3박4일 첫 여행 일정 첨삭 부탁드립니다. [12] 마이스타일1030 25/05/08 1030
180546 [질문] 가슴을 부딪혀서 아프고, 기침할때마다 아픈데 어느과로 가야할까요? [20] 물소싫어1714 25/05/08 1714
180545 [질문] 아이와 함께할만한 모바일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Secundo2188 25/05/08 21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