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8 16:19:05
Name 망고치즈케이크
Subject [질문] 대출 갚는법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주담대를 갚고있는 직장인입니다.

전세금이 들어오게 되어 주담대를 일부 상환하려하는데요,

같은날에 갚는다는 가정하에

2억정도 되는 돈을 한번에 갚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1천정도씩 나눠서 20번 이렇게 갚는게 좋을까요

적용이율은 같을거같은데 느낌은 1천씩갚을때마다 원금이떨어지니 좋지않나 하는

문과스러운 생각이 들어서 질문글 남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러신머닝
25/02/08 16:39
수정 아이콘
같은 날에 갚으면 똑같습니다.
바카스
25/02/08 17:04
수정 아이콘
대출 상환에서 가장 중요한 건 얼마나 빨리 원금을 줄이느냐입니다. 적용이율이 같다면, 한 번에 2억 원을 상환하는 경우 잔액이 즉시 줄어들어 그 이후부터 발생하는 이자가 훨씬 적어집니다.

반면, 1천만 원씩 20번에 걸쳐 상환하면 각 회차마다 원금이 줄어드는 효과는 있겠지만, 전체 상환 완료 시점까지 높은 잔액에 대해 더 많은 이자가 누적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연이율이라도 초기 원금이 크면 그만큼 이자 부담도 크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상환하는 것이 이자 부담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다만, 몇몇 대출 상품은 조기상환 수수료나 기타 부대 비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계약 조건을 다시 한 번 확인하시고 금융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약하면, 별다른 제약(수수료 등)이 없다면 2억 원을 한 번에 상환하는 것이 이자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겠지만, 투자 성향 차이이지 않을까 싶네요. 저 같으면 레버리지 감당 가능한 경우 더 굴리겠습니다.
25/02/08 17:47
수정 아이콘
중도상환수수료가 나와도 무조건 먼저갚는게 이득이죠... 이자가 얼만데요..
하아아아암
25/02/08 18:09
수정 아이콘
왜 그런 느낌이...
왓두유민
25/02/08 19:52
수정 아이콘
같은 날에 갚는데 원금이 떨어진다는 개념이 무슨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
덴드로븀
25/02/08 19:55
수정 아이콘
이체한도를 늘릴수가없는게 아닌이상 20번 나눠서 하면 엄청 귀찮죠.....

같은날에 갚으면 똑같습니다.
25/02/08 20:29
수정 아이콘
갚을 여건이 된다면, 중도상환수수료와 무관하게 최대한의 금액을 갚는것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25/02/08 22:58
수정 아이콘
이해가 잘 안 가서 그러는데 천만원씩 20회 넣는다는게 20일에 걸쳐서가 아니라 같은 날 20번 넣는다 vs 2억 1번 넣는다 인건가요?
같은 날 갚는거면 어떻게 넣든 둘의 결과는 같지 않나요? 내가 상환하는건 원리금 총액이 아니라 원금이니까요.
짜부리
25/02/08 23:36
수정 아이콘
대출이자는 시간당으로 부과되는게 아니라 날짜로 부과됩니다..
타츠야
25/02/09 00:11
수정 아이콘
대출이자가 시간당으로 부과되든 날짜당으로 부과되든 이자 계산의 모수가 되는 금액을 빨리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1천씩갚을때마다 원금이떨어지니 좋지않나" -> 이걸 보니 뭔가 이자 계산식을 이상하게 생각하신 것 같네요.
김소현
25/02/10 20:50
수정 아이콘
이자율 대비해서 본인이 돈을 굴려서 이자율+현재가치할인율 만큼 더 벌 수 있으면 천천히 갚으시고요
아니면 한방에 갚아서 이자가 산출되는 원금을 줄이는게 무조건 이득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646 [질문] 요즘 다시 결혼 빨리 하는 추세가 있는지요...? [20] nexon3635 25/02/09 3635
179645 [질문] 신용카드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2] 깔끔하게1643 25/02/09 1643
179644 [질문] 중고차 팔때는 요즘 어디에 파는게 제값 잘받나요? [8] Diadochi1519 25/02/09 1519
179643 [질문] 영상편집용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3] nearby844 25/02/09 844
179642 [질문] 액상 전자담배 찾습니다. [6] 생생지락660 25/02/09 660
179641 [질문] 청약 관련해서 기초적인 질문입니다. [10] 개념은?1003 25/02/09 1003
179639 [질문] 13병기 방위권과 비슷한 스토리를 가진 작품이 있을까요? [5] 호오오오오오옹옥수1020 25/02/09 1020
179638 [질문] 쇼트트랙 규칙 [4] 탈모인 베지터1031 25/02/09 1031
179637 [질문] 딜라이브 LG망은 어떤가요? [7] 빼사스1620 25/02/09 1620
179636 [질문] [기타] Rpg에서 근캐랑 원거리 중에 어떤게 인기있나요?? [34] jip2410 25/02/08 2410
179635 [질문]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노트북에 키보드 백라이트가 안꺼집니다 [7] 회전목마2028 25/02/08 2028
179634 [질문] 레데리2를 해보고 싶은데요.. [4] 하나2245 25/02/08 2245
179633 [질문] 핸드폰 잠금화면에서 시계를 두개시용하는 방법이 있나요? [3] WraPPin2360 25/02/08 2360
179632 [질문] Rpg에서 근캐랑 원거리 중에 어떤게 인기있나요?? [5] jip2019 25/02/08 2019
179631 [질문] 대출 갚는법 관련 문의 [11] 망고치즈케이크1977 25/02/08 1977
179630 [질문] 용변보고 손 안씻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29] 인민 프로듀서2486 25/02/08 2486
179629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6] 월터화이트1134 25/02/08 1134
179628 [질문] S25 울트라 번역기능질문입니다. [2] 싸구려신사1390 25/02/08 1390
179627 [질문] 기업은행 IBK중기근로자급여파킹통장 [3] 오대감1786 25/02/08 1786
179626 [질문] 모니터 불량화소? 질문드립니다 하쿠쿠1440 25/02/07 1440
179625 [질문] 아이에게 먹일 영양제 검색중 질문 [9] 하루아빠1655 25/02/07 1655
179624 [질문] 스키장 입장료? 질문 있습니다 [8] 스디1809 25/02/07 1809
179623 [질문] 10~30대 사망원인 자살이 1위인 이유가? [17] 나른한오후3296 25/02/07 32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