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5 14:47:37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정신과엔 무슨 이유로 가나요? 제 경우도 해당될까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람쥐쳇바퀴
25/02/05 14:56
수정 아이콘
가볍게 감기 치료한다는 느낌으로 초진 예약하시고 가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확실하게 질병이 있어서 간다는 마음보다는, 마음 내시경도 한번 받아본다의 느낌으로?

우울증 약을 먹으면, 표현은 어렵지만 마음의 밀도가 낮아지는 느낌입니다. 즉, 긴장되고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서는 외부 자극이 단단한 마음과 부딪혀 엄청 크게 튕겨나간다면(감정적 리액션이 엄청 크다면) 약을 먹으면 마치 출렁거리는 제 배처럼 외부 자극이 부드럽게 튕겨나가는 느낌입니다. 신기하게 울컥하는게 줄어든다고 해야 할까요. 감정의 고저차가 줄어드는 걸지도 모르겠네요.

어떤 실패나 개인적인 불만족 상황에서 약을 먹지 않은 상황에서 속으로 욕을 마구 했다면, 약을 먹은 상황에서는 '하하...망했다.....' 정도로 반응하게 됩니다. 하지만 약의 종류에 따라 다 다른 반응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저는 의사가 아니라서 잘은 모르지만 마음의 상처가 긴 히스토리를 가지고 있다면 상담치료도 효과가 좋은 것 같았습니다. 또 가벼운 마음의 병의 경우에는 상담사와 대화하는 것만으로도 많이 풀리긴 하더라구요(상담은 한 번만 받아봤습니다)
오컬트
25/02/05 14: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가셔야하구요.
일반적으로 말씀하시는 모든증상은 스트레스에서 나타나는 호르몬 이상증세에 다 해당되는거라,
일단 정신과 가서 진료받으시면 거기서 심리상담 병행 유무가 결정될겁니다.
증상으로 보실땐 약물치료는 거의 병행될 거긴한데, 약물치료 효과는 분명히있지만 그걸 유지하고 부작용을 잘 관리하는게 정신관련 치료죠. 근데 본인께서 스스로 이렇게 해야한다는 플랜자체도 있으시고 의지도 있으시니 무난하게 치료에 도움이 될꺼라 생각되네요.

정신과 진료는 보험적용되기 때문에 비용은 크게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어차피 진료부터 받을꺼 심리상담까지도 연장되어서 나올테니 자세한건 가보셔야 할거예요.
깃털달린뱀
25/02/05 14:57
수정 아이콘
그렇게 깊이 생각 안하시고 병원 가시면 됩니다. 힘들면 가는 거죠.
병원 가시면 처방을 해주든 심리상담을 안내해주든 할 겁니다. 병원이 마음에 안들면 딴 병원 가시면 됩니다. 정신과는 병원마다 스타일이 달라서(약 위주냐 상담 위주냐) 가봐야 알아요. 몇 군데 가보고 맞는 곳 가시면 됩니다.

비용은 경우에 따라 많이 다르지만 약값 포함 회당 몇 만원 언저리고(의료보험 됩니다) 아예 상담치료 전문인 경우는 보험 안 되고 회당 1~20만원쯤 합니다.
호리병
25/02/05 15: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약치료 : 정신과의원 등은 네이버검색하시면 정신과 전문의 00명으로 뜹니다. 이분들은 의사인것이고, 일반적으로 약물치료입니다. 내과에서 약지어 먹는것 같다고보시면 됩니다. 상담시간은 5~10분, 약처방은 보험이되서 비용은 저렴합니다. 비보험으로 뇌치료? 이런것이 유행하는것 같은데 일반적으로 추천은 않하는것 같습니다.


2. 상담치료 : 네이버 검색하면 심리상담 몇급, 전문상담사 몇급 이런식으로 뜹니다. 상담사 자격은 국내 3~4개 협회?단체? 에서 주는것 같습니다. 병의원은 아니고 사설센터이고 의료보험이 안되기에 비용이 비쌉니다. 30분~1시간 상담받고 상담료는 10만원 내외? 경력이 많은 상담사는 비싸고, 젊은 상담사는 좀 저렴하고.. 그런것 같습니다

약물치료 + 상담치료 병행이 좋습니다. 정신과병의원가면 사실 상담은 거의없고 약처방만 해주고 다음진료때 봅시다~ 하고 끝입니다.
사설 상담센터에서는 상담을 잘 해줍니다. 비용은 비싸지만요 ^^;;

정신과 방문은 당연히 거부감 있는데, 막상 가보면 사람 엄청많습니다. 대기도오래걸리고요, 요즘엔 우울증 약 처방 정도는 특별한것도 아니고요
25/02/05 15:12
수정 아이콘
건강하게 풀 수 있다면 (운동이나 친구 등) 토해내는게 좋죠.
저도 직장내 상사때문에 계속 두통 생기고 운동가던곳도 내부 수리중이라, 해소할 곳도 없으니 죽을맛이네요.
글보며 나랑 비슷하구나 위안받고 갑니다.
큰 고민 마시고 해소할 곳이 없다면 누적되는거라 도움을 받는걸 추천드립니다.
25/02/05 15:21
수정 아이콘
https://brunch.co.kr/brunchbook/depression1

제가 쓴 글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엘브로
25/02/05 15:54
수정 아이콘
아.... 글곰님 공유해주신 덕분에 읽었네요 울컥
버티느라 정말 마음 고생 많으십니다 ㅜㅜ
지금은 어떤 상태신지 궁금합니다....
25/02/05 16:2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저 글이 벌써 2년 전이네요. 부침이 있었지만 다행히도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습니다. :)
25/02/05 15:57
수정 아이콘
응급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고혈압은 고혈압 자체도 무섭지만 적절히 관리되지 않거나 방치되었을 때 발생하는 돌이키기 힘들거나 후유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은 각종 합병증이 무섭죠.


급성 스트레스 또한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자체가 하나의 질병상태일 수 있으며 적절한 진료, 상담, 복약 포함한 치료를 통한 관리 완화가 중요합니다. 방치되었을 때 악화될 수 있으니까요.


그래도 이렇게 본인 상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고 정신건강의학과 내방을 고려하시는 거 자체가 긍정적인 신호라고 봅니다. 꼭 진료 받으시길. 어떤 형태로든 도움이 됩니다.
파이어폭스
25/02/05 16:15
수정 아이콘
정신과 방문 후 진료 보시고 필요하면 심리상담도 진행해보세요. 심리상담 같은 경우 시간당 10만원선이라 병원 보다는 아무래도 부담이 좀 됩니다. 마음도 몸처럼 아플 수 있고 아픈 걸 방치하면 상처가 더 커집니다. 아프다는 걸 알았을 때, 특히 지금처럼 도움을 받아야 되겠다고 자각했을 때 빨리 가는 게 좋아요. 병원 가도 별 거 없습니다. 환자들도 대부분 겉으로 보기엔 평범한 사람들입니다. 그만큼 마음의 병이란 것도 몸의 병 만큼 흔해요.
안군시대
25/02/05 16:18
수정 아이콘
몸 건강과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몸이 좀 여기저기 쑤시고 속도 쓰리고 한데 어떨때는 괜찮고 하니까 그냥 놔뒀다가 나중에 진짜 아파서 가봤더니 암이었다는 식의 얘기 많이 들어보셨죠? 정신병이라고 딱히 다르지 않습니다.
그냥 좀 이상하다 싶으면 진료를 한번 받아보시고, 정신과 선생님이 적절히 진료하여 처방을 내려주실 겁니다. 원래 어떤 병이든 자가처방이 제일 위험한겁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5/02/05 17:20
수정 아이콘
그냥 가시면 됩니다
덴드로븀
25/02/05 17:23
수정 아이콘
[제 경우도 해당될까요?] -> 네. 바로 근처 정신건강의학과 검색 후 전화해서 예약잡고 방문하세요.
리코타홀릭
25/02/06 11:31
수정 아이콘
제가 다니는 병원 의사선생님은 마음에 걸리는 감기라고 부담갖지 말라고합니다

감기도 방치하면 악화되니 빨리 병원가시는걸 추천합니다
콩순이
25/02/06 16:50
수정 아이콘
회사내 괴롭힘으로 인한 스트레스이니 기록을 남겨놓는게 앞으로 좋을거 같아요. 병원 가셔서 상사와의 이야기를 자세히 남겨놓으시는게 좋겠습니다. 사람일은 어찌될 지 모르는거니까요. 정신과 가셔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7152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29751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837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1571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2745
179775 [삭제예정] [갤럭시] 공유앨범 사진을 업로드 하고 싶을때 [2] 걷자집앞이야1656 25/02/19 1656
179755 [삭제예정] 흔히 포테크(아이돌 포토카드 재테크)라는걸 하면 수익이 짭짤한 편인가요? [4] 조헌1313 25/02/18 1313
179747 [삭제예정] 송파, 방이동 근처 소개팅할만한 카페 있을까요? [4] 삭제됨858 25/02/17 858
179698 [삭제예정] 어머님이 보이스피싱을 당했는데 휴대폰 좀비화? 이럴수가 있나요? [21] 승승장구1977 25/02/12 1977
179688 [삭제예정] (문제시) 5만원 내기인데 투표 부탁드립니다 [50] 마르틴 에덴2496 25/02/12 2496
179622 [삭제예정] 삭제된 질문입니다. [7] The Normal One2081 25/02/07 2081
179620 [삭제예정] (연애)이런 유형의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 그리고 대처법이 궁금합니다. [14] 삭제됨1982 25/02/07 1982
179609 [삭제예정] 언젠가부터 댓글이 잘 안써집니다 [17] v.Serum1026 25/02/06 1026
179604 [삭제예정] 자동차 사고 관련해서 어떻게 하는 게 나았을까요? [10] 김삼관1244 25/02/06 1244
179591 [삭제예정] 정신과엔 무슨 이유로 가나요? 제 경우도 해당될까요? [15] 삭제됨2404 25/02/05 2404
179541 [삭제예정] 연인의 연락 관련 문제 때문에 고민이 있습니다. [29] 삭제됨3419 25/02/01 3419
179513 [삭제예정] 먼저 연락이 안오면 무조건 가능성 없나요? [27] 삭제됨3082 25/01/31 3082
179481 [삭제예정] 따로사는 가족의 채무정보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5] stumpjumper3823 25/01/26 3823
179452 [삭제예정] 우울증 어떻게 더 이겨낼 수 있을까요? [33] 사계4471 25/01/23 4471
179451 [삭제예정] 겨울에 일이 없는 직업은 무엇일까요? [17] 모아2895 25/01/23 2895
179425 [삭제예정] 지금 극우의 음모론 및 구호들의 중심 반중정서는 어떻게 바라봐야할까요? [18] 삭제됨1906 25/01/21 1906
179375 [삭제예정] 축의금 질문입니다 [18] wish buRn3801 25/01/15 3801
179351 [삭제예정] 아는 동생 교통사고건... [15] SkyClouD3843 25/01/13 38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