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1/08 19:14:30
Name 커피마시쪙
Subject [질문] 위,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러는데 복부 내시경도 일반적으로 많이 하는건가요?
위,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러는데 복부 내시경도 일반적으로 많이 하는건가요?
40대이고 이번 건강 검진에서 위, 대장 내시경을 받으려 합니다. 그런데 병원에서 위, 대장 내시경을 할때 복부 초음파검사도 함께많이 하는데 받아보는게 어떠냐고 권해서요. 복부 초음파검사를 추가하면 20만원 정도 더 비용이 추가된다던군요.
일반적으로 위, 대장 검사를 할때  복부 초음파도 많이 하시는건지, 가격은 적정한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ephisto
19/11/08 19:32
수정 아이콘
여기 의사 선생님도 많으시니 추가적으로 자세히 설명드리긴 하겠지만...
복부 초음파라 칭했으니 상하복부를 둘다 본다는 조건에서는 싸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마냥 비싸지는 않은 그런 비용이구요.
보통은 직장인들 음주랑 피로때문에 간을 챙기시는 분들은 상복부 초음파 매년 받는 분들 많으실겁니다.
하복부 초음파는 남성의 경우 전립선을 보는데 보통 50대 이상분들 중 건강 관리 신경쓰시는 분들은 매년 받는다고 하더군요.
커피마시쪙
19/11/08 20:18
수정 아이콘
상하복부 둘다 검사하는거라고 했어요~
답변 감사합니다.
정지연
19/11/08 19: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경우는 그간 받은 건강검진에 항상 필수 항목으로 있었어요. 지방간, 담낭, 신장 같은거 보더라고요
지방간은 중년 남성에겐 중요한 검사 항목이고 다른 부위도 초음파로 용종을 찾아내는데 이게 없으면 다행이고 있어도 크기가 어느 정도냐, 커지냐 아니냐도 중요하기 때문에 꾸준히 검진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커피마시쪙
19/11/08 20:19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몽키매직
19/11/09 04:33
수정 아이콘
복부 초음파 급여화 되어 가격이 고정되어 있고 몇 만원 수준입니다. 원래 40대에 해야하는 위내시경(공단 검진; 거의 무료) 에 대장내시경 + 복부초음파 추가비용 20만원 가량 이야기하는 거 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302 [질문] 원가보존율이 100% 아래면 어떻게 수익을 내나요? [6] norrell3613 19/11/09 3613
139301 [질문] 저는 무슨 수저인가요? [12] LichR4881 19/11/09 4881
139300 [질문] 전기장판 추천부탁드립니다. [1] 나락의끝2986 19/11/09 2986
139299 [질문] 청년 전세자금 대출질문 (부결관련) [2] 라디오헤드3745 19/11/08 3745
139297 [질문] 유튜브 프리미엄 저장가능 용량이 실제 남은 용량보다 적게나오는 이유 아시나요. [1] 하나의꿈2896 19/11/08 2896
139296 [질문] 이런 경우도 수저 물고 태어난 걸까요? [20] 샨티4948 19/11/08 4948
139295 [질문] 대출받아 주식한다고 하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3] Nasdaq4466 19/11/08 4466
139294 [질문] 요런 스타일의 모자를 찾을 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2] Part.33280 19/11/08 3280
139293 [질문] 감기약 지르텍에도 혹시 잠오는 성분이 섞여잇나요? [5] 삭제됨4705 19/11/08 4705
139292 [질문] 윈도우 10 동영상플레이어 추천좀 해주세요. [5] mandubest4231 19/11/08 4231
139291 [질문] 위,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러는데 복부 내시경도 일반적으로 많이 하는건가요? [5] 커피마시쪙3506 19/11/08 3506
139290 [질문] 현대의 철학사 흐름을 볼 수 있는 책이 있을까요 [8] 패스파인더3189 19/11/08 3189
139289 [질문] IP TV 를 신청해야 할까요? [3] StondColdSaidSo3091 19/11/08 3091
139288 [질문] 프로젝터 관련 InoriLee2546 19/11/08 2546
139287 [질문] 안드로이드 폰 모아키 버벅임 발생하신 분 없으신가요? [8] 모나크모나크2582 19/11/08 2582
139286 [질문] 후토마키는 일본에선 안먹나요? [6] 기다리다똥된다4185 19/11/08 4185
139285 [질문] (노트북관련) 롤할때 마우스렉 유발할 수 있는게 무슨 요소들인가요? 랜슬롯3711 19/11/08 3711
139284 [질문] SD카드를 복구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7] AKbizs3208 19/11/08 3208
139283 [질문] 신문구독을 해보려고 하는데 어디 신문이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시료들이 많이 나와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10] 318reborn3205 19/11/08 3205
139282 [질문] 자게에 한국 출산율 및 인구감소 글 어디로 갔나요? [1] 드라카2830 19/11/08 2830
139281 [질문] 엑셀 차트 작업 저장 후 문서가 열리지 않습니다. Vertigo2203 19/11/08 2203
139280 [질문] 롤 반응속도 피시방처럼 만들 수 없을까요? [10] 난나무가될꺼야8672 19/11/08 8672
139279 [질문] 무선 공유기 설치 관련 질문입니다. [2] 쌍무지개2710 19/11/08 27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