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9/24 20:54
사장 바로 밑엔 부사장이죠. 상무면 이사입니다. 부장에서 승진하는 직책이자 간부중에서 낮은직책이죠.
하는 일이라 하면 우선 회사의 의사결정을 진행하는 이사회에서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직책이며, 이사회가 없을땐 대표이사(사장)이 지시한 일을 하는게 일이죠.
13/09/24 20:54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전무면 한개의 사업군 혹은 한개의 부문(영업부문, 관리부문 등..)의 수장으로,
적게는 2~3개, 많게는 5~6개의 부서를 총괄합니다. 임원급으로 사장(부사장)의 바로 아래로 월급쟁이가 갈 수 있는 한계라고 봐야할겁니다. (사장은 오너인경우가 많으니...)
13/09/24 20:58
잠시 일했던 삼성기준으로 말해보자면
사장-부사장-전무-상무-부장-차장-과장-대리-사원 상무급까지를 임원이라해서 특별 대우입니다. 중견기업은 몰라도 대기업 상무라면 남자인생 성공했다고 말해도 충분합니다.
13/09/24 23:53
상무면 높은 직책입니다. 보통 회사원들이 퇴직의 기로에 서게 돼는 기준이 부장에서 상무,전무 등 임원이 돼느냐 마느냐 입니다.
부장에서 임원이 돼면 계속 회사 다니는거고 임원 못돼면 퇴직하고 이제 노후대책으로 다른 자기사업이나 자영업 등 그런걸 준비하게 돼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