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5/09 13:36
    
        	      
	 저 말도 맥락을 보면 이해가 가긴 하는데,
 완벽하게 동의가 안되는건, 스타크래프트가 그런 한국인의 기질을 끌어내준거지, 스티크래프트때문에 생긴건 아니어서 
	24/05/09 15:28
    
        	      
	 관련 내용은 아래 기사에서 좀 확인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은 가장 우울한 사회"…미국 인기 심리연구가 진단 https://www.yna.co.kr/view/AKR20240128038300009 ["한국의 정신건강위기를 이해하려면 90년대 인기 비디오게임인 스타크래프트에서 시작해야 한다"면서 "주목할 점은 여기에서 도출된 성공 공식이 여러 산업에 복제됐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24/05/09 15:33
    
        	      
	 위에 링크한 게시물 댓글란에서도 나온 얘기지만,
 - [스타크래프트/E스포츠에서 통했던 성공 공식이 사회 다른 영역으로 확대]되었고, 이런 흐름이 한국인들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취지로 보입니다. - 즉 스타크래프트 자체를 범인으로 지목하는 건 아니고, [한국인들이 스타크래프트와 E스포츠를 향유한 방식과 관련 문화/산업] 등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지는 알겠지만 결론에는 동의가 되지 않습니다. - 스타크래프트 이전에 이미 야자/학원(또는 특목고) 등 우리나라의 특징적인 경쟁 중심 문화가 있었고, - 굳이 특정 산업군을 원인으로 지목하자면 스타크래프트 이전에 [아이돌 산업]이 먼저일 것 같습니다. - 오히려 아이돌 산업의 성공 공식이 E스포츠에서도 사용되었던 거라고 봐야 맞지 않나 싶고요. 
	24/05/09 18:29
    
        	      
	 저도 인과가 거꾸로 된 분석이라고 봅니다.
 다만 그래서 관련성이 절대 없지는 않다고 보고요. https://pgr21.co.kr/spoent/74782 뭐 이런 얘기죠.. 
	24/05/09 23:50
    
        	      
	 갑자기 무슨 스타;;;? 공감이 안되네요.
 진짜 정신 건강의 위기는 인스타부터 시작이지 어릴 때 부터 끊임없이 남이랑 비교 하는게 만드는게 인스타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