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08 12:56
    
        	      
	 와 세상에나..........요새는 아에 빨대를 안주더라고요 입대고 마시라고, 뭐 알겠는데 그럴거면 카라멜 마키아토 같은 시럽들어간 음료는 좀 섞어줬으면 좋겠네요. 쭉 짜서 주면 빨대로 휘휘 저어서 먹었는데 이제는 그게 안되니 그 음료를 안먹게되요. 
 
	23/06/08 12:57
    
        	      
	 바다 생태계는 사실 어업이 망치는데 어업에 어그로 끌리는거 막으려고 죄없는 빨대에게 뒤집어 씌웠다는 말이 있던데 얼만큼 진실인지는 모르겠네요. 
 
	23/06/08 12:59
    
        	      
	 플라스틱 쓰레기보다 폐망, 통발들이 더 피해가 크다는건 공공연한 사실이라...
 
물론 적당히 훼손된 거면 거기에서 은신처로서 생태계가 만들어지긴 합니다 
	23/06/08 13:01
    
        	      
	 뭐 그렇다고 물고기 안먹을겁니까라면 막거나 줄이긴 힘들어서?
 
폐그물 회수하려해도 못하는 케이스도 있을거고... 양식되는것도 극소수니... 
	23/06/08 13:11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today/article/6327328_34943.html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8921 커뮤니티에서는 빨대만 괴롭히고 그물은 쉬쉬한다는 인식이 있지만 환경단체도 인지는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빨대와 달리 그물 자체는 대체도 어렵고 종사자말고는 어떤 규제가 생겨도 피부에 와닿지 않으니 잘 모르지요. 
	23/06/08 14:55
    
        	      
	 그쪽으로 가면 근본은 우리가 너무 많이 먹어서.....
 
중국 탓 많이 하던데 사실 한국도 만만치 않음...... 우리가 생선먹는 마지막 세대가 될 거라는 말도 슬슬 나오는 판입니다.... 
	23/06/08 20:31
    
        	      
	 그냥 극한직업이나 EBS다큐만봐도 나옵니다. 서로 통발쳐놓은거 꼬여서 그냥 줄 끊어서 회수도 못하고 km단위의 그물이랑 이런저런 폐기물들, 양식업 같은경우엔 부표가 뭐 1년에 10%씩 떠내려가서 없어진다느니 그런얘기가 그냥 나와요. 
 
	23/06/08 13:10
    
        	      
	 전분 플라스틱 대표격이 옥수수에서 추출한 PLA인데 걔도 실효성이 별로 없습니다. 물론 비싸기도 하구요.
 
미생물로 인한 분해가 빠르다는 '생분해성' 타이틀을 달고 있는데, 그것마저 까다로운 조건 하에서 1년정도 걸려요. 자연상태에선 분해 잘 안되구요. 그렇다고 진짜 전분을 갖다 쓰면 수분에 엄청 취약합니다. 
	23/06/08 13:02
    
        	      
	 종이빨대 쓰는 이유가 매립하는 경우 자연분해가 플라스틱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쓴다고 본거 같았는데. 더이상 해외에서 쓰레기를 받아주지 않고, 처리방법도 제한이 걸리는 상태니 쓰레기 처리를 자체적으로 해야되기때문에 분해기간이 긴 플라스틱 보다 종이빨대를 쓸수밖에 없다고. 
 
	23/06/08 13:03
    
        	      
	 당연한거기도 한데, 
 
그래도 종이빨대가 플라스틱빨대보다는 낫긴하죠. 플라스틱 사용 총량 자체는 훨씬 줄어들긴하니깐요. 근데 사실 이런식으로 접근하면, 빨대에 집중할게 아닌일 이긴하다는 의견이 많죠. 
	23/06/08 13:03
    
        	      
	 종이빨대 쓰는 이유가 미세플라스틱 배출 저감을 위해서인데...
 
여기서도 미세플라스틱 나온다고 하면 좀 깨긴 하네요. 물론 기존 플라스틱보다는 덜 나오겠습니다만..... 
	23/06/08 13:09
    
        	      
	(수정됨) 뭐 사실 다시 쓸걸 전제하는거 자체가 글러먹으...사용량 자체를 줄여버리는게 제일이긴하죠 크크 뭔짓을해도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소재 그 자체를 다시 쓰는 형태(녹여서 쓰는)는 제한적이라서...(그리 용이하게 만드는게 힘들터...)
 
어차피 다시 활용되는 형태 중 현실적인건 태울 수 있는건 소각장을 열병합으로 해서 전기만들고 난방에너지로나 쓰는거죠...(최소한 전기만든다고 석탄이나 석유를 덜 끌어다쓰니까...) 
	23/06/08 13:14
    
        	      
	 맥도날드에서 음료 시키면 기본적으로 입대고 마시는 플라스틱 뚜껑을 주던데,
 
이게 기존의 빨대보다 플라스틱 사용량이 더 많지않나? 는 생각이 들더군요 
	23/06/08 13:17
    
        	      
	(수정됨) 뭐 아마 pet로 만든다치고 사이즈가 있다면 투명 음료수병처럼 재활용하긴 나을려나싶긴한데...그게 아니면...흠 어차피 뚜껑은 덮어야한다치고...
 
일단 과도기라 뭐 이것저것 막 나오는거같기도하고...일부는 그린 워싱이다치더라도... 
	23/06/08 13:26
    
        	      
	 점점 인간 개체수가 줄어드는 것 외에 지구를 위한 길이 없는 것 같은 무서운 생각이...
 
AI가 이렇게 생각하고 반란을 시작하면... 그게 스카이넷이겠죠? 
	23/06/08 13:38
    
        	      
	 종이빨대 사용 목적은 썩는 거라서 쓰는 거 아닌가요?
 
도입 목적 자체가 재활용은 아니었던 걸로... 다만 재활용 종이 쓰레기통에 버리면 안되는거네요. 
	23/06/08 13:54
    
        	      
	 저는 종이빨대 쓰기 싫어서 빨대 사서 가방에 넣어다녀요 친구들이나 직장 동료가 항상 빨대달라고 옵니다. 
 
그러면 항상 500원 입니다 하고 개그쳐요 
  | 
||||||||||||||
