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11/06 10:31:59
Name Lz
File #1 Screenshot_20251106_103020.jpg (2.02 MB), Download : 190
출처 dc
Subject [유머] 최근 일본 MZ들에게 욕먹는 중인 에반게리온 (수정됨)


시간이 지나고 젊은층들이 보기엔

난해한 스토리라인, 외부 해설을 안보면 이해 할 수 없는 전개, 스토리를 지적하면 너 머리 나쁘지? 같은 말이나 하던 기존 팬층들

그리고 뭣보다 있어보이는척만 하고 결국 아무 내용도 없는거 아님?? 이란 지적에

아저씨들은 저런걸 좋아했어? 라며 나이든 오타쿠들을 조롱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랑의하츄핑
25/11/06 10:35
수정 아이콘
아가들이 뭘 모르네요. 작품 자체가 거대한 맥거핀인 것을.
25/11/06 10:35
수정 아이콘
저도 당시 하도 난리들이라 안보면 안될 것 같아서 TV판 정도만 봤었는데 뭔 내용인지 이해하기 힘든 것도 있고 너무 재미 없었기도 해서 내용이 하나도 기억이 안나네요.
25/11/06 11:38
수정 아이콘
저도 X세대인데, 에바는 재미가 없더라고요
TV판만 조금 보다 말았습니다
25/11/06 10:38
수정 아이콘
'뭔가 있어 보임'

그저 그뿐
저속역노화
25/11/06 10:40
수정 아이콘
하지만 그게 전부란다
Betelgeuse
25/11/06 10:40
수정 아이콘
하지만 이 아저씨들은 잔혹한 천사의 테제가 울려퍼지면 척추가 바로 선단다..?
Far Niente
25/11/06 10:41
수정 아이콘
늙은 오타쿠와 젊은 오타쿠가 싸우는 덜덜
25/11/06 10:43
수정 아이콘
뭔가 반응이 신기하네요. 당연한 거 아닌가 싶고.
최근의 예를들면, 고이즈미 화법 밈을 들고 이야기하는데 '왜 당연한 소릴하는 거지? 바본가?'하는 느낌으로 받아들이는 걸 보는 느낌입니다.
한국인의 입장에서 저런 소릴하는 게 오타쿠라는 느낌인데 말이죠. 중2병 같은 거잖아요.
에반게리온의 좋은 연출 같은 건 지금와서 다른 작품들이 워낙 많이 참고했으니 의미가 없고.
그10번
25/11/06 10: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느시대에나 통하는 정통적인 이야기나 캐릭터보다는 그시대 기준으로 기존의 로봇물과 달랐던 포인트에서 (신비로운 히로인, 열혈과 거리가 멀었던 나약한 거대로봇 파일럿, 뭔가 있어보이는 설정등) 오는 신선함, 파격적인 전개등이 작품의 큰 강점 중 하나였는데 지금은 너무 흔한 것들이 되었으니 새로운 세대들에겐 단점과 애매한 부분만 보일 수 밖에 없죠.
25/11/06 10:44
수정 아이콘
저도 보다가 이게 왜 명작이지? 하면서 중도 하차한 기억이 나네요
격렬하게쉬고싶다
25/11/06 10:45
수정 아이콘
에반게리온 처음 보던 날이 뚜렷이 생각나는군요.. 25년전쯤 된거 같은데.. 에바 안본 뇌 삽니다..
롤격발매완료
25/11/06 10:46
수정 아이콘
게임도 예전 고전명작해보면 평범해보이죠
예전에 신기했던 새로운 요소가 지금와서는 다들
쓰고있는 상황이라고 보면 됩니다.
환상회랑
25/11/06 11:00
수정 아이콘
젤다:시간의 오카리나 지금 플레이해보고 이게 왜 역대 최고의 게임임? 하는 느낌이죠.
25/11/06 11:18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적을려고 했는데,
대표적으로 에바의 폭주라던가 하는게 있죠.
킹오파에서는 폭주 캐릭터로 오마쥬도 했죠.
네파리안
25/11/06 11:53
수정 아이콘
그쵸 바이오쇼크가 발매 당시재밌었는데
이후로 바이오쇼크 같은 스타일의 게임들이 너무 많이 나와서 지금하면 왜 명작이지 하는 반응 많죠.
환상회랑
25/11/06 10:47
수정 아이콘
요즘 오타쿠 업계에서 문법화된 츤데레(아스카), 쿨뷰미(레이), 눈나(미사토), 게이(카오루) 그거 전부 에바의 영향이라고! 소위 있어보이는 중2병, 세카이계, 피폐물 등등 에반게리온이 수많은 서브컬쳐 문법의 시조는 아니더라도 관련성과 더불어 확산시켜준 작품이라 생각함.
지금 와서 보면 당연하게 존재하는 것들이 그 시대엔 에반게리온이 혁신적으로 서브컬쳐계에 충격을 줬기에 역사의 남을 대작이 된거죠.
그말싫
25/11/06 10:47
수정 아이콘
저도 에바는 왠지 안 보다가 올해 처음으로 봤는데, 전체적으로 지루하긴 했지만 역사물 보는 느낌으로 보니 그래도 재밌었습니다.
웃으면 된다고 생각해 같은 장면은 구전으로만 듣던 역사의 한 장면을 보는 느낌...
카루오스
25/11/06 10:51
수정 아이콘
까짓거 한번 타보죠
25/11/06 10:52
수정 아이콘
신극장판은 근데 아직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어야할지 잘모르겠어요~
그냥 재밌게는 봤는데
25/11/06 11:20
수정 아이콘
저도 신극장판 너무 재미있게 봤는데 왜 후속편이 안나오나요?
분명 4부작이라고 했던 거 같은데... 서,파 이후 소식이 없네요.
25/11/06 11:23
수정 아이콘
그러게 말이에요 파에서 그렇게 사람 설레이게 해놓고
산밑의왕
25/11/06 11:32
수정 아이콘
서파 까지는 진짜 안노가 정신차렸구나 했는데…ㅠ
왕립해군
25/11/06 10:54
수정 아이콘
요새 한중일 오타쿠 입문 경로가 애니가 아닌 게임이라 생각하면 더더욱 지루하게 느낄거라 생각합니다
아니시에이팅
25/11/06 10:58
수정 아이콘
있어보임이라는건 매우 중요한 일이죠
25/11/06 10:58
수정 아이콘
전부 팩트라서 반박할 수 없음
지나가던S
25/11/06 10:5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런 세대 차이 볼때마다 그래서 지금 애들은 뭘 주력으로 보고 있나? 이런 생각이 들긴 하죠.
아, 물론 에바 자체는 저도 불호긴 합니다. 제가 중학생 때 봤다면 좋아했을 수도
미드웨이
25/11/06 11:03
수정 아이콘
당시에 봐도 이상한 설정만 늘어놓지 제대로 이야기전개 할줄모르는 애니였어서. 떡밥만 잔뜩풀고 마무리 못하는 용두사미 작품의 대표격이죠.
인민 프로듀서
25/11/06 11:03
수정 아이콘
아스카나 미사토는 지금 봐도 좋지 않나요
25/11/06 11:42
수정 아이콘
리츠코와 마야 파는 없나요 ㅠㅠ 흑흑
25/11/06 11:44
수정 아이콘
아스카를 제일 좋아하지만 마야도 은근 좋아했던 1인은 있습니다. 
25/11/06 12:23
수정 아이콘
여캐 디자인은 잘 빠졌죠 흐흐
25/11/06 11:05
수정 아이콘
저도 에바로 입덕한 세대긴 한데,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신극장판으로 진짜 아무것도 없다는걸 두번 증명해버렸으니 크크
코미카도 켄스케
25/11/06 11:08
수정 아이콘
뒤집어서 얘기하면 저런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왜 빅히트를 했는지 고찰해봐야죠. 90년대초중반은 일본 애니 최대의 부흥기이기도 했지만 판에 박은 내용의 권선징악 히어로물도 판치던 시대였으니까요. 지금이야 까짓 거 한번 해보죠로 유명한 신지지만 당시에는 넘쳐나는 열혈 주인공들 사이에서 독보적으로 튀는 존재였고요. 
실험적이었던 과거 명작에 대한 오마주 + 세기말 감성까지.. 당대 사람들은 공감 못할 요소들이 많은 것도 한몫하고요
물론 이러니 저러니 해도 히트 친 가장 큰 요인은 캐릭터 디자인이라고 보지만.. 그것고 이후에 상향평준화되어서
방과후티타임
25/11/06 11:08
수정 아이콘
캐릭터성이나 메카디자인, 연출은 빼어났죠.
저 평가들처럼 스토리는 설정은 좋았으나 끌어나갈 역량은 부족했다 정도...
25/11/06 11:10
수정 아이콘
사실은 당시에도 캐릭터 디자인이 다 였던거 같은데... 레이와 아스카 인기가 요즘 세대가 보면 이해가 안 가는 걸까요?
Myoi Mina
25/11/06 11:09
수정 아이콘
작품의 호불호는 재쳐두고 서브컬쳐쪽에 끼친 영향은 상당했죠

극장 개봉당시 어마어마했다던 환마대전도 지금보면 평범해 보일 정도니
25/11/06 11:1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너무 유치하고 천박한 애니라고 생각함.
25/11/06 11:11
수정 아이콘
옛날 사람이지만... 솔직히 저 반응 전부 이해됩니다.
25/11/06 11:11
수정 아이콘
저는 에반게리온이라는 미디어를 오로지 엔드 오브 에바만 봤는데

제 친구 말로는 그게 에반게리온을 경험하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문문문무
25/11/06 11: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확실히 미호요랑 근 10년동안 나온 일본애니 대작들이 눈을 너무 높여버리긴 했습니다.
원래 그 세기말 작품 특유의 암울한 분위기랑 미소녀캐릭터가 참신하면서도 호소력있는 연출과 겹치면서 대히트를 끌었었는데
미호요가 완벽한 상위호환을 만들어 버렸죠
그말싫
25/11/06 12:53
수정 아이콘
그냥 시대의 흐름과 발전이라 봐야죠, 미호요는 누구보다도 에바빠인 개발자들이 모인 곳인데요 크크
이쥴레이
25/11/06 11:14
수정 아이콘
고전 명작입니다.
그당시 고등학생때 우와... 쩐다라고 느껴서..
매주 비디오 테잎불법으로 구해서 애들이랑 계모임으로
봤던 기억이... 그때 에바랑 사이버포뮬러였는데.. 건담도 있었고..
샤르미에티미
25/11/06 11:14
수정 아이콘
지금 시점에서는 구구절절 맞는 말인데, 이런 식으로 비판해서 살아남는 고전 명작들이 몇 없죠. 그 드래곤볼조차도 뻔한 내용이라고 욕 먹는 판에... 어쨌든 디자인이나 설정은 매력 있게 뽑은 거고, 소위 말해 떡밥을 세계관에 잘 녹여서 궁금하게 만들어 흥행 시킨 것도 능력입니다. 지금도 그런 식으로 써먹는 작품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다만 지금은 회수 잘 못 하면 명작으로 쳐주지 않는 것뿐이죠. 이상, 슈퍼로봇대전에서만 에반게리온을 접한 사람의 의견입니다.
25/11/06 11:14
수정 아이콘
충분히 이해됩니다. 고등학교 시절 에반게리온 재밌게 봤었지만 퍼스트 건담은 도저히 못 보겠던 적이 있어서..
더스번 칼파랑
25/11/06 11:18
수정 아이콘
전 저시절에 에반게리온보다는 나데시코를 더 좋아했습니다. 게키강가~~~
불쌍한오빠
25/11/06 11:18
수정 아이콘
젊은이들과 관련해서 토론 불으면 이길수 있는 그 시대 오타쿠는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크크크
...And justice
25/11/06 11:21
수정 아이콘
그거면 된 거 아닌가?
츠라빈스카야
25/11/06 11:21
수정 아이콘
킹덤 오브 헤븐에서 살라딘이 했던 대사가 생각나는군요. 

"Nothing. Everything."
25/11/06 11:21
수정 아이콘
딱 2000년대 중반쯤 국내 오타쿠들 사이에서 '이제 알았다... 에반게리온의 극의... 시시해서 죽고 싶어졌다.' 하는 태도가 유행하던 시기와 겹치네요. 이런 역사는 반복되지 않아도 되는데 허허허.
25/11/06 13:16
수정 아이콘
핵심 포인트는 특정 작품의 작품성이 있나 없나보다 '세상이 높게 평가한 것을 내려다보는 나'에 도취된 모습이라 생각하네요. 정작 그런 사람들의 다른 감상을 파보면 자기가 뭘 모르는지조차 모르는 상태인 경우가 허다하고요.
유료도로당
25/11/06 11: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과거의 클래식을 볼때는 시대보정을 해야죠. 뻔해보이는게 사실 그때는 혁신이었을 수도 있고, "아 이 작품이 후대의 작품들에게 영감을 주는 선구자 역할을 했구나" 라고 생각하면서 보면 또 다른 경외심이 들고 그런거라서...

저는 지브리의 첫작품 <천공의 성 라퓨타(1986)> 을 보면서 "아 이 만화가 내가 봐왔던 수많은 무언가의 원형 같은 작품인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우리아들뭐하니
25/11/06 11:23
수정 아이콘
아느만큼 즐기는게 서브컬쳐긴하죠. 근데 굳이 비꼬는걸 보면 모를수록 당당한 '심심한 사과' 같은 사태가 생각나네요.
제주산정어리
25/11/06 11:23
수정 아이콘
차라리 에바 직후의 천공의 에스카플로네를 개인적으로는 더 높게 쳐주고 싶습니다. 물론 에바도 그 당시에는 혁신적인 애니였습니다. 시대상을 무시하고 평가하면 곤란합니다.
25/11/06 11:28
수정 아이콘
저도 에스카플로네를 더 좋아했습니다...
다만 옛날에 에반게리온 보다 에스카플로네가 낫지 않아? 라고 했다가...
그만...
물론 그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환상회랑
25/11/06 1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sbs에서 마법소녀 리나 이후 에스카플로네 예고편을 딱 틀어주는데, 아직도 그때의 충격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그 어린 시절 단 한번도 보지 못했던 충격적인 영상미였거든요. 날아라 슈퍼보드, 배추도사 무도사 이런거 보던 눈에 유려한 로봇들이 싸우는 화려한 영상보고 다른 세계를 보는거 같았습니다. 로봇이 용으로 변신하고, 신비한 사운드가 흐르고.
이세계물이란 것도 에스카플로네부터 확연히 인식했었죠. 에스카플로네도 나름 어둡고 잔혹한 장면들이 있었는데 그것도 처음 보는 세상이었구요. 개인적으로 매우 의미깊은 작품이었습니다. 만화영화에서 애니메이션이란 장르를 처음으로 눈뜨게 해준 작품.
25/11/06 12:27
수정 아이콘
그 당시 들었던 평이 '일부 오덕'을 노린 에바와 '대중성'을 노린 에스카플로네인데,
에바가 '일부 오덕'을 너무 제대로 노린 덕에 오덕들에게 대중성을 확보해버렸고, 대중 픽이던 에스카플로네가 소수파가 됐다는 평을 들었었습니다. 어디서 들었는지는 모르겠어요. 잡지 같은데에서 누군가 이야기한 걸 본 거 같은데.
카미트리아
+ 25/11/06 15:21
수정 아이콘
저도 에스카플로네를 훨씬 더 좋아합니다.
Jedi Woon
+ 25/11/06 15:57
수정 아이콘
지금 다시 보면 에스카플로네는 시대를 앞선 건지도 모릅니다.
이세계로 전이되고 여주 하나를 두고 남주들이 대립(?) 하고 거대 메카닉이 직접 칼을 맞대는 전투 로망까지
수메르인
+ 25/11/06 17:05
수정 아이콘
에스카플로네가 재미나 완성도 측면에서 훨씬 낫더군요. 그저 시운을 타지 못한 것뿐이랄까..
지구 최후의 밤
25/11/06 11:25
수정 아이콘
요새 MZ들이 세기말 홍콩 영화를 봐도 비슷한 감상 아닐까 싶네요.
그런데 그 시기 청춘들이 향유할 수 있는 분위기는 전해질 수 없는 것이니..
몽쉘통통
25/11/06 11:25
수정 아이콘
있어 보이는척 -> 결말(엔딩)이 완전...xxx다.

가 아닐까요? 진짜 박수치며 축하해 장면은 파리바게뜨 드디어 남자되는구나 축하해+파리의연인 아 개꿈 정도의 충격이였습니다.

강철연금술사 정도의 결말만 보였어도..
멀티플스
25/11/06 11:30
수정 아이콘
원래 많은 작품에 해당 되는데 시대적 감성과 시청자의 나이가 감상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죠.

세기말 감성과 중2병이 없다면 지루한 작품이라 평가해도 이상하지 않아 보입니다.
스톤콜드 스터너
25/11/06 11:30
수정 아이콘
솔직히 안노도 저거 무슨 내용인지 스스로조차 모를거라 생각함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11/06 11:32
수정 아이콘
대부 시민케인 이런 것도 지금보면 개졸리고 허세 장난아니게 보입져 크크
롤격발매완료
25/11/06 11:32
수정 아이콘
바이크 씬으로 유명한 아키라도 정작 보면
다들 지루해 하던..
문문문무
25/11/06 11:33
수정 아이콘
솔직히 에반게리온같은 일본 서브컬쳐의 기념비적 위상들을 호요버스가 점점 대체해나가고 있지않나 싶습니다.
연출, 캐릭터디자인, 뭔가 있어보이는 세계관(근데 진짜로 탄탄하고 빽빽한.. 광기가 느껴지는..)
전부 호요버스가 단점만 보완해서 대체하고 있어요

원신이후 수년간의 과거가 증명해왔듯 파쿠리던 뭐던 전혀 중요치 않습니다,
그걸 대체할만한 퀄리티로 스까내는게 그들의 진짜 능력이죠
마치 KPOP이랑 비슷한 느낌이에요

2년쯤 전만해도 세계관을 스토리로 풀어내는 연출은 좀 거시기했었는데 요새 나오는거 보면 그냥 인정할수 밖에 없더라고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11/06 11:3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저 시절에도 똑같은 말 나왔는데 다른 점이라면 그 시절엔 저 말이 살짝 소수였는데 지금은 다수인거?
25/11/06 11:35
수정 아이콘
에우레카, 비밥도 지금 세대의 눈에는 지루하게 느껴지겠죠?
문문문무
25/11/06 11:36
수정 아이콘
비밥은 타츠키류 열풍에 힘입어 긍정적으로 평가되지 않을까요?
25/11/06 11:37
수정 아이콘
비밥은 확실히 좀 루즈하더라구요. 후반부에 너무 힘이 빠져서 그런 영향도 있구요,..
25/11/06 11:36
수정 아이콘
누가 늦게 보래?
Thanatos.OIOF7I
25/11/06 11:36
수정 아이콘
크윽... 반박할수가엄따ㅠ
25/11/06 11:37
수정 아이콘
맞는 말 같은데요?
별 거 없는데 있어 보이게 함
뭐 그것도 능력이죠 크크
아포가토
25/11/06 11:38
수정 아이콘
지금봐도 재미있는데..
사다드
25/11/06 11:41
수정 아이콘
전 세계 아니메 팬들을 대상으로 사기 친 작품으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자기가 시작한 스토리를 수습하지 못하고 대충 말로 때워버린 꼴이란. 30년전 대학때 열광하며 봤었지만 그때도 TV판 후반부로 갈수록, 특히 25판, 26판 보며 이건 뭥미? 했었고,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 보고는 와 내가 이 사기극에 끌려다녔구나 하며 실망했었던. 아들 딸이 본다고 해서 저도 다시 한번 봤지만 이 감상은 여전했습니다.
25/11/06 11:45
수정 아이콘
혁신적인 작품은 맞고 시대를 바꾼 작품인것도 맞는데..
한편으로 좀 시대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작품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말 그대로 그 시대니까 나올 수 있었고, 그 시대니까 받아들여지는 감성이 극대화된 느낌.
25/11/06 11:45
수정 아이콘
메카물 좋아해서 건담 보다가 에반게리온도 봤었는데

같은 구시대 작이어도 건담은 뭔소리하는지가 명확하고 자기들끼리 하는 사고의 대화가 나와서 가끔 뭔소리하나 싶어도 흐름으로 대충 이해가 됐는데

에반게리온은 그냥 뭔소린지..어쩌라는건지..발화 뿐만 아니라 흐름도 이해가 안 갔던 기억이 납니다
25/11/06 11:47
수정 아이콘
'모에' 도 구시대의 유물이 된지 한참인데, 에바는 말할 것도 없죠.
메타가 이미 몇번은 바뀌었는데요.
25/11/06 11:47
수정 아이콘
영원히 먹히는 애니가 어디있겠습니까
cruithne
25/11/06 11:48
수정 아이콘
요새 애들이 에바를 봐요? 고전문학 같은건가
25/11/06 14:33
수정 아이콘
XX년 기념으로 다시 재방해줬습니다.
똥천재
25/11/06 11:5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하루히도 지금 보여줘도 똑같음
25/11/06 11:53
수정 아이콘
그땐 페르시안 왕자가 얼마나 무서웠는데 ㅠㅠ


지금 보면 이게 뭥미 하는 그런 느낌인가
절충절충
25/11/06 11:53
수정 아이콘
조카에게 대부와 스카페이스를 강추했는데,
보고온 아이가 신세계가 천배는 더 재밌고 잘 만듣것 같다고 해서
말문이 막혔던 기억이 나네요
캡틴에이헙
25/11/06 13:54
수정 아이콘
아.. 글로 읽어도 말문이 턱 막힙니다.
음 정말 화가 나지만 화도 못내는... 누구한테 화를 내야하나 하는 그런... ㅠㅠ
카미트리아
+ 25/11/06 15:22
수정 아이콘
무간도를 추천해주시죠..
딱총새우
25/11/06 11:53
수정 아이콘
오메데토 (짝짝짝)
25/11/06 11:54
수정 아이콘
'체인소맨'도 '귀멸의 칼날'도 일단 30년을 살아남아서 이렇게 논란이라도 일으킬 수 있다면 인정.
저는 에바도 체인소맨도 좋아하지만.
TempestKim
25/11/06 11:55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알고봐서 그런것도 있을것 같구요
지금 시대에도 다른 작품이어도 TV판 최후반부 두개 같은 전개 나오면 다들 ??? 할거고 떡밥 뜯어보다가 비슷하게 있어보이는 요소들이 발견된다면 화제성은 비슷하게 커질 것 같은데
프리스크
25/11/06 11: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레나 마토메 자체를 mz가 안할거같은데 그냥 에바에 정떨어진 아재들끼리 wwe(ufc?)하는거 아닌지 크크
그건 그렇다 치고 그당시에 재밌었으면 된거아님?이라는 개인적인 감상.
25/11/06 11:58
수정 아이콘
시대보정 당연히 해줘야하지만, 명작중에서도 시대를 안 타는 명작이 더 티어가 높은거 아니겠습니까.

지금 시점에서 평가하는 관점도 불필요한건 아니지요. 그리고 에바는 시대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지가 개똥같이 텔링 하는 부분이 있긴해요
몽쉘군
25/11/06 12:03
수정 아이콘
스토리는 깔만하지만
에바에 진수는 연출에 있다고 생각하기에..
신극장판 보면 왠만한 애니들은 명함도 못내밀만한 연출이 나오죠
25/11/06 12:0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고전은 시대적 상황이나 선구적인 측면도 고려해야겠죠. 클래식이 된 작품들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 호불호야 어느 작품이든 있는 거고요. 저도 좋아하는 작품은 아니라서 공감되긴 합니다만 많은 팬들을 만든 매력은 분명 있는 작품이라 생각합니다.
아이군
25/11/06 12:06
수정 아이콘
저는 비슷한 논리로 대부를 보기 어렵더라구요.

워낙 명작이라니깐 보려고 시도는 했는데, 초기에 너무 클리셰적이고 빤한데 지겹기까지 하니깐 한 30분 보다 때려치웠습니다. 뒤로 가면 좀 더 재미있어 질 거 같긴 한데...

물론 머리로는 그 클리셰 그 빤한게 다 여기에서 나온거다 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보다가 현타올 정도로 지겨워서...
25/11/06 12:12
수정 아이콘
고전/클래식은 감상자가 마음의 문을 열 준비가 되어 있어야 와닿는 거지, 절대로 친절하게 먼저 찾아가지 않습니다.
Darwin4078
25/11/06 13:37
수정 아이콘
대부1이 지루하시다면, 마이클의 비토 입원 병원 입구 장판파 씬, 솔로초, 맥클러스키 경찰서장 암살씬, 피의 세례식 씬 정도만 보셔도 된다고 봅니다.

원래 고전명작 보는게 고역이긴 합니다.
25/11/06 12:09
수정 아이콘
그당시 다른 로봇물에 비해선 스토리도 연출도 있어보여서 멋있긴한데 내용이해가 안되서 마냥 좋아하긴 힘든데 어쨌든 개성은 확실했죠
미카엘
25/11/06 12:09
수정 아이콘
당시 상황을 고려해 가면서 봐야지 다짜고짜 현재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 자체가 무지한 일이라는 걸 모르나 봅니다.
김첼시
25/11/06 12:22
수정 아이콘
역대급 여캐 메카? 디자인 분위기 ost등 당시에 대단했던건 맞죠 스토리야 뭐;
일면식
25/11/06 12:26
수정 아이콘
원초적 재미가 있어야 메세지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메세지가 거의 없는 드레곤볼도 충분히 명작이죠.
Your Star
25/11/06 12:4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에바로 입덕했다가 나이 들어서 실망한 입장이었어요. 신극장판부터 구판까지 이어보니까 아, 결국 안노의 망상물이었나 이런 생각까지 들더군요.
다시마두장
25/11/06 12:44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부터 에반게리온을 싫어했던 사람입니다만, 저 풍조는 인정해야 할 가치마저 인정을 안 하는 것 같아 별로 찬동하고 싶지는 않네요.

요새 진격거 추종자들이 강철의 연금술사 재미없다고 까는거랑 비슷한 바이브같아서...
덴드로븀
25/11/06 12:47
수정 아이콘
1995 : 신세기 에반게리온 방영 - 현재 기준 30년전
1965 : 밀림의 왕자 레오 방영 - 1995년 기준 30년전
25/11/06 14:14
수정 아이콘
이게 본질이긴 하죠.
25/11/06 12:48
수정 아이콘
에바를 안 봐서 저도 무슨 매력인지 모르지만 시대를 타는 명작들도 있습니다.
시대를 안 타야만 명작인 건 아니죠.
재미야 주관의 영역이고 세대와 시대를 뒤흔든 작품이니 탐구할 가치는 있겠죠.
사부작
25/11/06 12:49
수정 아이콘
지금 보는 사람에게 재미가 없을 수는 있는데, 에바가 명작이라는 걸 부정하면 저는 감상의 시야가 좁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단순히 세대차가 아니에요.
김김김
25/11/06 12:55
수정 아이콘
에바의 연출은 더이상 특별하지 않고, 원전이라고 하기에는 이제는 인터넷도 발달해서 더이상 앞선 세대의 파쿠리라는 걸 숨길 수 없죠(안노는 숨긴 적 없습니다만 팬층은 숨기더라고요). 있어보이는 척 하는 스토리도 이제는 신비한 게 아니라 답답하게 하는 요소죠.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에바 세대도 전 세대애니메이션 보면서 비슷한 생각 했지 않겠습니까?
25/11/06 13:06
수정 아이콘
에바는 전성기 당시에도 호불호가 굉장히 심한 작품이었습니다.
업계 레전드들도 혹평한 경우도 많았고…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후대에 끼친 부정적인 영향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김김김
25/11/06 13:17
수정 아이콘
미야자키나 오시이나 토미노나 했던 말들이 농담따먹기 한 게 아니라 진짜 다들 별로 안 좋아했죠. 그 양반들은 안노가 패러디/오마쥬/파쿠리한 원전을 다 알고 있을 테니까... 
25/11/06 14:38
수정 아이콘
나이 들어서 다시 보니까, 몇몇 장면은 고어를 섞은 포X노물이 아닌가 싶기도...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면 업계 레전드들이 식겁할만도 할 것 같고... 참 애매합니다.
밤가이
25/11/06 13:07
수정 아이콘
에반게리온보다는 에스카플로네를 좋아했던 기억이 나네요.
25/11/06 13:11
수정 아이콘
스토리 외적으로도 상당히 많은 것들을 남겼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시대가 흐르고 세기말 감성도 사라지고 캐릭터도 클리쉐의 일부가 된 탓이겠죠.
가스트락스
25/11/06 13:19
수정 아이콘
팩트고...저도 에바 별로 안 좋아하지만

저런 작품을 볼때는 당시 시대상을 반영해야 해야죠
세기말 분위기나 일본의 경우 버블 꺼지고 침체기로 들어간 상황이고 여러가지가 맞물려서 히트한거니깐요

그냥 순수 체급이 높아 시대 안 타는 지브리 작품과는 결이 다른 
가위바위보
25/11/06 13:42
수정 아이콘
많은 사람들이 명작이라고 해서 넷플로 시청 도전했거든요? 근데 3화인가? 남자 주인공이 자신의 반 친구들과 투닥거리는 장면(아마도 주인공이 자기 로봇에 친구들을 태워줬던 것 같아요)까지 보다보면 이후는 잠들었고 눈 떠보면 언제나 시리즈 끝나있었습니다. 초반의 대략적 분위기는 주인공이 학폭(?) 당하는 피해학생 같더라구요.

4~5 번 연속 1화부터 시청하기 도전했는데 저 시기를 지나가질 못하는 중입니다. 저 파트 이후엔 재밌어지나요?
Darwin4078
25/11/06 13:43
수정 아이콘
역시 mz세대들이군요. 미혹되지 않고 핵심을 바로 짚어버리네요.

에반게리온은 90년대 중후반 당시, 80년대부터 씹덕질 해오면서 사회의 상식, 통념과 일정정도 괴리된 오타쿠들이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물건입니다.
제정신일때의 안노가 에바의 주제는 '현생을 살아라, 씹덕드라'라고 주구줄창 말했었습니다. 덕분에 90년대 후반에 씹덕질을 때려치웠고, 그 점에 있어서 안노에게 고마운 마음은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가볍게
25/11/06 13:47
수정 아이콘
전 옛날에 재밌던건 지금봐도 재밌던데 반응이 신기하긴하네요.
25/11/06 13:53
수정 아이콘
무야호 : 안노는 에바로 자기 자신에게 아무것도 없다는걸 증명했다.

스어 : 난 에바같은거 못만들어서 저러는줄 아냐!!
솔로몬의악몽
25/11/06 14:01
수정 아이콘
고3때 이걸 보고, 에바를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며 유교철학과로 간 인간이 하나 있었는데...
유감스럽게도 그게 저네요 ㅠㅠ
덴드로븀
25/11/06 14:22
수정 아이콘
안노 히데아키 : 아니 그건 좀
퍼블레인
+ 25/11/06 15:40
수정 아이콘
…네?
이사빠
25/11/06 14:02
수정 아이콘
에게리
규정통합
25/11/06 14:21
수정 아이콘
그 시절엔 속을만 했죠.

25년에는 아무리 정훈교육해도 추억보정 없이는 속이기 힘들거에요.
25/11/06 15:00
수정 아이콘
변하지 않는 건 모든것은 변한다는 사실뿐..

관객들만 변한게 아니라 저걸 만든 사람도 많이 변했습니다.
반박은 지쿠악스 정주행 하고 오신 분들에게 받겠습니다.
25/11/06 15:02
수정 아이콘
뭐야 이게 왜 117플이나...
늦덕으로써 비밥 에바 보니까 비밥은 볼만했고 에바는 생각보다 별로였는데
위에도 비슷하게 말씀하신 분이 있지만 시대를 타는 류니까 그렇다 생각했습니다.
스파이크의 간지 하드보일드는 시대를 안타는거니까...
티아라멘츠
+ 25/11/06 15:19
수정 아이콘
뭐 요즘 mz들이 보는 메카물이라 치면 이제 그리드맨-다이나제논 이쪽이긴 하죠
다이나제논 엄청 재밌었습니다
jakunoba
+ 25/11/06 15:32
수정 아이콘
저도 에바 세대지만 까고 보면 별 내용 없는 애니는 맞아요.
에바의 성공은 소위 중2병 감성을 제대로 건드린게 크죠. 특히 90년대 중후반의 소위 세기말 감성은 지금보다 중2병 단계가 훨씬 높았으니...
물론 그거 말고도 95년 당시의 에바는 작화나 연출 면에서도 나름 한 획을 그을 만한 작품이긴 했지만, 그건 25년 기준에서는 별로 어필할 거리가 못 되죠.
NoGainNoPain
+ 25/11/06 16:1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에반게리온 짝퉁이라고 에바팬들에게 욕먹었던 아르젠토 소마가 훨씬 더 나았습니다.
경마장9번마
+ 25/11/06 16:23
수정 아이콘
옛날엔 뭔가 숨겨놓거나 드러내지 않거나 이러면 서로서로 모여서 보이지 않는 내용들을 같이 채워가는 분위기 인 듯 합니다.

요새는 그렇게 하면 이게 뭔 내용인데 하고 바로 차버리죠...
묘이 미나
+ 25/11/06 16: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몇일전 진격의 거인 보고 휴유증이 너무 커서 빨리 다른 에니로 채워야겠다는 마음에
초명작이라는 에반게리온 1편 시청했는대 720P 해상도를 이겨내지 못하고 10분만에 하차했네요 .
나른한날
+ 25/11/06 16:52
수정 아이콘
디즈니 백설공주 같은거라니까... 하여간 어린넘들이.. 끌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79416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96147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602504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25376
520834 [유머] "이모구함" [9] 김삼관4547 25/11/06 4547
520832 [유머] 노약자 포함 8천명을 생체실험한 나치 부역자 [13] 인간흑인대머리남캐4172 25/11/06 4172
520831 [유머] 잘생기고 볼 일 [2] 김삼관2824 25/11/06 2824
520830 [유머] 최근 일본 MZ들에게 욕먹는 중인 에반게리온 [130] Lz6500 25/11/06 6500
520828 [유머] 미친것 같은 OCN 담당자 멘트 모음.JPG [9] Anti-MAGE3787 25/11/06 3787
520827 [유머] 이것이 판교 사투리다. 실전편 [39] 길갈4216 25/11/06 4216
520818 [유머] 어느 커뮤니티 일상게시판의 불효녀.jpg [14] 한화생명우승하자6275 25/11/05 6275
520817 [유머] [약혐] 비위 약한데 간호사 할 수 있나여? [19] 인간흑인대머리남캐6185 25/11/05 6185
520815 [유머] 신뢰도 100% 헬스장 [13] kapH6606 25/11/05 6606
520814 [유머] 민속촌 코스프레 대상을 받앗다 [21] 인간흑인대머리남캐7935 25/11/05 7935
520811 [유머] 투자 대박나서 신난 20대... [38] 캬라8999 25/11/05 8999
520810 [유머] 게임회사 CEO도 못 참는 것 [21] 길갈6196 25/11/05 6196
520807 [유머] 과학 강의 아니고 국어 강의임(2) [9] VictoryFood4368 25/11/05 4368
520803 [유머] 카카오톡 개편 이후 선물하기 100억 이상 감소 [63] Leeka7327 25/11/05 7327
520801 [유머] 총각딱지 뗀 걸 축하해주는 친구들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5925 25/11/05 5925
520800 [유머] 아랍에미리트 대표가 포장해간 것 [25] 길갈6190 25/11/05 6190
520795 [유머] 요즘 배달앱 특징 [32] Lz7526 25/11/05 7526
520794 [유머] 오답률 99% 나온 BMW 입사 문제.jpg [52] 김치찌개7733 25/11/05 7733
520793 [유머] 김치랑 베스트 조합은?.jpg [32] 김치찌개3962 25/11/05 39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