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26 14:37:22
Name 라니안
Subject [질문] 초등생 ADHD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1살 아이 아빠입니다.

담임선생님으로부터, ADHD 관련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어떻겠냐는 연락을 받고,
오늘 오전에 상담을 받고 돌아오는 길인데,
선배님들 혹은 전문가님들께 질문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 일단 강남권에 있는 정신과병원에 다녀왔고(학교에서 지원금 나온다고 하는 두 곳 중 한 곳입니다.)
- 선생님께서는 대략적으로 아이가 충동을 제어하지 못하고, 산만해 보인다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 부모입장에서 보면, 산만하다는 부분은 동의가 되나 아직까지 사고를 크게 친적도 없고
교우관계도 보면 친한 친구들도 있어서 서로 집에 놀러다니기도 하고 게임도 하고..
공부는 중간정도 일거 같은데, 일단 훌륭한 아이는 아닐지 몰라도 ADHD정도 까지 일까 하고 충격을 받은 상태이긴 합니다.
또... 누군가에게 위해를 가한적은 없고 오히려 맞고 온 적은 있구요

>> 검진결과 결론은 ADHD가 분명하고 중상 단계이며 왜 이제 왔냐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하 질문입니다...!

1. ADHD 판정 과정
> 이게 사실 제일 궁금한데... 의사선생님께서 아이랑 잠시 5분~10분정도 이야기하신 후에
우리가 왜 방문는지 경위를 간단하게 들으시고 나서 ADHD라고 확정적으로 말씀주셨습니다.

>> ADHD가 간단한 사안은 아닐텐데 이정도 과정을 통해 이렇게 쉽게 판정이 나오는 것 인지요?
>>> 사실 그간 의사선생님들 의견에 다른 생각을 해본적은 한번도 없는데,
상담 과정에서  강남 엄마들은 조금만 산만해져도 온다는 등등 이야기와 더불어
빨리 약 먹고 하면 빨리 좋아지고, 놀이치료도 바로 해야하고(시간과 비용이 상당합니다)
추가로 무슨 무슨테스트 해야된다고 하는데 역시 상당하네요..

>>> 위에 뉘앙스를 보셨겠지만, 제가 느낀 것은 그냥 X 라는 이유로 왔다고 하니까 바로 Y라는 상품을 제안한 것과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래저래서 이런 증상을 보니 ADHD이고, 이래저래서 좀 심한 수준으로 파악된다 아니라,
그런 모습들이 있어서 오셨군요 그런경우 ADHD가 맞습니다. 그리고 선생님이 코멘트했을 정도면 심각한 겁니다라고 해버리니..
그 과정이 잘 납득이 안되더라구요

다른 분들, 다른 아이들도 이렇게 판정 받으셨는지 궁금합니다.

2. 놀이치료와 약물 치료
그 놀이치료라는 것도 꼭해야하는 것인지.. 혹시 해본분 계시면 좀 후기를 들려주실수 있으실까요?
약물치료.. 이거 검색해보면 하다가 안먹으면 그만이라고 하긴하는데 이것도 함부로 막 시작해도 되는 걸지요?
바로 약을 줘버리네요^^;;

3. 대학병원 등 다른 병원에서 한번더 진단을 받아보는 것은 어떨지요?
혹시 추천도 해주시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이와 관련된, 그것도 정신과 관련된 것이니 애들 치과같이 가볍게 접근이 어렵네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25/04/26 14:41
수정 아이콘
납득이 가지 않는다면 해가 가는 것도 아닌데 한두곳 더 가보는 게 좋죠.
라니안
25/04/26 19:36
수정 아이콘
예 전체적으로 좀 그런게 있었습니다^^;
25/04/26 15:20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모르겠지만 대학병원 소아정신과는 예약이 연단위로 걸립니다.
라니안
25/04/26 19:36
수정 아이콘
네 그럴거같네요.. 감사합니다.
열혈둥이
25/04/26 16: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희 아들도 약먹는중인데 ADHD가 심각한 병도 아니고
그냥 전두엽에 안정에 관련된 물질이 아직 안나와서 남들에 비해 집중을 못하고 제어가 안된다고 이해하기때문에 그 증상에 대해 반감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 진단이 엄청나게 디테일한 과정을 거쳐야 나온다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학년도 아닌 고학년 선생님이 아이가 충동을 제어하지못한다는 의견을 냈을 정도면 그냥 얘기가 끝난거라고 생각하는데 뭐가 그리 마음에 걸리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말해봐야 의미 없으니 인터넷같은곳에서 adhd관련 글이나 영상더보시고 결정하세요. 제가보기엔 정신병이라고 생각해서 겁먹으신것같습니다. 비용 걱정되시면 그냥 약만처방 받으세요.
라니안
+ 25/04/26 19: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 열형둥이님은 선생님이 그런이야기 내면 얘기 끝났다고 생각하시는군요

약은 이미 처방받았고, 제가 이 정도 비용 걱정될 수준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영혼의 귀천
25/04/26 16:26
수정 아이콘
저희 애는 진단 검사했었는데 좀 더 알아보시고 검사한번 해 보시죠.
라니안
+ 25/04/26 19:42
수정 아이콘
네 저희도 그게 이상합니다.

검사같은게 없이 그냥 바로 중증으로 결론짓고

담주에 풀배터리 검사랑 놀이치료 결제하라고 하고 약바로 주네요

지금 급하게 여기저기 공부중입니다.

감사합니다!
고진감래
25/04/26 16:45
수정 아이콘
한두군데 더 가보시는게 좋지만 교육을 전공한
선생님도 그 얘기를 부모한테 하기 굉장히 어려운데 했다는건 잠정 확정으로 결론 내렸을겁니다
학교생활 특히 수업시간에 의거한 판단으로 봅니다
라니안
+ 25/04/26 19:43
수정 아이콘
감사하게도 선생님이 너무 좋으신 분같습니다.

상세하게 데이터도 정리해 주셨더라구요

그래서 저희도 토달지 않고 바로 병원 예약했습니다!
덴드로븀
25/04/26 16:51
수정 아이콘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58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서울대병원

[진단/검사]
1.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장애의 진단은 아래 1)또는 2)번 중 한 가지일 때 가능하다.

[치료]
ADHD에는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다. 80% 정도가 분명한 호전을 보이는데, 집중력, 기억력, 학습능력이 전반적으로 좋아진다.
또 과제에 대한 흥미와 동기가 강화되어 수행능력이 좋아진다.
더불어 주의 산만함, 과잉 활동과 충동성은 감소되고, 부모님과 선생님에게도 잘 따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
[하지만 약물 치료로만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여러 병원 사이트들을 보면 위와같이 특정 질환 등에 대한 설명을 자세하게 적어놓는 편입니다.

1. 여러 병원들이나 공신력있는 곳의 공식적인 정보를 토대로 ADHD 진단/검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공통적인 부분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2. ADHD 와 같은 케이스는 수학 공식처럼 대응한다고 해결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의심이 가면 의사에게 계속 질문하고, 그래도 의문이 풀리지 않거나 의사의 태도가 마음에 안든다면 다른 병원을 찾아가면 된다.
3. 대신 어떤 병원과 의사에 대해 주치의로 정했다면 인터넷 의견보단 주치의를 신뢰하는게 좋다.
라니안
+ 25/04/26 19:44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감사드립니다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jjohny=쿠마
25/04/26 17:01
수정 아이콘
저는 ADHD와 기면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 다 정신과 질환(장애)에 해당하고요. 전문성은 전혀 없지만, 경험에 기초해서 말씀드립니다.

- 저희 아이들은 아직 만 5세여서 어리지만, 혹시나 싶어서 제가 다니는 정신과 의사선생님과 미리 상의해본 적이 있습니다.
ADHD 진단은 보통 초등학생 때 하면 좋다고 하셨습니다. 그 전에는 큰 의미가 없고, 그 후에는 좀 늦는 거라고요.
자녀가 ADHD인지 아닌지를 집에서 가늠해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지표는, [교육기관의 피드백]이라고 하시더라고요.
집에서 산만하거나 통제 안되는 것처럼 보이는 건 ADHD가 아니라도 그럴 수 있는데, 학교나 학원 선생님이 '아이가 산만한 편 같다'(등 ADHD 관련 특징)와 같은 피드백을 주기 시작하면 그 때부터는 의심해봄직 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의료기관에서 진단을 받아봐야겠지만요.

- 저는 (성인떄지만) 병원 진료와 검사를 거쳐서 진단 받았습니다. 다만 검사 받기 전에 진료 때부터 ADHD가 맞긴 한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 병원마다 진단 기준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다른 병원들도 방문해보세요.

- 저는 30살 넘어서 ADHD 진단을 받았습니다. 기면증은 대학 졸업하고 나서 진단 받았고요.
진단 받고 나서 '만약 청소년 때 기면증/ADHD 진단을 받을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 ADHD라고 막 되게 큰 일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기면증도 있고 ADHD도 있는데다가 성장과정에서 관련된 도움을 하나도 받지 못했지만, 그래도 꽤 좋은 대학도 갔고, 졸업 후에 직장생활도 정상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아쉬운 점들은 정말 많았지만, 그래도 의학의 도움을 받기 시작하면서 삶이 훨씬 개선됐고요.
자제분이 정말 ADHD라 하더라도, 부모와 의학의 적절한 도움을 받으면 충분히 잘 살아갈 수 있을 겁니다. 물론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11세가 되어서야 처음으로 그런 피드백을 받으신 거라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 아닐까 싶습니다.

- 정신과를 너무 민감하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거부감이 컸지만, 다니다 보니 그냥 다른 병원이랑 다를 게 없습니다. 치아가 아프면 치과에 가고, 호흡기 질환이 있으면 이비인후과를 가고, 눈이 안 좋으면 안과를 가는 것처럼 생각하셔도 좋아요.

- 다만 남들의 시선이 신경쓰이는 건 좀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동년배들에게 놀림을 당할 수도 있고, 이런저런 선입견에 노출될 수도 있을 겁니다. 남들에게는 너무 많이 오픈하지 않으시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정신과 다니는 걸 직장에서도 다 알고 있지만, 기면증 때문에 다닌다고 했고 ADHD인 건 아직 말 안했습니다. (이제 말해도 직장에서 제 평가가 바뀌거나 할 것 같진 않은데, 처음에 말 안했더니 계속 안하게 되네요)
라니안
+ 25/04/26 19:55
수정 아이콘
어이쿠.. 우선 상세한 조언 너무 감사드립니다.

- 이번에 느낀 것인데 저희 담임선생님은 너무 좋으신 분이고 전적으로 신뢰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면담요청 없이 병원에 예약하였습니다. (보내주신 데이터가 감사하게도 너무 상세하였습니다.)

- 다른 것 보다 앞으로도 믿고 의지하면서 치료를 해야하는데... 그 부분이 좀 걱정이 되네요. 그러기엔 과정이 너무 신뢰할수가 없었던거 같습니다.

- 부모인 저희가 더 열심히 공부해서 신중히 준비하겠습니다.

- 지금도 거실에서 해맑게 노는 아이 보니까 마음이 심란하네요...흑흑

성의있게 댓글 남겨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BlueTypoon
25/04/26 17:11
수정 아이콘
ADHD를 심각하게 여기시는것같아서 조금 보태면 인터넷 방송 보면 ADHD 진단받은 사람을 자주 볼 수 있는데 학창시절 사고 없이 교우 원만하고 공부를 잘 한 케이스도 있고 그렇습니다.
라니안
+ 25/04/26 19:56
수정 아이콘
예 저도 심각하다기 보다는 어느 정도 그렇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는데요,
중증이상이라고 하니까 좀 충격을 받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hamanRobot
25/04/26 17:39
수정 아이콘
저도 성인ADHD 환자입니다 어렸을때는 그런 질병의 존재 자체가 있는지 모르고 살았지만 지나고 나서 보니 좀더 빨리 알아챘다면 어땠을까 후회섞인 생각을 많이 하죠

약 처방이 걱정이시겠지만 원래 첫 진단후 처방은 극히 부작용이 적은 용량으로 처방하니 크게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ADHD는 처음 약 먹은 환자한테는 드라마틱한 효과가 바로옵니다 근데 ADHD환자가 아닌 사람한테는 아무 효과가 없어요 그러니 약이라도 처음 한번은 먹어보고 자제분한테 약먹으니 어떤지 물어보는게 맞습니다.
라니안
+ 25/04/26 19:57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크게 해가 되지 않고 그런것이군요...
저희는 왜 이렇게 약을 쉽게 주나 생각하긴 했었습니다.

다른 프로그램들만 너무 강조를 하셔서 생각할 겨를이 없었네요^^;

감사합니다!!
25/04/26 18:52
수정 아이콘
검사도 안하고 바로 진단이라니 의외네요
저희는 조용한 ADHD라서 주위에서는 잘 모르더군요
이제 중2가 됐는데 처음으로 담임선생님에게 연락받았네요
굉장히 꼼꼼하신 분이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라니안
+ 25/04/26 19:59
수정 아이콘
넵 검사는 다음 주에..합니다.

저희도 지금 선생님이 꼼꼼하고 세밀하신 분이어서 이렇게 말씀주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감사하게도..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826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774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1129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4137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5983
180444 [질문] 스팀 할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질문 있습니다. rsh2447 25/04/26 47
180443 [질문] 로또 당첨되는 분들은 완벽한 우연에 의한 것인지요...? [5] nexon306 25/04/26 306
180442 [질문] 치즈러쉬 막을 때 먼 미네랄 찍고 일꾼 뭉치는게 이젠 안 중요한가요? 여기에있어158 25/04/26 158
180441 [질문] 배관을 감싼게 석면인가요? [7] 탄야505 25/04/26 505
180440 [질문] 초등생 ADHD 관련 질문드립니다.. [20] 라니안1252 25/04/26 1252
180439 [질문] 해외 거주 중인데 SKT 유심 문의드립니다. [6] 뿌린대로1338 25/04/26 1338
180438 [질문] 집 공유기 환경 문의입니다. [1] lefteye1024 25/04/26 1024
180437 [질문] 어머니 사용하는 skt 폰 유심교체 질문입니다 [2] 똥진국1555 25/04/26 1555
180435 [질문] amd 메인보드 바이오스 질문입니다 [2] 월터화이트2030 25/04/25 2030
180434 [삭제예정] 19) 리스 부부인데 2세를 준비하는 분들 계실까요? [37] 윌슨 블레이드3940 25/04/25 3940
180433 [질문] 안과 및 안경에 관한 질문입니다. [6] 안경1942 25/04/25 1942
180432 [질문] 식당 노쇼에 관한 질문입니다. [10] 안경2202 25/04/25 2202
180431 [질문] 삼성티비 유럽형이랑 한국형이랑 차이점이 있을까요? [3] 리코타홀릭1741 25/04/25 1741
180430 [질문] lg 그램 노트북 구입시 16기가램 모델을 사려는데 8기가 모델 미개봉을 뜯어 업그레이드해서 보내주는 방식이 흔한가요? [6] Succession1209 25/04/25 1209
180429 [질문] [헬스] 잘하고 있는 걸까요 [13] 탄야1130 25/04/25 1130
180428 [질문] 새 컴퓨터에 바이오스 문제가 있는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될까요. [3] theo734 25/04/25 734
180427 [질문] 갤럭시 폴드는 발열이 어떤가요? [9] 시무룩1022 25/04/25 1022
180426 [질문] 엘지 그램 14z980 노트북 가성비 괜찮을까요? 50만원대 이하 가성비 좋은 노트북 추천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3] Succession706 25/04/25 7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