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9/22 11:17
저는 유튜브 업계는 거의 모릅니다만, 일반적으로 사업은 '내가 해도 저것보단 잘 하겠다'는 근거 없는 자신감에서 시작되곤 합니다. 하지만 제삼자의 입장에서 훈수를 둘 때와 자신이 선수가 되어 직접 뛸 때는 상황이 너무나도 다르기 마련이지요. 그 간극을 극복해낸 일부만이 성공한 사업가가 되는 거고, 대부분은 극복하지 못하고 실패하더군요.
+ 25/09/22 11:33
그렇죠. 기존 플레이어들이 바보라서 그렇게 하고 있는건 아닌거죠. 본인에게 뭔가 엄청난 아이디어나 천재성이 있는게 아니라면 고만고만한 결과물381이 되는게 흔한 결말
+ 25/09/22 11:18
안녕하세요. 잇섭입니다. 와 여러분... 이거 진짜 죄송합니다. 제가 사과를 드리게 될 줄은 상상도 못 했는데요.
“아니 이걸 왜 그렇게 했냐?”라고 하시면... 저도 할 말이 없더라구요.
+ 25/09/22 12:00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찾아보니 BJ소닉이였네요. 스타BJ인데 프로팀창단에 스베누스타리그도 있었네요. 전 후반에 매우낮은가격에 팔리던거랑 아이유가 모델이였던것만 기억나서.
+ 25/09/22 11:33
https://brand.naver.com/getri/products/10865816182
[플랫 아이폰 16 클리어 마그네틱 케이스] 2025.1 발매 평점4.68(최근 6개월 4.7) / 리뷰 963개 https://brand.naver.com/getri/products/12351174336 [잇썹 게트리 스킨 아이폰 17 클리어 마그네틱 케이스] 2025.9 발매 평점 : 3.75(최근 6개월 3.92) / 리뷰 187개 신제품인데 평점 4점 이하로 떨어지는건 정말 귀하긴 하죠. 이전 제품은 이정도는 아니었던걸로 봐선 공장 문제와 QC 대충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것 같긴 합니다. 사업이 이렇게 어렵습니다.
+ 25/09/22 11:35
제조업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들 중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가장 크게 갈리는 부분이 QC/QA죠. 그게 다 가격에 반영이 돼있는거고요.
잇섭이 중소기업이나 저가형 제품 리뷰를 많이 하는 편인데, 평가가 좋은 물건들 위주로 하다 보니, 그 정도 품질을 유지하는 게 당연한거라 생각했던 모양입니다.
+ 25/09/22 11:40
제조업이든 서비스업이든 앱이든... 손님 입장에서 단점 지적하는거는 참 쉬운데 막상 본인이 실제로 하면 잘 하기가 참 어렵더라고요....
+ 25/09/22 12:08
올해초에 똑같이 만들어서 판 아이폰 16 케이스도 초반 문제는 있어도 적당히 만들어 판것같은데
이번 아이폰17은 공장문제+일정문제+QC문제 등등 뭔가 복합적인거라고 봐야겠죠.
+ 25/09/22 11:50
요즘 제가 보는 알고리즘에서 사업 벌이거나 영상 수익화를 서두르는 유튜버들이 많은 느낌이네요..모르겠습니다. 가끔 직원을 너무 많이 뽑는거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영상만 보면 솔직히 수십명이 달라붙을 필요가 있나 싶거든요. 직원을 뽑고 월급 주려면 뭐라도 해야하고 뭐라도 하다보니 신경쓸게 많아져서 직원을 더 뽑고 그러다보니 사건사고 일어나고 이런 느낌을 받네요
+ 25/09/22 12:09
저도요 요새 유투브가 수익 창출을 짜개 준다는 게 맞기도 하고 너무들 일들 벌리는 듯 갈수록 저는 그냥 소소한 작은 채널로 옮겨가네요 요새는 컴퓨터 수리가 너무 잼있어요
+ 25/09/22 12:17
유튜브가 평생 직업이 될수 없다고 판단해서, 사업으로 돈좀 벌어보려고 하는거 아닐까요?
연예인들도 본입이 불안정하다보니, 사업 많이 하는것처럼요.
+ 25/09/22 12:39
유튜브 시청자 : 그거 그냥 대충 찍고 편집하고 올리면 돈버는거 아님? 그게 왜 직원 5명이 필요함? 돈 쓸어담겠네
유튜버 본인 : 혼자하고 있었는데 떡상하다가 어느순간 수익 하락기가 옴 -> 고민하다 직원 고용 -> 품질이 올라가며 수익 올라감 -> 다시 정체기 옴 -> 고민하다 직원 고용 -> 다시 수익 올라감 -> 이왕이면 더 많이 더 좋게? -> 직원 더 고용 -> 고정비 폭발 -> 수익 정체기&하락기 -> ? 유튜버도 결국 자영업자와 소규모 중소기업 사장 그 어딘가입니다. 유튜브가 시작된지 이미 20년이고 어정쩡한 내용이나 품질로는 소비자와 알고리즘의 선택을 절대 받지 못하죠. 그리고 내용과 품질을 끌어올리기 위해선 사람의 힘이 더 필요해집니다.
+ 25/09/22 12:51
https://www.youtube.com/watch?v=PQ7vZRVAn6w&t=736s
12분17초에서 QC가 제일 걱정이라고...
+ 25/09/22 12:19
이제 김풍처럼 "사업하지마라"의 아이콘으로 나서야...
마진 안남기고 (그래도 비쌈) 소소하게 구독자용 굿즈 만들어 파는거랑 마진율 생각하면서 대량으로 만들어 파는건 천지차이죠.
+ 25/09/22 12:44
중국에 케이스 공장 정도는 널렸을테니까요.
하지만 어떤 공장에서 어떤 수준의 품질과 어떤 가격으로 물건을 만들어 팔 것인가를 정하는게 매우 어려운 문제죠.
+ 25/09/22 12:48
판매 상품이 노동력에서 자본으로 전환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런 수순이간 하죠. 결국 남의 자본 위에서 놀아서는 맛있게 먹기 쉽지 않고
+ 25/09/22 12:57
남이 하는 거 보고 잘 못하는 부분을 지적 --> 객관식
내가 처음부터 끝까지 하기 --> 주관식 서술형 압도적으로 후자가 어렵습니다.
+ 25/09/22 12:59
남의 일을 본인 일처럼 열심히 해줄 업체가 뭐 얼마나 되겠습니까
외주관리가 얼마나 힘든지 직접 안해봤으면 세상에 개판인 업체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르겠죠 크크 직접 만드는거 이상으로 신경쓰고 조져야 하는데 뭐 한달에 한번씩 가서 몇시간 보고 오고 그랬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