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8/04 17:03:46
Name Croove
출처 JTBC News
Subject [방송] 트럼프 관세협상에 대해 계산기 두드려본 미국인들 (수정됨)
미 정부 : 관세로 돈 많이 번다음 한사람당 600달러씩 지원금을 풀겠다.
경제학자 : 관세로 인해 미 가정당 생계비 증가 예상액 : 약 2,400달러
신발. 옷 가격 40% 오를것, 미 실질 GDP 해마다 0.5%p씩 감소할 것.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크레토스
25/08/04 17: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관세가 저소득층일수록 타격 큰 세금인데 그거 걷어서 다시 지원금 줘봐야 조삼모사죠.
물가상승 2배로 일어날 거랑 행정비효율까지 생각하면 확실히 손해고요.
그나마 관세 긍정적 효과라는 재정적자 줄이는 것까지 없애는 정책..
Ashen One
25/08/04 17:44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이미 올라간 물가인데, 돈 좀 쥐어줘봤자 관세로 올라간 물가만 더 많이 오르겠죠.
현재는 상품 물가만 올랐지만, 저 돈 뿌리는 순간 서비스 물가까지 오를겁니다.
결국 돈은 한번 뿌리면 끝이지만, 올라간 물가는 잘 내려오지 않을테고요.
재정적자는 더 쌓이고, 그냥 남는게 없는 정책이에요.
25/08/04 17:12
수정 아이콘
5cm만 더 정확했다면...
놀라운 본능
25/08/04 17:13
수정 아이콘
욕해도 되나요... 트럼프
그냥 모두 루즈루즈..미국국민이면 완전 화날것 같은데요
This-Plus
25/08/04 17:16
수정 아이콘
점점 마오쩌둥이 떠오릅니다...
25/08/04 17:18
수정 아이콘
저 새는 해로운 새다
크레토스
25/08/04 17:20
수정 아이콘
안 그래도 중국에선 미국판 문화대혁명이라는 소리 하더라고요.
트럼프 보고 중국의 국가건설자라는 밈도 있고요.(중국 이로운 일만 한다는 뜻)
국가지도자도 야구감독이랑 비슷한 거 같은게 지도자 1명이 발전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지만 지도자 1명이 후퇴시키는데는 한계가 없는 거 같습니다.
This-Plus
25/08/04 17:28
수정 아이콘
엄청난 권력 + 엄청난 아집
콜라보가 장난 아니네요.
스웨트
25/08/04 17:20
수정 아이콘
2400 까이고 600 증가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이게…
박민하
25/08/04 17:28
수정 아이콘
지난 수십년간 쌓아온 미국의 빚을 내가 갚겠다(사실 아무도 원하지 않음)
츠라빈스카야
25/08/04 18:08
수정 아이콘
1인당과 1가정당의 차이가 있으니 4인 가족이면 똔똔, 그 이상 인원이면 이득이라는 헛소리도 가능은 합...
마블DC
25/08/04 17:22
수정 아이콘
한번 뽑은건 그렇다 쳐도 두번째는 자업자득임..
디쿠아스점안액
+ 25/08/04 18: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코로나 때 이미 본인 능력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지도자라 생각합니다 트럼프는...
휀 라디언트
25/08/04 17:23
수정 아이콘
해외 위탁 생산 후 수입이라는 것이 선진국이기에 가질 수 있는 비용적 이득인 것을 트럼프가 모른다는게 믿기지가 않습니다.
그냥 제가 봤을때는 재임기간동안 하는 모든 행동들은 본인과 주변인들의 자산증식이 목적인거 같아요. 굳이 의미부여를 할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25/08/04 17:26
수정 아이콘
진짜 모를수도 있습니다(?) 크크크
Ashen One
25/08/04 17:30
수정 아이콘
트럼프의 젊은 시절 인터뷰들을 보면 정말 몰랐던 거 같습니다.
심지어 당시에도 관세에 대해 매우 쉽게 생각하고 있었고요.
25/08/04 17:36
수정 아이콘
저도 설마 대통령까지 했었는데 모르겠어?였다가
모르는거 맞는데?로 바꼈습니다
자산증식도 맞고요 크크크
성야무인
25/08/04 17:32
수정 아이콘
2주전 미국 출장 갔다왔을 때

Walmart에서 물건 구입하니까

한 작년에 비해 10%정도 물가가 오른것 같긴 하더군요.

근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보다 마트 물가가 쌉니다.
몽키매직
25/08/04 17:39
수정 아이콘
미국이 공산품 천국이죠. 한국 가격 보면 억울한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일본, 유럽 물가 보고나면 우리가 또 선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냥 미국이 너무 심하게 살기 좋은 것...
성야무인
25/08/04 17:50
수정 아이콘
유럽물가도 유럽 국가에 따라 다르긴 헌데

파리는 식료품 값은 정말 저렴했습니다.

까루푸에서 정말 긴 바게트 빵

샌드위치가 1.8유로 더군요.

나머지 음료나 햄이나 유제품도 싼편이었구요.

근데 영국은 T_T~

미칠정도로 비싸더군요.
몽키매직
25/08/04 17:52
수정 아이콘
그게 그 나라에서 생산 체인이 자리가 잘 잡힌 식료품은 개별적으로 싸거나 비쌀 수는 있는데,
보통 표준 가격표가 붙은 공산품들은 (ex 전자제품) 미국 >>> 한국 >> 유럽/일본 순으로 싸더라고요.
베라히
+ 25/08/04 19:1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식품들이 배를 타고 수입되기 때문에
서로 도로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는 유럽국가보다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날씬해질아빠곰
25/08/04 17:32
수정 아이콘
트럼프는 자기가 성공한 사업가니까 경제를 잘 안다고 착각중이죠...
기업 경영과 국가 경영은 전혀 다른 영역임을 아직도 인정하지 못하는 사람이고 미국 사람들도 그걸 몰랐던거죠.
롤격발매기원
25/08/04 17:47
수정 아이콘
정작 트럼프 사업 성공한게 거의 없..
EK포에버
25/08/04 17:34
수정 아이콘
저러면서 금이 내리라고 압박을..
25/08/04 17:37
수정 아이콘
트럼프 같은 지도자가 선출되는 것이, 민주주의가 발전하면서 겪어야만 하는 산통인걸까요,
아니면 민주주의 그 자체의 한계일까요.
티오 플라토
25/08/04 17:39
수정 아이콘
서양 문명이 대항해시대를 통한 무역으로 동양을 앞지르고 세계의 패권을 가져갔는데 참..
물가 상승도 문제지만, 서서히 세계 무역망에서 왕따가 되지 않을까요? 지금이야 너무 큰 시장이니 울며 겨자먹기로 거래하겠지만 다른 곳과 거래하는 것에 비해 손해를 본다면 점점 거래가 줄텐데요.
Ashen One
25/08/04 17:39
수정 아이콘
트럼프의 관세에 대한 맹신은 트럼프의 젊은시절까지 올라갑니다.
젊은시절 인터뷰에서도 관세를 주장했었죠.
1기 시절 관세를 매기려 했지만, 큰 반대에 부딪혀 찔끔 올리고 말았지만,
이번엔 제대로 한번 해보고 그 부작용에 본인도 많이 놀라고 있는 중일 겁니다.
그러니 저런 돈 뿌리기까지 하려는 거죠.

트럼프는 타국가들이 관세로 미국의 산업을 죽인다고 믿지만, 문제는 그 타국가들은 미국보다 산업발달이 뒤쳐진 국가들이란 거죠.
자국의 소비를 희생하지만, 대신 기술이 뒤떨어진 자국 산업이 기술력을 갖출때까지의 시간을 위해 이용하는 것이 현대 경제에서 관세죠.
이미 타국에 기술력이 아닌 인건비나 비용에서 뒤쳐진 산업들을 관세로 보호한다는 건 그냥 자국의 소비만 줄이는 결과를 낳는거죠.
신성로마제국
25/08/04 17:40
수정 아이콘
물가 올라도 상관없습니다. 바이든,민주당 탓하면 되고 미국인들 중 많으면 50%정도는 또 그걸 믿어줄 겁니다.
25/08/04 17:50
수정 아이콘
리얼 크크

우리 옆집 강아지 흰둥이도 알 듯
TempestKim
25/08/04 18:00
수정 아이콘
다른나라상대로 패악질 부리는 거 보고 기부니들은 좋았을거고 그걸로 효능감 느꼈을테니 지지받기는 할 것 같아요
추적왕스토킹
25/08/04 17:40
수정 아이콘
천조국 버전 민생지원금인가?
안군시대
25/08/04 17:45
수정 아이콘
트럼프라면 그냥 저거 가짜뉴스라고 해버릴거 같네요
마루하
25/08/04 17:45
수정 아이콘
가구당 계산이 가구당 몇 명을 기준으로 한 걸까요?
4인가족 기준이면 또이또이 겠네요
겨울삼각형
25/08/04 17:53
수정 아이콘
팩) 600달러 지원금 조차

지금은 줄 수도 있다 정도의 논의만 있음 (트
VictoryFood
25/08/04 17:56
수정 아이콘
관세를 20%(예시) 때렸을 때 소비지가 그 관세를 모두 부담할 가능성은 적죠.
생산지와 소비자가 부담을 나눌 텐데요.
미국은 10%(예시)의 소비자의 부담을 감수할 수 있지만,
다른 나라는 10%(예시)의 생산자의 부담을 감수할 수 없어서,
루즈루즈여도 결국엔 미국만 살아남는 결과가 나올 거 같습니다.
25/08/04 18:09
수정 아이콘
경제학에서 설명하기를, 가격탄력성이 높은 제품은 세금을 생산자가 떠안고 비탄력적인 제품은 소비자가 떠안는다고 하죠
베라히
+ 25/08/04 19:21
수정 아이콘
외국의 생산자가 가격을 손해를 보면서까지 내리지는 못합니다.
스톤콜드 스터너
25/08/04 18:04
수정 아이콘
뭐 덕분에 이제는 미국 의존도를 전 세계가 줄이려고 엄청 노력하기 시작했다는 좋은점(?)도 생겼...
기술적트레이더
25/08/04 18:16
수정 아이콘
근데 미국은 시장이라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까요?
다른 나라는 몰라도 미국과 인도중국은 대체가 안돼 보입니다.
그냥 인구가 깡패~
스톤콜드 스터너
+ 25/08/04 19:05
수정 아이콘
그렇긴 합니다만 전에는 시도할 생각조차도 안했던일이 시도된다는데에 의의를 두어야할듯 싶어요
타츠야
+ 25/08/04 19:07
수정 아이콘
시장은 그렇긴 한데 국방이나 우주산업 등 이전에는 미국에 의존하던 것들을 자체적으로 혹은 주변국가 연합해서 해결하려고 하는 점 등은 유일한 장점 같습니다. 유럽도 국방비 지출을 각 국가가 모두 늘리고 있고 위성 사업 분야도 자체 위성쪽에 투자를 많이 하고 AI쪽도. 물론 배터리처럼 이미 거하게 말아 먹은게 있긴 합니다만.
바람돌돌이
25/08/04 18:17
수정 아이콘
원가가 없는 부동산만 팔아서 그렇죠. 제조업을 안해보면 10프로가 얼마나큰건지 알죠
아이군
+ 25/08/04 18:33
수정 아이콘
관세로 한번 물가 올리고
돈 풀어서 물가 한 번 더 올리는

두번 타는 보일러...
Janzisuka
+ 25/08/04 18:55
수정 아이콘
재는 모른다쳐도 주변에 좀 인간이 없나;;
+ 25/08/04 19:04
수정 아이콘
이 지점에 대한 유시민 작가의 명언이 있죠
A급 지도자 밑에는 A급 부하들이 따른다
B급 지도자 밑에는 A급 부하들이 오지 않는다
정확히는 B급 지도자가 A급 부하를 발탁하지 않는다(자기가 B급인거 들킬까봐)
보통 C급 이하 부하만 발탁한다
C급이하(당시 우리 상황) 지도자 밑에는 폐급만 꼬인다.
+ 25/08/04 19:28
수정 아이콘
1기 때도 똑같은 생각 중이었지만 주변 사람들 때문에 못했기 때문에 이번엔 시작 전부터 예스맨 빼고 다 치웠습니다.
유료도로당
+ 25/08/04 19:36
수정 아이콘
내년 중간선거 민주당이 압승한 다음 탄핵 한번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크크크
카루오스
+ 25/08/04 19:52
수정 아이콘
이 거대한 관세 실험장의 결말이 궁금하긴 합니다 크크
+ 25/08/04 20:29
수정 아이콘
저양반 아마 관세는 수출기업이 낸다고 생각할걸요?실제로 쟤네 대변인은 그렇게 알고서 얘기했다가 욕뒤지게먹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63007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83818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89172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06964
518008 [LOL] 젠지가 든프보다 먼저 달성한 기록 Leeka71 25/08/04 71
518007 [유머] 과학자들 모아서 함부로 퀴즈쇼 열면 안되는 이유 Croove743 25/08/04 743
518005 [음식] 이삭토스트 신제품 리뷰(배달메뉴X, 제품O) [11] Croove3779 25/08/04 3779
518004 [방송] 트럼프 관세협상에 대해 계산기 두드려본 미국인들 [50] Croove5176 25/08/04 5176
518003 [유머] 잃을게 없는 자의 무서움.jpg [11] 캬라4616 25/08/04 4616
518002 [기타] 호우 피해현장에 출동한 충주맨 [26] VictoryFood4393 25/08/04 4393
518001 [연예인] 아이유 금발시절 박준형(GOD)의 리액션 [4] Croove3268 25/08/04 3268
518000 [게임] 스파6 에보2025 결과 [7] STEAM1495 25/08/04 1495
517999 [유머] 펩시 제로 슈거의 비밀 [27] 제논4810 25/08/04 4810
517998 [기타] 안타까운 네이버 지식IN 근황 [15] 독서상품권4041 25/08/04 4041
517997 [유머] 남친과 섹스를 안한지 한달이 지났습니다. [5] 제논5479 25/08/04 5479
517996 [유머] 아들, 엄마랑 돈까스 먹으러 가자~ [5] 카루오스3401 25/08/04 3401
517995 [유머] 의외로 혼밥 할 때 많이 하는 행동 [21] 한강5192 25/08/04 5192
517994 [유머] 편의점에서 당한 사람 [16] 길갈4599 25/08/04 4599
517993 [게임] 아슬란 2025 evo 철권8 우승 [24] 시린비3120 25/08/04 3120
517992 [기타] pc거르고 케데헌이 디즈니 작품이 아니라 다행인 이유 [30] lasd2414431 25/08/04 4431
517991 [기타] 아무도 안 믿는다는 영화 엔딩 [18] 퍼블레인4486 25/08/04 4486
517990 [게임] 스파6 수영복 트레일러.youtube [6] Thirsha1663 25/08/04 1663
517988 [서브컬쳐] MCU 스파이더맨 후속편에서 꼭 나올것 같은 복선. [11] 캬라2510 25/08/04 25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